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8 태백기린초(돌나물과 기린초속) 열매 Phedimus latiovalifolius (Y.N.Lee) D.C.Son & H.J.Kim 2025. 7. 27. 강원도. 태백에서 만난 한국특산식물 태백기린초이다.봄날 노랗게 꽃잎때 만났으면 참 이뻤을텐데....국립공원에서 유전자원보전사업으로 종자를 채취한다고 여러 개체에 종자망을 묶어 놓은 게 보인다.특산식물은 잘 보전해야겠지.기린초에 비하여 꽃차례부근의 잎이 밀집해서 달리고 타원상 난형, 넓은 난형으로 넓다, 어린 개체이다.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53https://qweenbee.tistory.com/8902933 https://qweenbee.tistory.com/8909849섬기린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4 .. 2025. 7. 31. 흰색 일월비비추(백합과 비비추속) Hosta capitata (Koidz.) Nakai 2025. 7. 27. 강원도. 오랜만에 들른 이 산에는 일월비비추가 절정이었는데 흰색의 일월비비추도 무척 많이 보였다. 전에는 흰일월비비추로 변종의 위치로 있었던 거 같은데 그냉 일월비비추 이명 처리된 것 같다. 일월비비추 : https://qweenbee.tistory.com/8886168 https://qweenbee.tistory.com/8892624 https://qweenbee.tistory.com/8894893 https://qweenbee.tistory.com/8899636 https://qweenbee.tistory.com/8905791 https://qweenbee.tistory.com/8905911 .. 2025. 7. 30. 파란여로(백합과 여로속) Veratrum maackii Regel var. parviflorum (Maxim. ex Miq.) H.Hara 2025. 7. 27. 강원도. (긴잎)여로와 함께 어울려 섞여서 피고 있던 녀석이다.이런 화색을 여태 푸른여로 Veratrum versicolor Nakai f. viride Nakai 라 했었는데 푸른여로는 흰여로 Veratrum versicolor 의 변종이다. 그러니 이 녀석은 여로의 화색의 변이체인 변종 파란여로 Veratrum maackii var. parviflorum 가 맞다.여태 아무 생각 없이 화색을 가지고 잘못 정리된 걸 다시 살펴야겠다. 두 기관의 여로속 학명에 자이가 있다.국립생물자원관은 여로가 원종으로(긴잎여로는 등록되지 않음), 국가표준목록에는 긴잎여로가 원종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 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 2025. 7. 30. (긴잎)여로(백합과 여로속) Veratrum maackii Regel 2025. 7. 27. 강원도. 강원도 고산은(긴잎)여로의 시간이었다.사실 여로와 긴잎여로는 잎의 폭의 차이에 따라 별도 분류군으로 종의 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구분에 용이하지 않다. 금대봉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변에는 화색이 녹색인 파란여로 Veratrum maackii var. parviflorum 도 함께 있는데긴잎여로와 화색만 다를 뿐 다른 점이 없다. 국가표준식물목록과 한반도생물다양성의 여로 학명이 다르다.한반도생물다양성에서는 긴잎여로가 없고 여로가 원종으로 등록이 되어 있다. 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긴잎여로 Veratrum maackii Regel파란여로 Veratrum maackii Regel.. 2025. 7. 30. 몽골식물 - 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2025. 6. 28. 몽골 울란바토르. 공항으로 가는 길 시간 짬이 나서 초지에 잠시 들렀다.이 녀석도 본 적이 있는 꿀풀과 용머리속 녀석이라. 몰디비아용어리인가 했더니만 엽형이 달라서 다른 분류군이다.학명은 못 찾겠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41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5벌깨덩굴.. 2025. 7. 29. 창포(천남성과 창포속) Acorus calamus L. 2025. 4. 30. 경남 습지. 잎은 붓꽃과 처럼 생겼지만 화서가 도깨비 방망 같은 천남성과이다.물도랑이나 연못 주변에 자라는데, 비슷한 녀석으로 산지 계곡부에자라는 석창포가 있다. 창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0 https://qweenbee.tistory.com/8888402https://qweenbee.tistory.com/8892240 https://qweenbee.tistory.com/8896008https://qweenbee.tistory.com/8907964 https://qweenbee.tistory.com/8912253 석창포 : https://qweenbee.tistory.com/8891201 https:/.. 2025. 7. 28. 꽃창포(붓꽃과 붓꽃속) Iris ensata Thunb. 2025. 7. 26. 강원도. 여기 저기서 만난 꽃창포붓꽃과 달리 외화피 기부에 노란색 무늬가 있다. 2025. 