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6. 13. 한라산.
한라산과 지리산에 자생한다는 좀고채목이다. 지금은 사스래나무로 통합되었다고 한다.
진달래밭 대피소를 지나면서 백록담까지 가는 등산로와 백록담에서 관음사로 내려가는 동안에 이 녀석아 대부분이었다.
자작나무과 소교목으로 잎이 작고 표면에 윤기가 보이고 톱니가 불규칙하다.
암수한그루인데 아직 수꽃이 매달려 있다. 자작나무과는 잎이 거의 비슷하고 수피가 흰 게 특징인데 수피가 얇게 벗겨진다.
거제수나무 : 10~16쌍(어긋나기, 길쭉한 달걀형으로 끝이 아주 길게 뾰족함)
자작나무 : 5~8쌍(어긋나기. 세모진 달걀형, 끝이 뾰족)
사스래나무 : 7~11쌍.(어긋나기, 세모진 달걀형, 끝이 길게 뾰족, 얕은 심장저)
물박달나무 : 6~8쌍(어긋나기, 달걀형, 잎자루와 잎 양면 맥 위의 털)
개박달나무 : 6-10(보통 8-10)쌍,(난형 또는 원형, 표면은 간혹 털, 뒷면은 맥을 따라 털)
아직 수꽃이 남아 있는 나무도 보인다
작은 가지는 어두운 갈색으로 털이 있으나 자라면서 점차 없어지고 피목(皮目)이 있다.
잎이 작고 톱니는 불규칙하고 잎맥이 10개 이상이다.
잎자루와 잎 맥 위에 털이 있다.
자작나무과의 특징인 하얀 수피가 유난스럽다.회색빛을 띤 갈색이며 종이처럼 얇게 벗겨진다.
자작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77 http://blog.daum.net/qweenbee/8891217
거제수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924 http://blog.daum.net/qweenbee/8890849
http://blog.daum.net/qweenbee/8891216
사스래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0171 http://blog.daum.net/qweenbee/8888161
http://blog.daum.net/qweenbee/8890172 http://blog.daum.net/qweenbee/8886703
좀고채목 : http://blog.daum.net/qweenbee/8888161
박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1590 http://blog.daum.net/qweenbee/8891061
물박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7785 http://blog.daum.net/qweenbee/8887369
http://blog.daum.net/qweenbee/8889768
개박달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88653 http://blog.daum.net/qweenbee/8886146
http://blog.daum.net/qweenbee/8889973 http://blog.daum.net/qweenbee/8886440
http://blog.daum.net/qweenbee/8892288
박달나무/개박달나무/물박달나무/자작나무/사스래나무/거제수나무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90843
'지역별식물 > 제주도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로미(시로미과) (0) | 2010.06.16 |
---|---|
들쭉나무(진달래과) (0) | 2010.06.16 |
등수국/바위수국(범의귀과) (0) | 2010.06.15 |
솜아마존(박주가리과) (0) | 2010.06.15 |
갯패랭이꽃(석죽과) (0) | 201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