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884

백두산식물 -까막바늘까치밥나무(까치밥나무과 까치밥나무속) Ribes horridum Rupr. ex Maxim. 2025.. 6. 9. 백두산 운동원초 이른 아침 시간 근처 숲을 탐사하면서 다양한 식물을 만난다.이 녀석은 숙소 경계바위 위에 자리 잡고 있어서아침 빛에 작품 만든다고 일행들이 모두 달라붙어서 틈새에 끼어서 몇 장 촬영하였다. 지하삼림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40 https://qweenbee.tistory.com/8887662https://qweenbee.tistory.com/8891622 https://qweenbee.tistory.com/8895336https://qweenbee.tistory.com/889559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9 https://qweenbee.tisto.. 2025. 8. 21.
몽골식물 -까치밥나무속 Ribes aciculare Sm. 2025. 8. 5. 호르혼강 유역. 바늘까치밥나무라 생각했더랬는데 닮긴 했지만 다른 녀석이다열매에 선모가 없고 잎의 결각 모습이 약간 다르다. 도감의 사진 자료의 꽃을 보니 자방에 가시 같은 선모가 없다. 이 녀석의 맹아지 가시와 잎이 열매가 달린 잔가지의 잎과 달라서 두 종이 어울려 있는 줄 알았다.투명한 열매는 벌써 관광객들이 다 따먹고 잎 뒤에 숨어 있던 몇 녀석을 겨우 찾아 내었다. 원산지는 카자흐스탄에서 시베리아 및 북신장으로 아러타이, 카자흐스탄, 크라스노야르스크, 몽골, 투바, 서부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바늘까치밥나무에 비하여 잎의 열편이 크고 둔하다아래는 바늘까치밥나무이다.바늘까치밥나무 : 잎 열편 끝이 뾰족하다.바늘까치밥나무 :; 열매에 가시 같은 선모가 있다 열매가 매끈하다. 도장지.. 2025. 8. 20.
신갈나무(참나무과 참나무속) 열매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2025. 7. 경북. 집 앞 천년 숲 공원을 조성할 때 참나무 종류를 많이 조경해 두었다.상수리, 굴참, 갈참, 졸참, 떡갈, 신갈 6종의 나무가 다 모여 있다.주로 고산지역에 군락을 이루는 신갈나무는 한 그루만 발견하였는데 맨발걷기 산책로 옆에 서 있다. 이 특이한 녀석은 농작물로 말한다면 조생종이라 해야 할까?일반적으로 대부분 참나무속 열매가 빨라도 10월 하쯤 되어야 열매가 떨어지는데이 녀석은 8월 중순부터 열매가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요즈음 맨발을 걷다가 이 녀석 열매를 줍느라고 한참 시간을 보낸다.꽤 많은 산책 매니아들이 이 꿀밤에 눈독을 들이기 때문에 나는 날이 밝을 무렵부터 맨발 걷기를 시작하고 있다.일찍 일어나는 새가 되어야 벌레를 잡아먹을 수 있기에. ㅎ 내가 이 도토리를 열심히.. 2025. 8. 20.
내몽골식물 - 덩굴뱀딸기(장미과 양지꽃속) Potentilla flagellaris Willd. ex Schltdl. 2024. 6. 내몽골. 한반도에도 자생한다고 하지만 국내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녀석을중국 내몽골에서 반갑게 만났다.피침형에 가까운 5장의 겹잎이 손바닥 모양을 만들고 있었고 길게 벋는 줄기에 부드러운 털이 많다.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모여나며 가늘다. 기는줄기가 8~60㎝이고, 엽병과 함께 털이 많다. 근생엽은 4~10㎝, 탁엽은 갈색이며 막질이고 강모로 덮여 있다. 엽신은 오출겹잎이고, 소엽은 엽병이 없으며, 잎표면은 녹색이고 피침형, 거꿀피침 모양 또는 긴타원 모양으로서, 길이 1.5~3㎝, 너비 0.7~1.5㎝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밑은 쐐기모양이고, 잎끝은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잎가장자리는 불규칙하게 3~6개로 갈라진 톱니가 있으며, 바깥쪽 2개의 소엽은 때때로 쐐기모양이다. 흰땃.. 2025. 8. 19.
몽골식물- 몬티아과(Montiaceae)클레이토니아속 Claytonia joanneana Roem. Shult. 2025. 8. 7. 몽골. 차강노르 뒷산 2800고지 능선부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딱 한 포기를 만났다.몽골식물 도감에서 확인한 학명으로 검색해 보면원산지는 시베리아에서 북몽골까지로 분포지가 그리 넓지 않다. 해외 사이트에서 찾은 꽃이다. 2025. 8. 19.
몽골식물 -시베리아범의귀(범의귀과 범의귀속) Saxifraga sibirica L. 2025. 8. 4. 오르혼강 숙영지. 처음 보고는 씨눈바위취인가 싶었는데 자세하게 들여다 보니 씨눈이 안 보인다. 참 비슷한 녀석도 다 있네 그랬더니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는 Saxifraga sibirica 학명을 가지고 있는 비슷한 녀석이었다.뿌리잎은 많이 보이긴 하는데 꽃대를 올린 개체가 별로 안 보였다. 겨우 한 송이가 나그네를 맞아준 덕분에 이 녀석을 처음 조우하게 된 것이다. 바위취 :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8바위취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194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9 바위떡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56 htt.. 2025. 8. 18.
