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854 몽골식물 -얇은명아주(명아주과 명아주속) Chenopodium hybridum L. 2025. 8. 5. 몽골. 참 보고싶었다 아그야~! 재작년 몽골에 왔을 때,꽃 동무는 한 포기 봤다고 하는데 같이 동행하면서도 널 보지 못한 나는 오매불망 너 만나길 기도 했단다. 그런데 생각지도 않은 자리에서 불쑥 나타난 너를 보는 순간 반가움에 놀라서 얼마나 호들갑을 떨었던지.아무튼 이렇게 예고 없이 나타나준 네가 엄청 고마웠다는 거 알지?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 2025. 8. 17. 몽골식물 -명아주과 나도댑싸리속 Axyris prostrata L. 2025. 8. 5. 몽골 오르혼강 동글동글한 잎에 성모가 가득한 명아주과 나도댑싸리속 녀석이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같은 속으로나도댑싸리와 털나도댑싸리가 더 있다. 나도댑싸리 Axyris amaranthoides L. 우리나라 함경도, 평안북도 등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몽골, 일본 및 유럽,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댑싸리에 비해 전체적으로 별모양 털이 있고 잎이 크다. 털나도댑싸리 Axyris koreana Nakai 북부지역 함경북도 강계, 함경남도 장진 등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이다. 잎은 댑싸리와 비슷하나 뒷면에 흰 별모양의 털이 밀생하고 꽃은 나도댑싸리와 비슷하나 꽃차례가 옆으로 넓게 퍼지며 털이 많으므로 구별된다. 두 녀석 모두 아직 만나보지 못한 종이다.Axyris prostr.. 2025. 8. 17. 몽골식물-명아주과 갯능쟁이속 Bassia scoparia (L.) A.J.Scott= Atriplex scoparia 2025. 8. 5. 몽골. 이동 중 주유소 주변에서 만났다. 마을 주변 척막한 나대지에 보이는 것 같다.도감과 큐에서 정명으로 기재된 학명 Bassia scoparia 보다 이명 Atriplex scoparia로 검색하니 이미지가 많아 나타난다. 근데 이 녀석은 털이 엄청 많다.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7 https://q.. 2025. 8. 17. 몽골식물 -둥근잎명아주(명아주과 명아주속) Chenopodium acuminatum Willd. 2025. 8. 3. 몽골. 잎이 작고 동글동글한 게 귀엽다.건조한 초지에 흔하게 보이는 명아주속 녀석이다.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모래 밭에도 녀석들이 깔려 있다. 갯는쟁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30갯는쟁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0306 https://qweenbee.tistory.com/8906269갯는쟁이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8 가는갯는쟁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7 https://qweenbee.tistory.com/8898137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8. 17. 몽골식물- 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pseudoalpina? 2025. 8. 4. 몽골. 엘슨타스라이 건조한 초지에서 바닥에 붙어 있다 시피 꽃을 피우고 있었다.꽃이 피고 있는데 관모 털이 하얗게 드러나 있는 점이 특이한 녀석이다. 그림 맞추기로 도감에서 근접한 학명 Saussurea pseudoalpina을 찾긴 했는데 아무래도 미심쩍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에서 남서부까지로 시베리아 아러타이 카자흐스탄 몽골 투바 와 북신장.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8. 17. 백두산식물 - 얇은잎분취(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tenerifolia Kitag. 2023. 9. 중국. 선봉령. 서덜취와 유사한 녀석이다.중국식물지에서 찾은 학명이 Saussurea tenerifolia 이다.2025년 3월에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얇은잎분취로 등록이 되어 있다.'한국의산꽃' 책에도 '얇은잎분취'로 신칭하여 등재되어 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 2025. 8. 17. 백두산식물-능수쇠뜨기(속새과 속새속) 포자낭 Equisetum sylvaticum L. 2025. 6. 황송포. 원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윤생하며 나오고 가지의 마디에서 다시 소가지가 나오며 끝부분이 밑으로 처진다. 가지가 능수버들처럼 처진다고 해서 능수쇠뜨기라 부른다. 엽초는 녹색이고 적갈색 치편과 함께 길이 6~10㎜이며, 8~18개의 치편은 서로 합쳐져서 3~4개로 되며 황갈색의 막질이다. 포자낭수는 길이 1~2㎝이며 길이 2~6㎝의 자루가 있다. 우리 나라 평안북도, 함경남북도 등 북부지역에 자라며,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부와 북부, 일본 서북부, 러시아, 유럽 및 북미지역에 자란다. 포자줄기 끝에 포자낭수를 올린다. 잎집은 길이 5~18mm, 끝은 주황색이 도는 막질 조각으로 된다. 포자줄기의 잎집은 길이 1.5~2.5cm, 잎집조각은 2~5개씩 합쳐져서 3~5개처럼 보인다. .. 2025. 8. 17. 몽골식물- 개쇠뜨기(속새과 속새속) Equisetum palustre L. 2025. 8. 3. 테를지.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이슬방울을 달고 있는 쇠뜨기 무리에그냥 지나칠까 하다가 개쇠뜨기가 아닐까 하여 줄기 하나 뜯어들고 한참 씨름을 하였다. 일단 촬영해 두고 이제사 파일을 확인하니 옳다꾸나 개쇠뜨기였다. 쇠뜨기에 비해 가지의 잎집이 줄기의 잎집보다 짧으므로 구별된다.또한 개속새에 비해 포자낭이삭이 줄기 끝에 나며 자루가 있으므로 다르다. 