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279

암대극(대극과) 2010. 4. 24. 제주. 암대극이 해안의 검은 현무암을 노랗게 물들이고 있다. 오랜만에 다시 만나는 녀석 반갑다. 어제는 서귀포 강정 해안에서 이 녀석을 보고서도 배터리가 나가서 보기만 하였는데 대정 해안에서 신나게 담았다. 이 녀석은 대극과 종류 중에서도 제일 큰 녀석이다. 열매에 오.. 2010. 4. 30.
갯까치수염(앵초과) 2010. 4. 25. 제주. 아직 갯까치수영이 꽃 피기는 이른가 보다. 겨우 한 포기 꽃을 피우기 시작하고 있다. 2010. 4. 30.
점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maculata B.U.Oh & Y.S.Kim 2010. 4. 27. 미치광이풀 땜에 미칠지도 모르겠다. 1시간 20분 먼길 달려 산에 오르길 1시간이라..싸락눈까지 떨어지는 급경사 길을 오르느라 맘이 급하여 이 녀석이 보여도 그냥 지나치려는데 에구~! 그냥 지나쳐지질 않는다. 내려오는길이 늦어지면 못담을 것이니..잠깐 차오르는 숨을 돌릴 겸 카메라를 들이댄다. 잎에 흰점이 산재하여 있고 꽃이 크다. 하측의 외화판은 자방부위에서 양 옆으로 올챙이 배처럼 볼록하게 솟는다.    엽병은 길이 1-9㎝이고, 엽신은 길이 3-13㎝,폭 3-16㎝이며 주로 2회 3출엽이다.소엽은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변이가 심하며, 보통 장상으로 전열한다.잎의 표면은 녹색이며, 크고 뚜렷한 백색반점이 전체에 산재한다.  포의 길이 7-15㎜,폭4-10㎜인 도란형이며 선단.. 2010. 4. 30.
모데미풀(미나리아재비과) 2010. .4 25. 제주. 상수원 골짜기 끝. 이끼폭포가 보이는 곳 이끼 위에 모데미가 자리잡고 있었다. 육지에서 모데미를 보고자 했지만 제주도에 내려와서 모데미를 보게 되었다. 헌데~~! 클났다. 메모리가 아웃이란다. 황급히 몇장을 지우고 간신히 담는데..헐~! 이젠 배터리가 껌뻑거린다. 메모리는 몇 장 .. 2010. 4. 30.
점박이천남성/큰천남성(천남성과) 2010. 4. 24. 제주. 점박이천남성. 2개의 잎을 날개처럼 펼친 점박이천남성. 줄기에 얼룩 자색 점이 있다.잎은 2개이고 첫째 잎은 길이 5-15cm의 엽병이 있으며 소엽은 5-14개로서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다.           큰천남성. 잎은 2개가 대생하고 길이 15-25cm의 엽병이 있으며소엽은 3개이고 마름모 비슷한 넓은 난형이며 길이 8-30cm, 나비 4-10cm로서 엽병이 없고 끝이 실처럼 가늘며표면은 윤채가 있는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둥근잎천남성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31  https://qweenbee.tistory.com/8893527https://qweenbee.tistory.com/8895536   https:/.. 2010. 4. 29.
반디지치지치과) 2010. 4. 25. 제주. 순비기나무 깔린 해안 둑에 반디지치가 파랗게 별을 내렸다. 이 녀석은 꽃잎이 약한지 성한 게 별로 없다. 육지에도 이 녀석은 먼 곳까지 가야 만날 수 있으니 풀을 헤치고 성한 것 몇 녀석 담았다. 지치/반디지치/모래지치/산지치?/당개지치/개지치 : http://blog.daum.net/qweenbee.. 2010. 4. 29.
자주광대나물(꿀풀과 광대수염속) Lamium purpureum L. 2010. 4. 25. 제주. 웅크린 대머리독수리 같다. 자주광대나물. 광대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0 https://qweenbee.tistory.com/8896992 https://qweenbee.tistory.com/8899312https://qweenbee.tistory.com/8900797광대수염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330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4 https://qweenbee.tistory.com/889.. 2010. 4. 29.
4월 28일(57일째 수욜) 4월 28일(57일째 수욜) 청소를 마치고 Rhododendron SP.랑 Azalea SP. 꽃따는 작업을 하면서 계속 어학원 등록에 정신이 빠져 있었다. 관리인에게 오늘(호이테) 오후(나츠미탁)에 학원(쉴레)에 등록(아인트라겐)할 거라고 자랑(?)도 했다. 오전에 독일어 몇 개를 또 가르쳐 주셨다. 뿌리(뷰우젤), 이끼(모쓰), 양치식.. 2010. 4. 29.
청로니~임!!! 가시오름은 어디신중 아라지쿠과? 가시오름 강당장칩이 숭시제와들이젠 호난 메인 쉐가 울넘엄서라 앗진 솟이 걸음을 걷곡 틑은 독이 곡기약 혼다 기시린 돗이 돌음을 돗곡 벳긴 개가 옹공공 호곡 볶은 콩이 새움이 난다. * 강당장집 전설 가시오름에 소문난 부자였던 강당장이 탁발승을 골려주었다가 탁발승의 꾐에 빠져 후손들이 부.. 2010. 4. 29.
