전체 글25788 뚜껑덩굴(박과 뚜껑덩굴속) Actinostemma lobatum (Maxim.) Franch. & Sav. 2025. 9. 왕과 수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0385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7https://qweenbee.tistory.com/8896565 https://qweenbee.tistory.com/8905669 왕과 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263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2https://qweenbee.tistory.com/8899986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5https://qweenbee.tistory.com/8905886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9. 20. 연노란색의 양하(생강과 생강속) Zingiber mioga (Thunb.) Roscoe 2025. 9. 17. 제주. 농장의 쥔장이 미색의 양하 꽃이 핀다기에 모기 떼에 헌혈하고 받은 보상이다. 나도생강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8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08https://qweenbee.tistory.com/8897968 https://qweenbee.tistory.com/8898175나도생강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55 https://qweenbee.tistory.com/8903285나도생강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6924 양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5. 9. 20. 큰피막이풀=큰잎피막이(산형과 피막이속) Hydrocotyle javanica Thunb. 2025. 9. 17. 제주. 제주의 숲속 바닥에서 만날 수 있는 피막이속 녀석이다.이 녀석 표준식물목록에 또 다른 종의 국명에 가 있다.그래서 늘 이 두 녀석 이름이 헷갈려 버린다. 예전에 는 이 녀석을 '큰잎피막이풀'로 불리기도 했는데 그 국명은 이명처리해 버렸다.큰잎피막이, 또는 큰잎피막이풀이란 이름을 유지했더라면 '큰피막이' 와 헷갈리지도 않았을텐데.... 이 녀석 잎이 훨씬 큰 게 안 보이나?둘 다 모두 '풀' 아닌가?겨우 '풀' 한 글자로 종을 구분하게 하다니 장난하냐? 꽃차례 자루가 잎자루보다 짧아서 잎 아래에 꽃차례가 있다. 그래서 이 녀석 꽃을 촬영하려면 잎을 젖혀서 들이대어야 한다. 피막이속 중에서 꽃이 많이 달리고 잎이 가장 큰 녀석이다.열매는 15~40개 편원형 모양의 열매가.. 2025. 9. 19. 고슴도치풀(피나무과 고슴도치풀속) Triumfetta japonica Makino 2025. 9. 16. 제주. 산간 마을 농장 주변 이무데나 뒤지면 이런 녀석들이 반겨준다.내륙에도 있긴 하지만 일부러 찾아다니지 않아도 까꿍하고 나타나 주는 제주도가 좋다. 꽃이 여전하게 피고 있는데 열매도 잘 달려 있어서 일거양득.헌데 이른 아침 시간이라서 꽃잎을 접고 있다는 게 아쉬운 일이었다. 고슴도치풀 :https://qweenbee.tistory.com/8898394 https://qweenbee.tistory.com/8899835https://qweenbee.tistory.com/8901593 https://qweenbee.tistory.com/8912404고슴도치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08고슴도치풀 종자 : 2025. 9. 19. 제주피막이(산형과 피막이속) Hydrocotyle yabei Makino 2025. 9. 15. 제주. 참 오랜만이다. 아그야.습한 숲 바닥에 여린 제주피막이가 보인다. 화서에는 1~4개 정도로 적은 수의 꽃이 핀다겨울에는 줄기 끝이 땅속으로 들어가시 월동아를 만든다고 한다. 선피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2 https://qweenbee.tistory.com/8892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3772 https://qweenbee.tistory.com/8888604https://qweenbee.tistory.com/89079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074https://qweenbee.tistory.com/8901856 ht.. 2025. 9. 18. 갈래잎나팔꽃(메꽃과 메꽃속) Ipomoea heptaphylla Sweet 2025. 9. 17.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일년생 초본이다. 가늘고 용수철처럼 감기는 긴 소화경과 작은 화관, 그리고 5-7매의 우상으로 갈라지는 잎 등이 특징이다. 이 녀석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 2023년에 식물분류학회지를 통해서 보고되었는데원 발견지의 것은 제초제를 쳐서 모두 사라지고 다행하게도 개인 집에 종자를 심어둔 게 꽃을 피워서 허락을 받고 촬영할 수 있었다. 녹색은 원산지, 자색은 유입지 가늘고 긴 화경이 용수철 처럼 꼬여 있다. 잎은 5~7장의 소엽으로 손바닥 모양을 이룬다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 2025. 9. 18. 애기나팔꽃(메꽃과 나팔꽃속) Ipomoea lacunosa L. 2025. 9. 17. 제주. 늘 흰색의 애기만 봐왔는데 보라색 애기나팔꽃은 처음 만나서 별나팔꽃으로 착각을 했는데 화서가 다른 애기나팔꽃이었다. 흰둥이도 있다. 나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1303 https://qweenbee.tistory.com/8887047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4 https://qweenbee.tistory.com/8905858 https://qweenbee.tistory.com/89061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315나팔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3 갈래.. 2025. 9. 18. 향부자(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rotundus L. 2025. 9. 17. 제주. 방동사니속 녀석들 서너 종을 아직 보지 못한 게 있는데 그 중한 녀석이 향부자였다.제주에서촬영 된 자료가 검색이 되길래 이 번에 내려와서 찾아 봐야겠다고 하며가는 곳 마다 풀밭을 두리번 거렸더니 결국 녀석을 만났다. 일출봉 주변에 나타난 낯이 선 방동사니속 녀속이 아마도 향부자일 것 같다 생각했더니도감과 검색을 해 본 결과 제대로 만난 게 맞았다. 