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44

쌀새(벼과 쌀새속) Melica onoei Franch. & Sav. 2025. 8. 25. 소청도. 8월 하순의 소청도 숲을 온통 쌀새가 차지하고 있다.6월 초에 피는 참쌀새, 왕쌀새, 청쌀새에 비하여 늦여름에 피는 녀석이다. 쌀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3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3 https://qweenbee.tistory.com/8903022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7 https://qweenbee.tistory.com/8909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9970 .. 2025. 10. 5.
방동사니(사초과 방동사니속) Cyperus amuricus Maxim. 2025. 9. 28. 소청도. 방동사니속 녀석들만 만나면 방동사니가 아닐까 들여다 보긴 했지만여적까지 만나지 못하던 녀석을 생각지도 않던 소청도에서 만날 줄이야. 이미 조사되어 표본이 확보된 금방동사니와는 달라 보이는 녀석이라 표본으로 뽑아들었는데뭔가 여태 만난 녀석들과 연결되지 않는 이상함이 있어서 참방동사니라는 동료의 말에 동의하지 못하고돌아가서 도감 펴 놓고 다시 살펴야 봐야겠다고 생각했던 녀석이었다. 집에 돌아와서 건조된 표본을 루뻬로 들여다 보다가 우와~~!! 대박이다~!!! 하고 소리를 질렀다. 비늘조각 끝이 소수보다 길고 밖으로 휘어져 있는 완벽한 방동사니였다.그렇게 만나지 못해서 궁금했던 방동사니라니~~!!!생각지도 않은 만남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우연한 만남은 감동이 몇 배나 .. 2025. 10. 5.
민탐라풀(꼭두선이과 탐라풀속) Neanotis hirsuta (L.f.) W.H.Lewis var. glabra (Honda) H.Hara 2025. 9. 15. 제주. 제주도에서는 털이 없는 민탐라풀만 보고 꽃받침통에 털이 있는 탐라풀은 보지 못하였는데,9월 초순에 전라도에서 처음 만났다. 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05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39 (털)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7https://qweenbee.tistory.com/8886554 https://qweenbee... 2025. 10. 5.
송이고랭이(사초과 송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triangulata (Roxb.) J.D.Jung & H.K.Choi 2025. 7. 19. 도청 수로.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0좀올챙이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3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https://qweenbee.tisto.. 2025. 10. 3.
좀송이고랭이(사초과 송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mucronata (L.) J.Jung & H.K.Choi 2025. 9. 7. 신안. 겨우 두컷.줄기 단면이 정삼각상으로 2~10개의 끝이 둔한 난상 타원형의 소수가 밀집하여 달리고, 포엽은 수과가 익을 때 꺾이는 경향이 있다 땅속줄기는 짧게 뻗는다. 줄기는 모여나고, 단면은 모서리가 예리한 정삼각형이거나 날개가 있다. 고창고랭이와 근연분류군에 대한 검색표1. 지하경은 길게 신장하며, 화서는 1개의 소수가 달린다 ···· ··············································· 제주올챙이골 S. lineolata1. 지하경은 없거나 짧으며, 화서는 1개 이상의 소수가 달린다. 2. 식물체는 대형이고 줄기 단면은 삼각형 한가지만 있다. 3. 줄기 단면은 부등한 삼각형이고 소수 끝이 뾰 족하다 ·············.. 2025. 10. 3.
좀올챙이골(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iella hotarui (Ohwi) J.Jung & H.K.Choi 2025. 9. 7.. 신안. 남도의 대표 산지 습지 옆 물고랑에 좀올챙이골이 가늘게 꽃을 피웠다. 주로 산지 습지에 자라며 줄기가 1mm 이하로 매우 가늘고 단면이 둥글며 소수가 1~3개 정도 적게 달린다. 좀올챙이골 : 소수 난형 1~3개, 암술 3개, 수과 3릉형,올챙이고랭이 : 소수 타원형, 원주형, 4~9개, 암술 2개, 수과 편철형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 2025. 10. 3.
긴화살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breviochreata (Makino) Ohki 2025. 9. 17. 제주. 어미목 아래 계곡으로 들어가는 길 참 오랜만인데도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제주의 어두운 숲에서 만나는 긴화살여뀌를 오랜만에 대면한다.좁쌀만한 꽃을 잡으려면 눈이 시릴 정도로 집중해야 몇 장 중에 한장은 건진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 2025. 10. 3.
장대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posumbu (Buch.-Ham. ex D.Don) H.Gross 2025. 9. 15. 제주. 산자락 둘레길이나 산책로 주변 반그늘에 가느다란 화서를 길게 세운 녀석이 이 녀석이다. 잎끝이 뾰족하게 빠진 난형의 잎에 검녹색의 무늬가 있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 2025. 10. 3.