뱀톱/다람쥐꼬리 2010. 4. 25. 제주. 첨엔 이녀석을 다람쥐꼬린 줄 알았더니 잎의 톱니를 보니 뱀톱이다. 렌즈를 통하여 자세히 보니까 가지 끝부분에 꽃을 피운 것 같다. 여왕벌 눈은 못 피할겨. 암만.ㅎㅎ 사진을 크롭하여 보나 꼭 새 주둥이 같이 생긴 것이 보인다. 그런데 이 녀석은 석송과라...꽃이 아니라 포자낭이 있을텐디. 그런데 이 요상시럽게 생긴 거는 포자낭이 아니고 무성아라고 한단다. 이 녹색의 새 주둥이같은 무성아(부정아라고도 한다)가 땅에 떨어지면 싹이 돋는다고 한다. 해가 잘드는등산로 옆에서 자라는 녀석이다. 크~! 촛점을 맞추지 못하였다. 부정아의 정면의 모습인데 아깝다. 무성아는 녹색으로 양쪽으로 날개처럼 펼쳐져 있고 아래쪽 판이 크고 넓다. 잎은 총생하며 옆으로 퍼지거나 밑으로 처지고 좁은 피.. 2010. 4. 29.
눈범꼬리(마디풀과 범꼬리속) Bistorta suffulta (Maxim.) Greene ex H.Gross 2010. 4. 25. 제주. 범꼬리는 여름에 보았는데 이렇게 봄에 피는 범꼬리가 있다.눈범꼬리다. 이른범꼬리다. 왈가왈부했는데...일단 눈범꼬리로 이름 붙인다. 꽃은 5-7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경(花莖)은 높이 20-40cm 로서 3-5개의 잎이 달리고화수(花穗)는 길이 1-3cm로서 원주형이며 꽃이 많이 달린다. 암수한그루로 이삭화서이다. 포는 막질이고 갈색이며 길이 3-4mm로서 난상 피침형이고 화피는 5개로 갈라지며 길이 2.5mm이고 소화경은 길이 1mm정도이다.수술은 8장, 암술대 3개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한라산 중복 이상 응달에서 자란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넓은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저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흰색이다.윗부분의 경생엽은 난상 심장형으.. 2010. 4. 28.
상동나무(갈매나무과) 2010. 4. 24. 제주. 옥녀꽃대를 담고 주변 습지를 둘러 보는데 나무 열매가 눈에 들어 온다. 상동나무란다. 여린 잎이 참 곱다. 지금 이렇게 열매가 달렸다면 늦은 가을 쯤에 꽃을 피웠겠지? 꽃은 어떻게 생겼을까? 꽃은 양성으로 10-11월에 피고 여러 개가 정생 또는 액생하는 길이 2-5cm 의 수상.. 2010. 4. 28.
벌깨냉이(배추과 황새냉이속) 2010. 4. 25. 제주. 동그란 잎이 귀여운 벌깨냉이다. 곶자왈 숲에 가면 쉽게 만날 수 있다. 동그란 신장 모양의 잎은 뒷면이 자주색으로 근생엽은 단연, 혹은 3~5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나 남쪽 해안 습한 곳에 산다. 높이 15-30cm이며 곧게 서고 거의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에는 흰털이 있다. 경생엽은 3-5개가 호생하고 근생복엽과 형태가 비슷하지만 정소엽보다 작으며 측소엽보다 크다. 꽃은 4월말에 피고 총상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은 연녹색이고 겉에 흰색 털이 약간 있으며 꽃잎은 백색이다 열매는 장각으로 선형이고 화병보다 길며 길이 3cm정도이고 5월에 익는다. 근생엽은 긴 엽병이 있는 단엽과 복엽이 있으며 정소엽은 단엽과 형태와 크기가 비슷하고 둥근 신장형이며 지름 2-2.5c.. 2010. 4. 28.
비목나무(녹나무과 생강나무속) Lindera erythrocarpa Makino 2010. 4. 25. 제주. 초연이 쓸고 간 깊~은 계곡 ♪~, 깊은 계곡 양지녘에~♬ 이 비목 노래와 아무 관계도 없는 비목나무다.그런데 이상도 하지 이 나무만 보면 비목 노래가 떠오른다. 분명 꽃이 피었을거라 숲을 두리번 거리는데 잎만 가득하고 꽃이 핀 녀석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꼬마은난초를 담은 곳 멀찍이 노랗게 꽃을 달고 있는 비목나무가 보인다.가지가 높아서 담을 수가 없다. 그래도 내가 여왕벌인디 기냥 갈 수가 있간? 주변의 부러진 나무 가지로 잡아당겼다.          비목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51  https://qweenbee.tistory.com/8889854https://qweenbee.tistory.com/8895451    h.. 2010. 4. 28.
구실잣밤나무(참나무과) 2010. 4. 25. 제주. 꽃 이삭이 참나무 종류같다 했더니 참나무과다. 구실잣밤나무라 이름 붙은 것도 그래서 그런가 보다. 밤이 달리나? 구실잣밤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1 hhttps://qweenbee.tistory.com/8893782 https://qweenbee.tistory.com/8895791 https://qweenbee.tistory.com/8897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716 https://qweenbee.tistory.com/8899379 https://qweenbee.tistory.com/8901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2337 https://qw.. 201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