6. 18. 천년 숲. 2025. 7. 11. 뒷동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95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솔붓꽃 : htt.. 2025. 7. 28. 금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rochebruneanum Franch. & Sav. 2025. 7. 26. 강원도. 보라색 구슬 같은 봉오리에 노란 금빛 꽃술이 폭죽처럼 터졌다. 오로지 꽃을 보기 위해 길나서게 한 세번 째 녀석이다. 조금 뜨겁긴 했지만 작은 바람 한 줌 덕분에오랜만의 만남이라 한참동안 눈 맞춰 놀게 했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 2025. 7. 28. 연잎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var. coreanum (H.Lév.) H.Lév. ex Tamura 2025. 7. 26.강원도. 이 녀석 본지 한참 되어 지나는 길에 들렀다.이십 여년 전에는 큰 포기들도 참 많았는데 이래 저레 채집당하고구석 구석에 몇 포기가 간신히 남아서 명맥을 잇고 있다. 꽃지연잎꿩의다리는 잎이 작고 화서가 풍성하지 않지만연잎꿩의다리는 화서가 풍성하고 잎도 크고 전초도 크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 2025. 7. 28. 중나리(백합과 백합속) Lilium leichtlinii Hook.f. subsp. maximowiczii (Regel) J.Compton 2025. 7. 26. 강원도. 중나리 군락은 참 오랜만에 만났다.꽃동무의 안내로 가는 도중에도 도로변에 군데 군데 중나리가 펴 있는 모습이 보인다.소백산의 능선의 중나리 군락은 꽤 유명하지만강원도 지역은 도로변 산자락이나 하천변 같은 낮은 지역에 자라고 있어서 산에 오르지 않고도 만날 수 있어서 편하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 2025. 7. 28. 말나리(백합과 백합속)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 2025. 7. 26-27. 일이 아닌 꽃을 보기 위한 목적의 출발은 참으로 오랜만이다.도시는 36도 이상으로 끓고 있어서 피서도 할 겸. 산으로 피신을 한 것인데산도 이 폭염의 포위망을 뚫지 못하고 허덕거리고 있었다. 신갈나무 숲 아래 말나리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포기하지 않고 곱다, 고산에 사는 말나리는 하늘말나리처럼 잎이 돌려나지만 꽃이 옆을 보고 피는 점이 하늘말나리와 다르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 2025. 7. 28. 하늘말나리(백합과 백합속) Lilium tsingtauense Gilg 2025. 6. 7. 뒷산. 꽃의 얼굴이 하늘을 쳐다보는 돌려나는 잎을 가진 나리다.고산에 사는 말나리에 비하여 비교전 낮은 산지에 자생한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https:.. 2025. 7. 28. 호비수리(콩과 싸리속) Lespedeza davurica (Laxm.) Schindl. 2025. 7. 20. 동네. 아직 다른 녀석들은 입다물고 있는데 유독 성질급한 한 포기는 만개를 하였다.비수리에 비하여 잎자루와 꽃줄기가 길고 잎이 넓은편이며 꽃받침이 열매보다 더 긴 것이 특징이다. 비수리호비수리청비수리땅비수리자주비수리 꽃 짧은 꽃줄기 2~4개씩잎보다 짧고 꽃받침은 거의 끝까지 갈라진다잎과 길이가 비슷한 총상꽃차례로 길다.꽃받침 열편이 통부보다 3배 정도 꽃대가 길다 3-7개씩 총상꽃차례로 달림, 꽃자루 1mm. 꽃받침 3-5개의 뚜렷한 맥 있다 3-7개씩 총상꽃차례로 달림, 꽃자루 2-4mm, 꽃받침 열편에 희미한 3-5개의 맥 있다 짧은 꽃줄기에 1-4개씩 적자색으로 모여핀다.꽃부리가 꽃받침보다 2배 이상 길다 열매 2.5~3.5mm 넓은 도란형, 꽃받침보다 1.5-2배 정도 .. 2025. 7. 26. 몽골식물 - 몽골아몬드 (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mongolica Maxim. 2025. 6. 23. 몽골 엘슨타스라이 호수. 바위산 건조한 바위 틈에 짧은 가지 끝이 가시화되어 있고두껍고 광택 있는 작은 잎의 바짝 낮은 키로 앉아 있는 관목이다. 열매가 익으면 저절로 벌어져서 핵과 씨앗이 드러나는데 주민들은 이 열매를 채취한다고 한다 익어서 벌어진 열매(펌)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 https://qweenbee.tistory.com/8912038복사앵도나무.. 2025. 7. 25. 몽골식물 - 몽골식물 - 러넌큘러스 킹마엔시스 Ranunculus kangmaensis W.T.Wang 2025. 6. 22. 테를지 초지 습원.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ory.com/8902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795 https://qweenbee.tis.. 2025. 7. 25.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1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