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초순
2020년 언론을 통하여 백두대간 석회암 지대에 낭독의 자생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동아일보 2020. 6. 2.
국립수목원은 백두대간 수목 분포 탐사 중 강원도 산지에서 북방계 식물 대극과 대극속의 맹독 식물로 알려진 낭독 (Euphorbia fischerana Steud.)이 자라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낭독은 맹독 식물로서 다양한 약리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중요 식물이다. 주로 중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몽골, 소련 시베리아 지역에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에서는 자생지가 확인되지 않는 식물이었다. 국립수목원 수목생태연구팀은 수목 분포 조사 중 강원도 석회암 산지의 사면 상부 및 능선에서 유사 식물인 붉은대극과 다른 모습을 띄는 대극과 식물이 자라는 것을 발견, 낭독의 남한 내 자생지를 처음으로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낭독의 국내 분포자료는 1964년 남한의 강원도 월정사에서 채집된 표본이 유일하며, 해당 표본이 재배하던 개체인지 또는 산림 내 생육하던 개체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낭독 자생지 확인은 유사 식물들과의 유연관계 연구. 백두대간의 식물상 분포, 그리고 식물의 독성 등, 다양한 자원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그 낭독을 대면하게 되었다.
꽤 많은 개체들이 자생하고 있었는데
여태 이 녀석을 붉은대극으로 생각하고 그냥 지나쳤을 것 같다.
자세하게 보면 가지 아래 마지막 잎이 개감수처럼 윤생을 하는 모습이 붉은대극과 다르다
붉은대극은 이렇게 여러 장의 잎이 윤생하지 않는다.
열매 형태도 근연종들과는 달랐는데 열매는 털이 없었지만 간혹 미세하게 털이 있는 모습도 보였다.
독초라서 남채되지 않으니 이렇게 안전하게 살고 있었을 게다.
어린 개체는 잎이 어긋나기이다
줄기잎이 윤생하고 있다. 첫째 총포엽은 3장이다.
낭독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61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4
낭독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10215
대극 : http://blog.daum.net/qweenbee/8887896 http://blog.daum.net/qweenbee/8889954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8 http://blog.daum.net/qweenbee/8891842
http://blog.daum.net/qweenbee/8894883 http://blog.daum.net/qweenbee/8901030
http://blog.daum.net/qweenbee/8901353 http://blog.daum.net/qweenbee/8902616
https://blog.daum.net/qweenbee/8908512
대극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7343
흰대극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83 http://blog.daum.net/qweenbee/8887895
http://blog.daum.net/qweenbee/8890012 http://blog.daum.net/qweenbee/8893383
http://blog.daum.net/qweenbee/8897443 http://blog.daum.net/qweenbee/8899113
http://blog.daum.net/qweenbee/8900874 http://blog.daum.net/qweenbee/8900944
blog.daum.net/qweenbee/8905689 blog.daum.net/qweenbee/8906313
https://qweenbee.tistory.com/8910130
흰대극 신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7138
제주대극(흰대극 이명처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5499 http://blog.daum.net/qweenbee/8893382
http://blog.daum.net/qweenbee/8887787 blog.daum.net/qweenbee/8907089
섬흰대극(제주대극)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3290
암대극 : http://blog.daum.net/qweenbee/8890013 http://blog.daum.net/qweenbee/8887764
http://blog.daum.net/qweenbee/8888008 http://blog.daum.net/qweenbee/8893858
http://blog.daum.net/qweenbee/8897615 http://blog.daum.net/qweenbee/8897908
http://blog.daum.net/qweenbee/8902529 http://blog.daum.net/qweenbee/8903843
blog.daum.net/qweenbee/8905430
암대극 종자 : http://blog.daum.net/qweenbee/8896825
붉은대극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15 http://blog.daum.net/qweenbee/8889516
http://blog.daum.net/qweenbee/8889572 http://blog.daum.net/qweenbee/8887492
http://blog.daum.net/qweenbee/8887489 http://blog.daum.net/qweenbee/8886226
http://blog.daum.net/qweenbee/8891430 http://blog.daum.net/qweenbee/8893192
http://blog.daum.net/qweenbee/8895255 http://blog.daum.net/qweenbee/8895256
http://blog.daum.net/qweenbee/8895331 http://blog.daum.net/qweenbee/8897178
http://blog.daum.net/qweenbee/8898976 http://blog.daum.net/qweenbee/8900648
blog.daum.net/qweenbee/8905003 blog.daum.net/qweenbee/8906615
https://blog.daum.net/qweenbee/8908417 https://qweenbee.tistory.com/8910113
https://qweenbee.tistory.com/8910117
붉은대극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6226
붉은대극 어린 싹 : blog.daum.net/qweenbee/8905431 blog.daum.net/qweenbee/8906616
두메대극 : http://blog.daum.net/qweenbee/8888822 http://blog.daum.net/qweenbee/8888181
http://blog.daum.net/qweenbee/8888529 http://blog.daum.net/qweenbee/8891060
http://blog.daum.net/qweenbee/8892493 http://blog.daum.net/qweenbee/8894882
http://blog.daum.net/qweenbee/8899404
등대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90 http://blog.daum.net/qweenbee/8890014
http://blog.daum.net/qweenbee/8887407 http://blog.daum.net/qweenbee/8893196
http://blog.daum.net/qweenbee/8897177 http://blog.daum.net/qweenbee/8902246
https://qweenbee.tistory.com/8909875
등대풀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902011
개감수 : http://blog.daum.net/qweenbee/8891488 http://blog.daum.net/qweenbee/8889636
http://blog.daum.net/qweenbee/8887314 http://blog.daum.net/qweenbee/8887786
http://blog.daum.net/qweenbee/8893341 http://blog.daum.net/qweenbee/8894884
http://blog.daum.net/qweenbee/8897343 http://blog.daum.net/qweenbee/8903589
톱니대극 : http://blog.daum.net/qweenbee/8902993 http://blog.daum.net/qweenbee/8902992
http://blog.daum.net/qweenbee/8904306 blog.daum.net/qweenbee/8905430
톱니대극 : blog.daum.net/qweenbee/8905688
붉은대극 배상화서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19
붉은대극 배상화서의 털 살피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20
풍도대극인가? : http://blog.daum.net/qweenbee/8893250
대극/흰대극/두메대극/붉은대극/암대극/등대풀/개감수 :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6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시붓꽃(붓꽃과 붓꽃속) (0) | 2022.05.22 |
---|---|
갯봄맞이꽃(앵초과 갯봄맞이꽃속) (0) | 2022.05.21 |
눈양지꽃(장미과 양지꽃속) (0) | 2022.05.18 |
부채붓꽃(붓꽃과 붓꽃속) (0) | 2022.05.18 |
솜쑥방망이(국화과 산솜방망이속) Tephroseris pierotii (Miq.) Holub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