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910 술패랭이꽃(석죽과 패랭이꽃속) Dianthus longicalyx Miq. 2025. 7. 27. 경북. 퇴임 전 마지막 근무하던 학교 주변 산 자락에 술패랭이가 한창이다.올해는 웬일인지 아직까지 풀베기 작업을 하지 않아서 술패랭이가 용케도 꽃을 피웠다. 해가 기우는 4시가 넘은 시각인데도 이글거리는 태양의 풀무질은 대기를 용광로로 만든다.대충 몇 장 촬영하는데도 화상을 입을 정도이다. 꽃도 가뭄으로 시들하여 그냥 자료용으로 몇 장 담았다. 갯패랭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30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4https://qweenbee.tistory.com/8895957 https://qweenbee.tistory.com/8896017https://qweenbee.tistory.com/88.. 2025. 8. 1. 몽골식물 -앵초속 Primula nutans Georgi 2025. 6. 25. 몽골 흡수굴. 흡수굴 북편 깊게 들어가다가 너무 험한 길에 결국 중간에 차를 세우고 주변의 꽃을 탐사하였다. 호수변 가장자리 초지는 완전 꽃 잔치가 벌어지고 있었다.앵초속 녀석도 초록의 풀밭에 분홍색 꽃 무늬를 그리고 있다. 앵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462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3 https://qweenbee.tistory.com/8910236 https://qweenbee.tistory.com/8895483 한라설앵초 : https://qween.. 2025. 8. 1. 일월비비추(백합과 비비추속) Hosta capitata (Koidz.) Nakai 2025. 7. 27. 강원도. 고산의 숲 아래는 일월비비추가 한창이다. 일월비비추 : https://qweenbee.tistory.com/8886168 https://qweenbee.tistory.com/8892624 https://qweenbee.tistory.com/8894893 https://qweenbee.tistory.com/8899636 https://qweenbee.tistory.com/8905791 https://qweenbee.tistory.com/8905911 https://qweenbee.tistory.com/8907639 https://qweenbee.tistory.com/8912262(.. 2025. 7. 31. 쇠풀(벼과 쇠풀속) Schizachyrium brevifolium (Sw.) Nees ex Büse 2024. 8. 5. 강 건너. 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7940 https://qweenbee.tistory.com/8909510 https://qweenbee.tistory.com/8909550 https://qweenbee.tistory.com/8912261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1쇠풀 어린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7661 https://qweenbee.tistory.com/8907672 https://qweenbee.tistory.com/8909237 2025. 7. 31. 가는금불초(국화과 금불초속) Inula linariifolia Turcz. 2024. 8. 5. 이웃동네. 잎의 너비가 1cm 미만의 선상 피침형, 선형으로 잎 가장자리가 약간 뒤로 말린다 총포편은 4배열로 포편 부속체가 작다. 금불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51 https://qweenbee.tistory.com/8889149https://qweenbee.tistory.com/8901966 https://qweenbee.tistory.com/8896557 https://qweenbee.tistory.com/8899717 https://qweenbee.tistory.com/8900180https://qweenbee.tistory.com/8900192금불초속(몽골) : https://qweenbee.tistory... 2025. 7. 31. 넓은잎기린초(돌나물과 기린초속) 가을형 Phedimus ellacombeanus (Praeger) 't Hart 2023. 11. 26. 영덕. 경북 동해안의 넓은 잎을 가진 기린초 녀석의 거을 모습이다.기린초속을 정리하다가 문득 중학교 동기들과동해안 나들이 가서 담았던 넓은잎 기린초가 떠올라서 파일을 찾았다. 삼척, 울진, 영덕에 분포한다고 해는데 포항까지도 넓은잎기린초가 나타난다.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53https://qweenbee.tistory.com/8902933 https://qweenbee.tistory.com/8909849섬기린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4 https://qweenbee.tistory.com/8908173 .. 2025. 7. 31. 태백기린초(돌나물과 기린초속) 열매 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2025. 7. 27. 강원도. 태백에서 만난 한국특산식물 태백기린초이다.봄날 노랗게 꽃잎때 만났으면 참 이뻤을텐데....국립공원에서 유전자원보전사업으로 종자를 채취한다고 여러 개체에 종자망을 묶어 놓은 게 보인다.특산식물은 잘 보전해야겠지.기린초에 비하여 꽃차례부근의 잎이 밀집해서 달리고 타원상 난형, 넓은 난형으로 넓다, 어린 개체이다.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53https://qweenbee.tistory.com/8902933 https://qweenbee.tistory.com/8909849섬기린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4 .. 2025. 7. 31. 