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99

몽골식물 - 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squarrosum Stephan ex Willd. 2015. 7. 27. 몽골 흡수굴. 이 녀석도 정체를 파악하지 못한 꿩의다리속 녀석이다.잎이 동글동글하고 잎끝이 둔한데.....묏꿩의다리는 어떨까? 열매에 숙존하는 암술 주두의 고부라진 모습과 잎의 형태로 봐서 이 녀석이 묏꿩의다리라 생각이 드는데,소엽병에도 탁엽이 발달하는 점을 확인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묏꿩의다리의 분포가 한국과 일본에 한정적이라는 것이 걸린다. 꽃동무 덕분ㅇ에 다른 종을 검색해 보니 Thalictrum squarrosum 로 확인이 된다이 녀석은 시베리아와 중국 중북부, 중국 중남부, 치타 내몽골, 이르쿠츠크 하바롭스크 만주, 몽골 투바, 야쿠티야 에 분포한다 묏꿩은 소탁엽까지 있고 탁엽이 밋밋하며 좁은 난형의 수과 양면에 3~4개의 능선이 있고화주(암술)는 가늘고 현저.. 2025. 7. 17.
백두산식물 -바이칼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열매 Thalictrum baicalense Turcz. 2025. 6. 10. 중국. 황송포 주변.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e.tistory.com/8896940 꿩의다리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26 https://qweenbee.tistory.com/8903142 .. 2025. 7. 17.
백두산식물 -바이칼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baicalense Turcz. 2025. 6. 10. 중국. 몇 년 전 점심을 먹는 사이에 이 곳 식당 주변에서 바이칼꿩을 담은 적이 있어서 식사를 마치자 말자 숲을 뒤졌다. 다들 반대편에서 꽃고비에 정신이 팔려 있어서 룸메이트 꽃동무와 함께 편안하게 담을 수가 있었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 2025. 7. 17.
백두산식물-장미과 양지꽃속 Potentilla argentea L. 2024. 5. 10. 중국 오도천. 가락지나물 잎처럼 5갈래로 갈라진 잎을 가진 녀석이다. 검색해 보니 꽃은 노란 양지꽃과 같다. 분포지역이 꽤 넓다. 양지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552 https://qweenbee.tistory.com/8893210https://qweenbee.tistory.com/88959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353https://qweenbee.tistory.com/8908811 https://qweenbee.tis.. 2025. 7. 17.
몽골식물 -장미과 물싸리풀속 Sibbaldianthe adpressa (Bunge) Juz. 2025. 6. 21. 몽골 첫날 테를지로 가는 길 몽골의 도로는 휴게소도 거의 없고 그래서 화장실 또한 없다.이동을 하다가 뒤가 급하게 되면 적당한 곳에 차를 세우는 곳이 화장실이 된다. 잠시 멈춤의 시간에도 풀들을 살피다 보면 뜻밖의 녀석을 만날 수도 있다.너도양지꽃처럼 아주 작은 꽃잎과 물싸리풀 잎을 닮은 이 녀석도 건조하고 작은 풀들이 있는 초지에서 만나는 녀석인데첫 휴식의 자리에서 띡 한번 만났다. 양지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589 https://qweenbee.tistory.com/8891552 https://qweenbee.tistory.com/8.. 2025. 7. 17.
몽골식물 - 푸른아마(아마과 아마속) Linum perenne L 2025. 6. 24. 몽골 세 번째 야영지. 몽골의 아마를 푸른아마 Linum perenne 로 기록하고 있는데아마 Linum usitatissimum 녀석과 비교해도 차이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중국식물지의 기재문을 번역문으로 비교해 보았다.큰 차이는 잎맥과 꽃받침맥인데...... Linum perenne 잎은 교대로 선형에서 선형 피침 형, 2-4cm × 1-5mm, 기저부에서 1 (또는 3) 정맥, 기저부 감쇠, 정점 급성. 꽃은 racemose cymes, ca. 직경 2cm, 이형. 작은 꽃자루는 1-2.5cm, 직립 또는 약간 구부러져 있습니다. 꽃받침은 난형, 3.5-5 mm, 5 또는 7 정맥, 가장자리 전체; 정점이 급성 인 외부 3 개의 꽃받침; 정점 둔각이 있는 내부 2 개의 꽃.. 2025. 7. 17.
몽골식물-고산물망초(지치과 개꽃마리속) Myosotis alpestris F.W.Schmidt 2025. 6. 22. 몽골 테를지. 아침 이슬 반짝이는 풀꽃들에 반하여아침밥 짓는 것도 잊고 이슬방울과 놀았다. 흡수굴 도착 직전 이깔나무 숲 숙영지에서도자잘하게 피어 있는 고산물망초와 고산봄맞이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https://qweenbee.tistory.com/8912068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25. 7. 17.