백두산식물 -가는잎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2025. 8. 9. 지하삼림. 이 녀석도 꽃봉오리만 물고 있었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139 https://qweenbee.tistory.com/8903921 https:/.. 2025. 8. 18.
백두산식물 -죽대아재비(백합과 죽대아재비속) Streptopus koreanus (Kom.) Ohwi 2025. 6. 7. 9. 백두산 지하삼림과 숙소 주변 . 지하삼림 숲에 들어 갔다가 바위 위에 올라 서 있는 멋진 녀석을 만났다.숙소 주변 숲도 뒤지다가 꽃이 핀 걸 찾아 내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 녀석을 왕죽대아재비라고 불렀지만 일본 북해도 대설산에서 정말 크고 꽃자루 관절이 꺾여 있는 왕죽대아재비를 만났다. 죽대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48 https://qweenbee.tistory.com/8895912 https://qweenbee.tistory.com/8910522 https://qweenbee.tistory.com/8910649 https://qweenbee.tistory.com/89.. 2025. 8. 18.
나팔능소화(능소화과 능소화속) Campsis × tagliabuana (Vis.) Rehder 2025. 8. 18. 동네. 능소화와 미국능소화의 자연교잡종으로 꽃색은 미국능소화 처럼 붉지만 화관 형태는 능소화처럼 크고 꽃받침은 누른색을 띠고 있다. 꽃색이 능소화 보다 붉고 화관이 더 길며 꽃받침은 등황색, 능소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370능소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370https://qweenbee.tistory.com/8898749 https://qweenbee.tistory.com/8902865https://qweenbee.tistory.com/8907649 나팔능.. 2025. 8. 18.
백두산식물 -산골취(국화과 취나물속) 어린싹 Saussurea neoserrata Nakai 2025. 6. 10. 부석림. 전초에 털이 없고 잎 뒷면이 백녹색을 띠며 엽저가 줄기로 날개처럼 흐른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시취 종자 : http.. 2025. 8. 18.
능소화/나팔능소화/미국능소화 비교 2025. 8. 18. 폭염이 가라앉을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여기 저기 능소화는 붉게 주렴을 늘어뜨리고 있다.밖에 나갔다가 능소화 3종 비교 자료를 만들려고 촬영해 왔다.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나팔능소화 Campsis × tagliabuana (Vis.) Rehder ( 'Madame Galen')미국능소화 Campsis radicans (L.) Seem. ( 'Flamenco') 미국능소화는 화관이 작고 꽃색이 짙은 붉은색으로 화관 통부가 좁으며 길며 꽃받침도 꽃색처럼 붉은색이나능소화는 화관이 크고 꽃색이 등황색으로 화관 통부가 넓고 짧으며 꽃받참도 녹색을 띤다.나팔능소화는 두 종의 자연 교잡종으로 꽃색은 미국능소화 처럼 붉지만 화관 형태는 능소.. 2025. 8. 18.
몽골식물-시베리아매자나무(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Berberis sibirica Pall. 2025. 8. 5. 몽골. 오르혼강 유역매 현무암 바위 틈에서 자라던 시베리아매자나무의 고운 열매가 시선을 빼앗는다.몽골도 화산활동이 많았던 나라로 곳곳에 분화구와 함ㅁ께 너른 초지에 검은 현무암 바위가 다향 한 형상으로 뒹굴고 있다.그 초지에 난 길 없는 길을 주민들은 잘도 찾아서 달린다. 매자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65 https://qweenbee.tistory.com/8889288https://qweenbee.tistory.com/8905334 https://qweenbee.tistory.com/8905335https://qweenbee.tistory.com/8905336매자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 2025. 8. 18.
몽골식물 - 얇은명아주(명아주과 명아주속) Chenopodium hybridum L. 2025. 8. 5. 몽골. 언젠가는 보겠지. 만나길 기다리던 너. 그리움의 결실로 비상한 흰구름 뜬 하늘이 더 푸르다.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7 https://qweenbee.tistory.com/8898137 https://qweenbee.tistory.com/8906102가는갯는쟁이열매: https:/.. 2025. 8. 17.
몽골식물-바늘명아주(명아주과 양명아주속) Dysphania aristata (L.) Mosyakin & Clemants 2025. 8. 6. 차강노르. 국내에도 바늘명아주가 자생하고 있다. 이 녀석은 건조하고 양지바른 곳을 좋아한다,척박한 곳에서 살고 있는 녀석은 적당하게 자라 보기 좋을 때 쯤이면 풀베기 작업에 댕강댕강 잘려지는 수난을 당한다. 화산 분화구 주변 현무암 바위 틈애서 이 녀석을 발견하고 고향 까마귀 만난 듯 반겼다.일행들에게 국내에서도 귀하게 만나는 녀석이니 빨리 와서 촬영하라고 했더니 처음 본다고 신기해 한다.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 2025. 8. 17.
몽골식물 - 명아주과 명아주속 Chenopodium 2025. 8. 5. 몽골 오르혼강.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7 https://qweenbee.tistory.com/8898137 https://qweenbee.tistory.com/8906102가는갯는쟁이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87196 https://qweenbee.. 2025.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