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881

가는기린초(돌나물과 기린초속) Phedimus aizoon (L.) 't Hart 2024. 7. 27. 강원도. 높이 20~30cm 잎은 장타원상 피침형, 도란상 피침형, 길이 3~6cm, 너비 0.7~1.5cm 로 양끝이 좁아진다.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53https://qweenbee.tistory.com/8902933    https://qweenbee.tistory.com/8909849섬기린초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4  https://qweenbee.tistory.com/8908173            https://qweenbee.tistory.com/8908345    태백기린초 :https://qw.. 2024. 9. 6.
큰기린초(돌나물과 기린초속) Phedimus aizoon (L.) 't Hart var. latifolius (Maxim.) H. Ohba 2024. 9. 5. 경북 고갯마루. 가는기린초처럼 동속종에서 전초가 높이 30~80cm 큰 녀석으로 잎은 어긋나며, 넓은 도란형, 길이 2~7cm, 폭 3cm, 단단한 가죽질이다. 기본종인 가는기린초에 비해 잎이 넓은 도란형인 점에서 구분된다.한반도 함경남도 부전고원, 경기도, 강원도 설악산, 충청북도 진천, 충청남도 계룡산, 전라남도 진도 등에서 자라며, 러시아 극동,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가는기린초 :  Phedimus aizoon (L.) 't Hart 큰기린초 : Phedimus aizoon (L.) 't Hart var. latifolius (Maxim.) H. Ohba  섬기린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55   https://qweenbee.t.. 2024. 9. 6.
지리고들빼기와 까치고들빼기(국화과 고들빼기속) 2024. 07. 24. 강원도. 엽축에 날개가 있고 잎의 열편이 큰 지리고들빼기엽축에 날개기 없이 자잘하게 갈라진 잎의 까치고들빼기 1. 지리고들빼기    2. 까치고들빼기열편이 작아서 자잘해 보이는 까치고들빼기 고들빼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9366    https://qweenbee.tistory.com/8900622   https://qweenbee.tistory.com/8903625   https://qweenbee.tistory.com/8905310   https://qweenbee.tistory.com/8905410고들.. 2024. 9. 6.
두메고들빼기(국화과 왕고들빼기속) Lactuca triangulata Maxim. 2024. 7. 24. 강원도. 고도가 높은 산에 사는 왕고들빼기속 녀석으로 산씀바귀와 두메고들빼기가 있다두 녀석 모두 키가 1m 정도로 크고 잎은 어긋나며,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의 아래가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싸는 점이 산씀바귀와 차이가 있다. 잎몸이 자루를 따라 날개처럼 흘러서 귀모양으로 줄기를 살짝 감싼다. 몇 컷 안 되어서 오래 전 자료로 보충한다. 고들빼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9366    https://qweenbee.tistory.com/8900622   h.. 2024. 9. 6.
동자꽃(석죽과 동자꽃속) Lychnis cognata Maxim. 2024. 7. 27. 강원도.  폭염도 피할 겸 오랜만에 만항재에 올랐던 무더운 여름 날 산정.붉은 동자꽃이 동자승의 애닯은 기다림으로 목고개 빼고 길섶을 기웃거리고 있다.  동자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44     https://qweenbee.tistory.com/8894200https://qweenbee.tistory.com/8892389    https://qweenbee.tistory.com/8899635https://qweenbee.tistory.com/8899704     https://qweenbee.tistory.com/8903039https://qweenbee.tistory.com/8911305흰동자꽃 : https://qweenbee.tis.. 2024. 9. 6.
고로보이짚신나물(장미과 짚신나물속) Agrimonia gorovoii Rumjantsev 2024. 8. 24. 경북. 고로보이짚신나물 : 3소엽 가장자리에 까칠한 깊은 톱니, 규칙적으로 갈라진 탁엽, 줄기 표면에 갈색의 퍼진털짚신나물 : 3소엽 가장자리에 이모양, 또는 거칠한 톱니, 톱니가 있거나 또는 밋밋한 불규칙하게 갈라진 탁엽, 줄기 표면에 흰색의 퍼지지 않은 털· 아마도 맞는 것 같아서 고로보이짚신나물로 정리한다. 2017년 국내 자생 짚신나물속에 고로보이짚신나물이 새롭게 발표되면서 확인이 되었다.논문 초록을 번역한 내용이다.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고로보이짚신나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러시아의 연해주에서 유래한 이 종은 충청남도, 강원도, 경기도, 전라북도, 그리고 한국 인천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10개 정도의 수술, 소엽 가장자리의 깊은 톱니, 긴 수평의 털이 있는 줄기가 특징.. 2024. 9. 5.