흰색 일월비비추(백합과 비비추속) Hosta capitata (Koidz.) Nakai 2025. 7. 27. 강원도. 오랜만에 들른 이 산에는 일월비비추가 절정이었는데 흰색의 일월비비추도 무척 많이 보였다. 전에는 흰일월비비추로 변종의 위치로 있었던 거 같은데 그냉 일월비비추 이명 처리된 것 같다. 일월비비추 : https://qweenbee.tistory.com/8886168 https://qweenbee.tistory.com/8892624 https://qweenbee.tistory.com/8894893 https://qweenbee.tistory.com/8899636 https://qweenbee.tistory.com/8905791 https://qweenbee.tistory.com/8905911 .. 2025. 7. 30. 파란여로(백합과 여로속) 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 2025. 7. 27. 강원도. (긴잎)여로와 함께 어울려 섞여서 피고 있던 녀석이다.이런 화색을 여태 푸른여로 Veratrum versicolor Nakai f. viride Nakai 라 했었는데 푸른여로는 흰여로 Veratrum versicolor 의 변종이다. 그러니 이 녀석은 여로의 화색의 변이체인 변종 파란여로 Veratrum maackii var. parviflorum 가 맞다.여태 아무 생각 없이 화색을 가지고 잘못 정리된 걸 다시 살펴야겠다. 두 기관의 여로속 학명에 자이가 있다.국립생물자원관은 여로가 원종으로(긴잎여로는 등록되지 않음), 국가표준목록에는 긴잎여로가 원종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 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 2025. 7. 30. (긴잎)여로(백합과 여로속) Veratrum maackii Regel 2025. 7. 27. 강원도. 강원도 고산은(긴잎)여로의 시간이었다.사실 여로와 긴잎여로는 잎의 폭의 차이에 따라 별도 분류군으로 종의 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구분에 용이하지 않다. 금대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변에는 화색이 녹색인 파란여로 Veratrum maackii var. parviflorum 도 함께 있는데긴잎여로와 화색만 다를 뿐 다른 점이 없다. 국가표준식물목록과 한반도생물다양성의 여로 학명이 다르다.한반도생물다양성에서는 긴잎여로가 없고 여로가 원종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 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긴잎여로 Veratrum maackii Regel파란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2025. 7. 30. 몽골식물 - 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2025. 6. 28. 몽골 울란바토르. 공항으로 가는 길 시간 짬이 나서 초지에 잠시 들렀다.이 녀석도 본 적이 있는 꿀풀과 용머리속 녀석이라. 향용머리인가 했더니만 엽형이 달라서 다른 분류군이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1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5벌깨덩굴 신초 : https:/.. 2025. 7. 29. 창포(천남성과 창포속) Acorus calamus L. 2025. 4. 30. 경남 습지. 잎은 붓꽃과 처럼 생겼지만 화서가 도깨비 방망 같은 천남성과이다.물도랑이나 연못 주변에 자라는데, 비슷한 녀석으로 산지 계곡부에자라는 석창포가 있다. 창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0 https://qweenbee.tistory.com/8888402https://qweenbee.tistory.com/8892240 https://qweenbee.tistory.com/8896008https://qweenbee.tistory.com/8907964 https://qweenbee.tistory.com/8912253 석창포 : https://qweenbee.tistory.com/8891201 https:/.. 2025. 7. 28. 꽃창포(붓꽃과 붓꽃속) Iris ensata Thunb. 2025. 7. 26. 강원도. 여기 저기서 만난 꽃창포붓꽃과 달리 외화피 기부에 노란색 무늬가 있다. 2025. 6. 18. 천년 숲. 2025. 7. 11. 뒷동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솔붓꽃 : htt.. 2025. 7. 28. 금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rochebruneanum Franch. & Sav. 2025. 7. 26. 강원도. 보라색 구슬 같은 봉오리에 노란 금빛 꽃술이 폭죽처럼 터졌다. 오로지 꽃을 보기 위해 길나서게 한 세번 째 녀석이다. 조금 뜨겁긴 했지만 작은 바람 한 줌 덕분에오랜만의 만남이라 한참동안 눈 맞춰 놀게 했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 2025. 7. 28. 연잎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var. coreanum (H.Lév.) H.Lév. ex Tamura 2025. 7. 26.강원도. 이 녀석 본지 한참 되어 지나는 길에 들렀다.이십 여년 전에는 큰 포기들도 참 많았는데 이래 저레 채집당하고구석 구석에 몇 포기가 간신히 남아서 명맥을 잇고 있다. 꽃지연잎꿩의다리는 잎이 작고 화서가 풍성하지 않지만연잎꿩의다리는 화서가 풍성하고 잎도 크고 전초도 크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 2025. 7. 28.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1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