개속새 포자낭수는 원줄기 때로는 가지 끝에 달리고 대가 없으며 길이 1-2㎝로서 긴 타원형이고 끝이 약간 뾰족하다.개쇠뜨기 포자낭수는 원줄기 끝에 달리며 길이 1~3cm로서 긴 타원형이며 갈색이 도는 자주색에서 점차 누른빛이 돌고 대가 있다. 우리 나라 북부지방에 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온대.. 2025. 8. 17. 몽골식물 -국화과 민들레속 taraxacum brevirostre 2025. 6. 21. 몽골. 습한 초원바닥을 노랗게 자리깔고 있던 민들레속 녀석이다.전초가 우리나라 특산인 좀민들레와 유사할 정도로 작고 색이 연한데,외총포와 내총포 포편 끝부분에 귀같은 부속체를 달고 있었다. 원산지 범위는 E. Türkiye에서 SW. 시베리아 까지로. 아프가니스탄 아러타이 이란 이라크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레바논-시리아, 몽골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투바, 튀르키, 우즈베키스탄에 분포한다. 민들레속 재검토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02 털민들레=>민들레 :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5 https:/.. 2025. 8. 13. 몽골식물- 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parviflora (Poiret) DC. ?? 2025. 8. 3. 몽골 테를지. 6월 경에 봉오리만 보고 갔는데8월 초순에 벌써 꽃이 다 져 버리고 뒤늦게 꽃 피운 늦둥이가 그래도 반겨준다.잎 기부에서 줄기를 타고 얕은 날개가 형성되는 모습이 백두산 언저리에서 본 버들취와 흡사하다, 근데 엽형과 줄기, 잎 뒷면의 털이 달라서 버들분취 보기도 애매하다. 거의 근접한 녀석을 찾긴했다. Saussurea parviflora 로.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 2025. 8. 13. 몽골식물-애기사철란(난초과 사철란속) Goodyera repens (L.) R.Br. 2025. 8. 3. 몽골 테를지. 몽골에서 애기사철란은 처음이다. 뽀연 털을 덮어 쓴 꼬마 유령처럼 귀여운 녀석들이 이끼에 발을 묻고 서 있는 모습이 반갑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97018https://qweenbee.tistory.com/8898153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5사철란 새싹 : 섬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2 https://qweenbee.. 2025. 8. 12. 몽골식물 -린네풀(인동과 린네풀속) Linnaea borealis L. 2025. 8. 3. 몽골 테를지. 백두산에서도 꽃이 핀 걸 몇 송이 보긴 했지만 급하게 담아서 그림이 안 되었는데8월의 몽골에서도 끝물로 가는 린네풀 꽃을 만났다. 린네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46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275 린네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1407 https://qweenbee.tistory.com/8890551 https://qweenbee.tistory.com/8910621 https://qweenbee.tistory.c.. 2025. 8. 12. 몽골식물 -린네풀(인동과 린네풀속) 열매 Linnaea borealis L. 2025. 8. 3. 몽골 테를지. 어두운 숲에서 용케도 찾아낸 린네풀 열매. 린네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46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275 린네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1407 https://qweenbee.tistory.com/8890551 https://qweenbee.tistory.com/8910621 https://qweenbee.tistory.com/8912274 2025. 8. 12. 몽골식물 -쇠비름아재비(비름과) Koenigia islandica L. 2025. 8. 3. 몽골. 고산 초원, 습한 초원, 물길 주변에서 만나는 비름과 녀석이다.중국명 빙도삼(氷島蔘) 일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원산지는 아북극에서 미국 중부 서부, 칠레 남부에서 아르헨티나까지이다. 몽골에서 처음 만나는 녀석이다. 마치 작은 콩 조각이 붙어 있는 듯 붉은색을 띠고 있다.툰드라 도감에 쇠비름아재비라 신칭해 놓았다. 쇠비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50 https://qweenbee.tistory.com/8886821https://qweenbee.tistory.com/8900134 쇠비름아재비(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2272 2025. 8. 12. 가는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Silene seoulensis Nakai 2025. 7. 경북. 연약하기 짝이 없는 줄기에도 꼿꼿하게 서서 하얗고 여린 별을 달았다.산속 습하고 그늘진 곳에 흩어져 자란다. 수술과 암술이 꽃 밖으로 나온다. 끈끈이장구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581 https://qweenbee.tistory.com/8888471https://qweenbee.tistory.com/8888216 https://qweenbee.tistory.com/8886414https://qweenbee.tistory.com/8892362 https://qweenbee.tistory.com/8892361https://qweenbee.tistory.com/8894684 https://qweenbee.tistory.com.. 2025. 8. 12.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17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