산흰쑥(국화과 쑥속) Artemisia sieversiana Ehrh. ex Willd. 2024. 9. 1. 경북. 아마도 도로변 절개지 사면에 산포되는 풀씨에 따라 들어왔던 것 같은데,   한 때 도로변에 군락을 이루면서 자라고 있던 이 녀석이 이삼년 사이에 거의 보기 힘들 정도로 사라져 버렸다.몽골이나 중국에서도 흔하게 보였는데 우리나라 기후에는 지속적으로 적응하기는 애로가 있는 모양이다. 쑥향이 아마도 쑥속 중에서 향이 가장 좋은 녀석이라 가지 하나 꺾어서 차 안에 두면 방향제가 달리 필요 없을 정도로 차 안의 향이 달라진다.고개를 넘어가는 도로변에 몇 포기가 명맥을 이으며 서 있는 모습이 반가워서 차를 세웠다.  두상화서가 개똥쑥만큼 크다.. 비쑥??: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6          https://qweenbee.tistory.co.. 2024. 9. 5.
들사마귀풀(닭의장풀과 사마귀풀속) Murdannia nudiflora (L.) Brenan 2024. 8. 31. 하마 가볼까 하며 미루다가 뒤늦게 부모님 산소 벌초하면서 봤더니 거의 다 열매가 달리거나 종자가 떨어지고 있었다.아니다. 제초제를 뿌려서 누렇게 마르고 있는 상황이었다. ㅠㅠ용게도 한 무더기에서 뒤늦게 꽃이 핀 걸 찾았지만 카메라를 가지고 가지 않아서 폰으로 찰칵. 국립수목원에서 제주도의 미기록 사마귀풀 녀석과 함께 우영사마귀풀로 발표했다가 두 녀석이 다른 종이란 걸 뒤늦게 발견하고 6개월만에 별도의 종으로 수정하여 발표한 국명이다(내가 다른 종으로 보인다고 이야기 했는데도 불구하고.... 들사마귀풀 학명은 내가 찾아내었다.)    2024. 8. 24.작년에 가까운 예천에도 이 녀석이 퍼지고 있는 걸 찾았다.여기도 이미 열매 상태이다. 올해 가뭄에 창고옆 가장자리에는 풀 그늘 덕.. 2024. 9. 4.
신신이발관 2 2010. 2. 13. 까치설 아침에 눈이 소복하게 내렸습니다.날씨가 푹~하니 눅어서 큰 길에는 벌써 따신 햇살에 눈이 다 녹았는데도엄니는 설 쇠러 서울 아들네 집에 못갈 것 같다시며 한 걱정을 하십니다. 출발 시간에 여유가 있어서 카메라를 들고 동네를 한 바퀴 돌았습니다.신신이발관이 그저께 보다 조금 더 넉넉하게 눈을 덮어 쓰고 있네요.게으름을 피우느라 느지막히 나왔더니만 벌써 지붕의 눈이 녹고 있습니다.   밖에서 창문 안을 기웃거리는데 인상 좋으신 이발사 아저씨가 이발하러 온 줄 알고 들어오라십니다.그냥 구경 좀하려고 한다니 좀 의아해 하면서 카메라를 든 모습에 경계를 하는데  "내앞 어른 큰 따님이시네요. 학교 나가시는."  아주머니가 내다보고 반겨주십니다.몸은 좀 불편하지만 아직도 준수한 모습인.. 2024. 9. 4.