나도미꾸리낚시(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maackiana (Regel) Nakai ex T.Mori 2025. 9. 25. 경남. 우포 늪 주변이나 물도랑 농수로 주변에는 나도미꾸리낚시가 한창 열매를 결실 중이다.이 녀석은 대구 위쪽에선 본 적이 없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tps://qweenbee.. 2025. 10. 3.
큰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pendulum Fisch. ex DC. 2024. 9. 18. 경북. 푸른 가을 하늘에 흰구름 동동 띄우고 큰엉겅퀴가 누렇게 익은 벼이삭을 굽어 내려 보고 있다. 엉겅퀴(해안형)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9 https://qweenbee.tistory.com/8886916https://qweenbee.tistory.com/8901298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8https://qweenbee.tistory.com/8901337 https://qweenbee.tistory.com/8903881엉겅퀴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09 https://qweenbee.tistory.com/8901292 .. 2025. 10. 3.
산부추(백합과 부추속) Allium thunbergii G.Don 2024. 10. 25. 경북. 동네 주변 야산자락 물골 주변 습원에 산부추가 무리지어 자라고 있다.예전에 분류되어 별도의 분류군으로 분류되었던 참산부추, 세모부추, 세모산부추,한라세모부추가 모두 산부추의 이명으로 처리 되었고 강부추는 산부추의 오동정으로 밝혀졌다.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의 부추속에는 아래와 같이 정리되었다.자생식물정명Allium splendens Willd. ex Schult. & Schult.f.가는산부추2022/03/28자생식물정명Allium thunbergii G.Don var. teretifolium H.J.Choi & B.U.Oh둥근산부추2024/11/12자생식물정명Allium macrostemon Bunge산달래2022/03/28자생식물정명Allium thunbergii G.Do.. 2025. 10. 3.
큰고랭이(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us tabernaemontani (C.C.Gmel.) Palla 2025. 7.19-20. 동네 수변천. 2024. 10. 30. 도청.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 https://qweenbee.tistory.com/8912460좀올챙이골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3 큰고랭이 : http://blog.daum.net/qweenbee/8903980 .. 2025. 10. 2.
세모고랭이(사초과 올챙이고랭이속) Schoenoplectus triqueter (L.) Palla 2025. 9. 25. 창녕. 큰고랭이속 중에서 처음 만나는 세모고랭이다. 첫 대면이라 거 감동적이고 기쁘다. 둥그런 고랭이 줄기만 보다가 완벽한 세모 모습을 보니 신기하다.꽃 달림도 큰고랭이 보다 많이 엉성하고 성글다. 아직도 만나지 못한 녀석들이 이렇게 많다. 올챙이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86 https://qweenbee.tistory.com/8909665 좀올챙이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4 https://qweenbee.tistory.com/8911453 https://qweenbee.tistory... 2025. 10. 2.
참나무겨우살이(꼬리겨우살이과 참나무겨우살이속) Taxillus yadoriki (Siebold ex Maxim.) Danser 2025. 9. 15. 제주. 마악 한 두 송이 개화를 시작하고 있다.사진이 인증샷 밖에 안된다. 해가 넘어가는 중이고 꽃봉오리가 너무 산만했고, 내 카메라의 심도가 너무 높아서리....ㅎㅎ 동백나무겨우살이: https://qweenbee.tistory.com/8891156 https://qweenbee.tistory.com/8891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1008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36 https://qweenbee.tistory.com/8889249 https://qw.. 2025. 10. 2.
애기망초(국화과 망초속) Erigeron pusillus Nutt. 2025. 9. 15. 제주. 그렇게 보고싶어 하던 애기망초를 결국 몇 년 만에 만났다. 길 지나던 동네에서 참꽃나무겨우살이가 혹시 개화했나 싶어서 기웃거리다가 난데 없이 이 녀석을 만났던 것이다. 귀화식물이라고 하지만 오래 전부터 살고 있었을 터라.그 또한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식물의 하나이고그렇게 주변에 위해를 끼치기 않으니 미운 대상은 아니다.어린 신초는 한 번 본 적이 있지만 아직 제대로 만나지 못햇으니 한 번은 만나보고 싶던 녀석이다. 망초에 비해 키가 작고 줄기에 털이 없으며 두상화가 가지 끝에 느슨하게 달린다. (학명이 개망초속으로 바뀌면서 망초속 기존 학명을 모두 이명처리되었다.) 줄기 가운데 잎은 선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2~5cm, 폭 4~10mm,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거나.. 2025. 1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