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63 몽골식물 -시베리아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할미꽃속) Pulsatilla turczaninovii Krylov & Serg. 2025. 6. 25. 몽골. 호숫가에 지각생 두어 포기가 반갑게 맞아준다학명으로 봐서 시베리아할미꽃이 좋겠다. 할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4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8https://qweenbee.tistory.com/8898516 https://qweenbee.tistory.com/8903623 https://qweenbee.tistory.com/8905067 https://qweenbee.tistory.com/8906809(노랑) https://qweenbee.tistory.com/8908232(노랑)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6 https://.. 2025. 7. 15. 몽골식물-분홍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Takah. 2025. 6. 26. 몽골 흡수굴. 숲 골짜기 습한 곳.분홍노루발이 군락으로 나타난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e.tistory.com/8903638 매화노루발 : https://qween.. 2025. 7. 14. 백두산식물 -콩팥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renifolia Maxim. 2025. 6. 10. 중국 지린성 부석림 아깝다.욘석도 아직 봉오리만 물고 있다. 2-4개의 꽃이 달리고 꽃받침 조각이 삼각상 난형, 꽃대는 길이 10-20cm로서 간혹 1개의 인엽이 있다.2~5cm 엽병에 둥근 콩팥 모양의 잎이 뿌리에 1~3개 달리고 잎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 2025. 7. 14. 백두산식물 -새끼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Orthilia secunda (L.) House 2025. 6. 10. 부석림. 비가 오락가락 하는 날씨에도 주룩주룩이 아니라서 다행이라 생각하면서 부석림 숲을 탐사하였다. 몇 개체 찾은 새끼노루발이 봉오리만 물고 있어서 아쉬웠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 2025. 7. 14. 몽골식물 -분홍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Takah. 2025. 6. 26. 몽골흡수굴. 이 녀석도 그냥 분홍노루발이려니 했다. 헌데 화색이 좀 다르다. 도감을 확인하니 Pyrola rotundifolia 과 비슷하다.아니면 그냥 색이 좀 연한 분홍노루발일까?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7. 14. 몽골식물 -노루발속(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chlorantha Sw. 2025. 6. 27. 분화구 속을 탐사하다가 만난 노루발속 녀석이다 백두산에서 보던 녀석과 같지는 않고 국내의 노루발보다 잎자루가 길고 표면에 흰줄무늬도 없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 2025. 7. 14. 백두산식물-분홍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Takah. 2025. 6. 9. 백두산 여러 차례 백두산을 다녔지만 이 녀석은 처음 만난다. 아마도 시기를 맞추지 못했거나 이 곳에 들르는 일정이 없었던 거 같다.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e.ti.. 2025. 7. 14. 백두산식물 - 개감채(백합과 개감채속) Lloydia serotina (L.) Rchb. 2025. 6. 9. 북백두 산문 숙소. 북백두 숙소 아침. 이름 시각에 녹연담까지 탐사를 했다.산문이 문을 열면 걸어다니지 못하는 곳이라서 새벽 4시부터 움직였다. 높은 바위 이끼벽에 드문 드문 자리 잡은 개감채 녀석이 반갑다. 몽골도감에는 Gagea serotina 로 중의무릇속으로 올려져 있는데이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이명처리가 되어 있다 개감채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96 https://qweenbee.tistory.com/8911705(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2181 (백두) 나도개감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93623 https://qweenbee... 2025. 7. 14. 망개나무(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 열매 Berchemia berchemiifolia (Makino) Koidz. 2025. 7. 8. 강 건너, 낙동강 건너 산 자락에 이 녀석이 산다.청송 주왕산에 주 자생지로 알려져 있지만 팔공산과 보현산 등 경북의 몇 군데 산에서는 이 녀석이 살고 있다. 매년 꽃과 열매를 보러 다녔지만 몇가지 일을 맡아서 진행하느라 몇 년을 잊어 버리고 있었는데,다른 일로 잠깐 들렀다가 이 녀석이 생각이 나서 겸사겸사 찾았더니 이렇게 열매가 익고 있었다. 매년 두어 그루만 학인했더랬는데 붉은 열매가 달리니 수고가 높은 큰 녀석들이 여기 저기 꽤 많이 나타난다. 산황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63 https://qweenbee.tistory.com/8906442산황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916 ht.. 2025. 7. 14. 큰조롱(협죽도과 백미꽃속) Cynanchum wilfordii (Maxim.) Maxim. ex Hook.f. 2025. 7. 2. 서해 섬. 이 녀석은 육지에서는 보이는대로 뿌리를 캐 가서 꽃 보기가 쉽지 않은데이 곳 섬에서는 여기 저기 아주 흔하게 보였다. 작은 마을 집집마다 한 두 포기씩 이 녀석을 가르는 모습이 발견이 되긴 했지만이 섬은 찾는 이가 많지 않고 가구 수가 적어서 야생 상태의 모습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 같다. 날씨가 더버서 폰으로 대충 담았다. 흑박주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72 https://qweenbee.tistory.com/8894214https://qweenbee.tistory.com/8888505흑박주가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235 https://qweenbee.tistory.c.. 2025. 7. 14. 몽골식물 - 북극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oederi Vahl 2025. 6. 24. 몽골 흡수굴.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넓게 분포한다.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이 녀석을 "북극송이풀"이라 명명하였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 2025. 7. 13. 몽골식물 -붉은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rubens Stephan 2025. 6. 24. 몽골 흡수굴. 국가표준식물 목록애ㅔ는 국명이 없지만김찬수박사의 알타이식물 탐사기 p380에 "붉은송이풀"로 국명을 명명하여 실려 있어서 그에 따라 국명을 정리한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 2025. 7. 13. 몽골식물 - 가는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fragile Turce. 2025. 6. 24. 몽골 흡수굴. 이 녀석은 초지보다 건조한 곳을 좋아한다.두 군데서 만난 환경은 모두 물이 가까운 자갈밭이었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1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5벌깨덩굴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280 htt.. 2025. 7. 13. 몽골식물 - 북극담자리꽃나무(장미과 담자리꽃나무속) Dryas oxyodonta Juz. 2025. 6. 24. 흡수굴. 호수변을 걸어나오면서 탐사하는 도중에 만난 담자리꽃나무에 반색을 했지만거의 다 지고 난 모습이라 많이 아쉬웠다. 이 녀석은 백두산의 녀석과는 다른 녀석으로 2003년에 출판된 (2003)에 에 '북극담자리꽃나무'로 이미 국명이 명명되어 출판되어 있다. Dryas oxyodonta 의 분포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까지이다. 담자리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4715 담자리꽃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81 북극담자리꽃나무속(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10821 https://qweenbee.tistory.com/8912174 찐구루마 .. 2025. 7. 13. 몽골식물 -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Micranthes nelsoniana subsp. aestivalis 2025. 6. 24. 몽골 흡수굴. 바위취 :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8바위취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194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9 바위떡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6 https://qweenbee.tistory.com/8901374 https://qweenbee.tistory.com/8889097 https://qweenbee.tistory.com/8886600 https://qweenbee.tistory.com/89015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937 ht.. 2025. 7. 13.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17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