두 군데서 만났다. 번식하는 세력이 만만치는 않은 것 같은데....향부자는 보통 땅속줄기로서 번식한다. 번식력이 강하여 어린뿌리 한개에서 수백 포기가 발생한다. 향부자는 밑부분에 낡은 덩이줄기가 있어 굵어지고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끝부분에 덩이줄기가 생기고 수염뿌리가 내린다. 덩이줄기의 살은 백색이며 향기가 있다. 근경을.. 2025. 9. 18. 왜젓가락나물(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silerifolius H.Lév. 2025. 9. 15. 제주. 한라산 숲 길에서 참 오랜만에 만난 녀석이라 반갑다.제주 식물 탐사로 한 달에 한 번 꼴로 제주에 부지런히 다니던 그 때이 녀석을 처음 만나보고 엄청 반가워 했었다.제주도와 울릉도, 남해 섬지역에 자생하는 녀석이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 2025. 9. 17. 붉은하늘타리(박과 하늘타리속) 꽃 Trichosanthes cucumeroides (Ser.) Maxim. 2025. 9. 15. 2019년 밤중에 만났던 생소하고 신기했던 녀석의 꽃을 한 번은 더 보고 싶었다. 올해도 섬으로 들어갈까 몇 번이나 벼르다가 결국 늦어 버렸는데 제주도에 내려와서 녀석의 소재를 수소문하게 되었다.작년에도 이 녀석 위치를 찾다가 허탕을 친 적이 있기에 이번에는 꽃동무의 도움으로 위치 정보를 얻었다. 종일 습지를 돌아다니다가 땀 범벅이 되어 숙소로 들어와서 목욕을 하고 짐 정리를 하니 8시가 넘었다. 딱 출발하기 적당한 시간이다. 한 시간을 달리면 9시30분 정도이니 꽃이 아직 피어 준다면 제대로 만날 수 있을 거라. 얼마를 달렸을까. 큰길을 버리자 인적드문 시골길이 좀 으스스하다.목적지에 차를 세우고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는데 밤중이라 쉽지가 않다. 폰의 후레쉬를 켜고 한참 .. 2025. 9. 16. 사마귀풀(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Aneilema keisak Hassk. 2025. 9. 14. 동네 수변천. 한창 개화 중. 닭의장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586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8https://qweenbee.tistory.com/88886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372https://qweenbee.tistory.com/8904427닭의장풀(무늬):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0 좀닭의장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3 https://qweenbee.tistory.com/8894485https://qweenbee.tistory.com/890268.. 2025. 9. 16. 물질경이(자라풀과 물질경이속) Ottelia alismoides (L.) Pers. 2025. 9. 14. 동네 수변천. 피고 지고 또 피 고지고갈 때마다 다른 얼굴로 만겨준다. 가는잎물질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1 물질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92 https://qweenbee.tistory.com/8890737https://qweenbee.tistory.com/8892844 https://qweenbee.tistory.com/8898145https://qweenbee.tistory.com/8901464 https://qweenbee.tistory.com/8909670 https://qweenbee.tistory.com/8912352 https://qweenbee.ti.. 2025. 9. 16. 노랑하늘타리(박과 하늘타리속)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var. japonica (Miq.) Kitam. 2025. 9. 15. 아침 이른 시각에 만날 때는 이 녀석도 갈기를 말고 있었을텐데붉은하늘타리 덕분에 온전한 꽃을 담았다. 자방이 달린 암꽃이다. 왕과 수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0385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7https://qweenbee.tistory.com/8896565 https://qweenbee.tistory.com/8905669 왕과 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263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2https://qweenbee.tistory.com/8899986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9. 16. 산조풀(벼과 산새풀속) Calamagrostis epigejos (L.) Roth 2025. 7. 6. 저수령. 산조풀 : 갯조풀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제1포영과 제2포영의 길이가 같으며 윤채가 없고 까락은 호영의 등 쪽 2/3 지점에서 돋지만 호영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산조풀은 소수가 좁은 피침형이며 호영에 까락과 캘러스털이 있다. 갯조풀 : 산조풀에 비하여 화서가 고개를 숙이는 편이며, 두 포영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까락이 호영 끝에 달린다. 갯조풀 2포영이 소수의 2배 정도로 더 길고 뾰족하고 날카로워서 마치 긴 까락처럼 보인다. 실새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886 https://qweenbee.tistory.com/888688.. 2025. 9. 16. 참죽나무(멀구슬나무과 참죽나무속) Toona sinensis (Juss.) M.Roem. 2025. 7. 6. 경북. 참죽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7758https://qweenbee.tistory.com/8897795 https://qweenbee.tistory.com/8902796 https://qweenbee.tistory.com/8907629 https://qweenbee.tistory.com/8908287https://qweenbee.tistory.com/8909788 https://qweenbee.tistory.com/8912395참죽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740 https://qweenbee.tis.. 2025. 9. 1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