수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2024. 9. 3. 강 건너 동네. 올해 강아지풀속 종자를 채집하다보니 도로변에 서 있는 수강아지풀에 자꾸만 눈이 간다. 조와 강아지풀의 교잡종이라 같은속 종에서 전초가 무척 큰 녀석이다.그 중에서오 오늘 만난 이 녀석은 유난히 이삭이 크고 분화서가 잘 발달하여 있어서 수강아지풀의 특징이 아주 잘 나타나 있다. 수강아지풀 : 강아지풀에 비하여 크기가 대형이며 화서 가지(화총)에서 소수가 밀집한 짧은 2차 가지가 갈라진다.가을강아지풀 : 강아지풀보다 화서가 길어서 아래로 휘어지며, 소수가 비교적 성글게 달리고 2포영이 2소화보다 짧다.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7           .. 2024. 9. 4.
가을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faberi R. A. W. Herrm 2024. 8. 18. 동네.  화서개화기소수길이  강아지풀곧게 선다6-8월1.8 - 2.8mm2포영은 2소화와 같은 길이가을강아지풀굽어서 끝이 늘어진다8-10월2.8 - 3.0mm2포영은 2소화보다 짧다.  포영을 촬영하려고 했는데 제대로 안 되었다, ㅠㅠ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7            https://qweenbee.tistory.com/8911300      수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24    https://qweenbee.tistory.com/8897025                  https://qweenb.. 2024. 9. 4.
자주색 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viridis (L.) P. Beauv. 2024. 8. 18. 동네. 까락이 자주색을 띠는 이 녀석은 예전에는 강아지풀의 품종인 자주강아지풀로 분류되어 있다가 지금은 강아지풀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었다. 강아지풀은 이삭이 작고 짧아서 휘어지지 않는다. 1포영과 2포영이 호영을 완전 덮고 있다.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7            https://qweenbee.tistory.com/8911300      수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24    https://qweenbee.tistory.com/8897025                  https://qweenbee.. 2024. 9. 4.
가는금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pumila (Poir.) Roem. & Schult. subsp. pallide-fusca (S 2024. 9. 2. 동네. 도감의 기재문을 보면 금강아지풀과 가는금강아지풀이 이삭의 굵기와 길이로 구분하기는 일치하지 않는 점이 흔히 나타나서 이삭 크기로 구분하기는 애매하다. 소수의 자모 색과 소수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 경험상 소수 자모의 색으로 구분하면 가장 쉬울 듯하다. 아래는 도감의 내용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다 화서소수소수 자모금강아지풀굵기(폭) 7~9mm길이 3mm, 광난형황그색가는금강아지풀굵기(폭)5~6mm길이 2~2.8mm, 장타원형오갈색 농로에 서 있는 이 녀석은 자모의 색이 오갈색이라 우선 가는금강아지풀로 보았다. 좌 : 금강아지풀 우: 가는금강아지풀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7 https://qweenbee.tistory.. 2024. 9. 4.
새끼꿩의비름(돌나물과 꿩의비름속)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 Ohba 2024. 7. 27. 강원도. 오랜만에 무더위를 피하여 강원도로 달렸다.폭염 속에도 강원도 고산은 비가 오락가락하여 산 아래동네의 한증막 더위를 전혀 느끼지 않을 정도로 시원하다. 등산로변의 새끼꿩의비름도 덕분에 생기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세잎꿩의비름에 비해 크기가 작고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땅채송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69    https://qweenbee.tistory.com/8889456https://qweenbee.tistory.com/8887975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1 https://qweenbee.tistory.c.. 2024. 8. 28.
수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2024. 8.  강아지풀 종류 종자를 채종하다가 수강아지를 제대로 살표펴보았다.    높이 40~150cm이다. 잎몸은 선형, 편평하며 길이 15~45cm, 폭 5~12mm 로 동속종에 비하여 대형이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은 둥근 기둥 모양이고 길이 10~18cm, 곧추선다. 문제는 가을강아지풀 중에서도 이삭 크기가 큰 녀석이 있기에 이삭만 크다고 해서 무조건 수강아지풀은 아니다.온라인상에 수강아지풀로 올려 놓은 거의 대부분이 수강아지풀 이삭의 특징이 아닌 가을강아지풀이다. 수강아지풀은 조와 강아지풀의 교잡종으로 가장 큰 특징은 원기둥 화서의 아래쪽 부분에 작은 이삭이 가지처럼 발달하는 분화서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 2024.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