몽골식물 -들지치 (지치과 들지치속) Lappula squarrosa (Retz.) Dumort. 2025. 6. 22. 테를지에서 이동하며. 몽골은 아직도 석탄으로 발전을 하여 울란바토르의 대기는 미세먼지로 늘 뿌옇다. 광활한 초지는 국가에서 장기 대여를 해 주어서 경작을 하는데, 밀, 보리, 유채 등을 주로 재배한다.경작지로 허가받은 초지의 경계 철책이 이전 보다 더 많이 쳐진 것 같다.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는 인구가 밀집하여서 휴일이나 러시아워에는 차가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로 정체가 심하다.일요일이라 테를지에서 주말 휴가를 보내고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는 차량에 장난이 아니게 길이 막힌다.울란을 통과하지 않고 외곽으로 돌아가기로 해도 일단 울란 쪽으로 들어오는 길은 주차장 수준이다. 휴게소에 들러서 커피와 음료수를 하면서 잠시 쉬는 사이 또 주변을 뒤진다.들지치는 구글에서는 검색이 되는데 중국식.. 2025. 7. 17.
뚝지치(지치과 뚝지치속) Hackelia deflexa (Wahlenb.) Opiz 2025. 5. 하순. 참 오랜만에 만났다.오래 전 처음 만나서 신기해 했던 녀석이다.길 확장 공사로 많이 사라졌었는데, 그래도 여태까지 끈질기게 살아준 게 고맙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https://qweenbee.tistory.com/8912068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 2025. 7. 17.
몽골식물 -산지치속 Eritrichium pauciflorum (Ledb.) DC. 2023. 6. 26. 몽골. 첫 야영지로이동하면서 중간 중간 차를 세우고 무작정 탐사하기.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바닥에 거의 붙어서 퍼져 있는 듯한 녀석이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https://qweenbee.tistory.com/8912068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7. 17.
몽골식물 -지치과 Anoplocaryum compressum Ledeb. 2025. 6. 22. 몽골 테를지국립공원. 몽골에 도착하자 말자 테를지로 향하였다.우리 니라 처럼 몽골도 전체적으로 개화가 늦은 것 같아서흡수굴의 일정을 조금 늦게 잡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는 대장의 판단이었다. 비가 오지 않은 숲은 건조하였고 풀들도 목마름으로 지쳐 있었다. 테를지 옆 초지에서 숙영 후 둘째 날 바위산을 탐사하다가 만난 한 포기 지치과 녀석이다.개꽃마리속으로 보이는데 2015년 테를지 뒷산에서 만난 적이 있는 녀석이다.그 때 처럼 바위 아래 반 그늘에서 만났는데 다른 지치과 녀석만큼 흔하지는 않은 것 같다. 학명이 Anoplocaryum compressum 이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속이다.원산지 분포가 S. 시베리아에서 몽골까지로 분포지가 넓지 않다. 넓은 난형의 잎을 가지고 가지가.. 2025. 7. 17.
몽골식물 -원지과 원지속 Polygala comosa Schkuha 2025. 6. 25. 몽골에서는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꽃의 구조가 원지속 비슷하여 찾아보니 원지속이 맞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9https://qweenbee.tistory.c.. 2025. 7. 16.
몽골식물 -월귤(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Vaccinium vitis-idaea L. 2025. 6. 25. 몽골. 테를지와 흡수굴의 습자 숲 바닥에서 만났다.아직 애기월귤을 본 적이 없어서 혹시나 이 녀석이 애기월귤 이 아닐까 싶었는데 애기월귤 학명으로 검색하면 넌출월귤이 소팅된다.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애기월귤 Vaccinium oxycoccus L. subsp. microcarpus (Turcz.) Kitam.잎은 어긋나기하고 달걀 모양 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6㎜, 폭 2㎜로서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가장자리는 뒤로 말리며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 미만으로서 거의 없다. 꽃은 1~2개가 가지 끝에 달리며 밑으로 처지고 꽃자루는 길이 2㎝로서 털이 거의 없으며 중앙부에 2개의 작은 포가 있다. 꽃받침은 .. 2025. 7. 16.
몽골식물 -황산차(진달래과 진달래속) 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subsp. parvifolium (Adams) T.Yamaz. 2025. 6. 25. 몽골 흡수굴. 이탄층도 나타나는 숲 깊은 습한 초지에서 붉은 진달래속 꽃을 보고 혹시나 산진달래일까 했지만 황산차였다.일행들은 이 녀석에는 눈길도 주지 않고 털복주머니 찾는다고 저 멀리 앞서 가는데이 녀석을 그냥 지나칠 수 없어서 또 시간이 늦어진다. 열흘 전 백두산에서는 겨우 한 송이 핀 거 봤기 때문이다. 이미 꽃이 다 졌지만 몇 송이 늦게 핀 녀석이 어찌나 고맙던지.. 흰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024https://qweenbee.tistory.com/8886690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1https://qweenb.. 2025. 7. 16.
몽골식물 -여로속 Veratrum lobelianum Bernh 2025. 6. 27. 몽골 2023년 흡수굴 숲에서도 만났던 녀석인데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는 길 휴게소 숲에서 만난 녹색꽃을 피우고 있는 여로속 녀석이다. 2년 전에도 이 숲을 뒤졌더랬는데 이 녀석은 보지 못했다.그 때는 이 곳의 개화가 좀 늦었던 것 같다. 작약꽃을 보았으니까.그러니 이 녀석이 꽃을 피우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전초에 부드러운 털이 많다. 박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55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8https://qweenbee.tistory.com/8893931 https://qweenbee.tistory.com/8905583https://qweenbee.tistory.com/8894881 ht.. 2025.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