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88 너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Eranthis stellata Maxim. 2025. 3. 15. 충북. 아침부터 바람소리가 심상치가 않다. 주말부터 기온이 내려가고 비도 온다길래 봄꽃 보긴 글렀다고 생각해서 오전 중에는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그래도 며칠 비가 계속 온다길래 그냥 길 나서서 상태나 보고자 했다.한 시간을 달려서 도착한 곳은 안동과 달리구름 사이 햇살도 비치고 바람도 거의 없었다. 너도바람꽃은 최상의 상태로 마악 피어난 꽃들이 정말 이쁘다.ㅎ. 역시 길 나서길 잘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 2025. 4. 10. 꿩의바람(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raddeana Regel 2025. 4. 7. 경북. 볕이 좋아서 이 녀석도 활짝 웃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4(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29 https.. 2025. 4. 9. 깽깽이풀(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Moor 2025. 4. 8. 깽깽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86 https://qweenbee.tistory.com/8899017 https://qweenbee.tistory.com/8889612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4https://qweenbee.tistory.com/8899007 https://qweenbee.tistory.com/8899098 https://qweenbee.tistory.com/8900747 https://qweenbee.tistory.com/8900748https://qweenbee.tistory.com/.. 2025. 4. 9. 깽깽이풀(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Moor 2025. 4. 8. 가까운 고운사 숲은 산불러 다 타버렸고 꽃이 핀다한들몸하나 누울 자리조차 없는 막막한 주민들 보는데 할 짓이 아니고. 매년 한 번씩은 가는 꽃동무네 꽃밭으로 달렸다(사실 이게 목적은 아니고 생물자원관 일거리 때문에) 3월 말 경에 출국한 꽃동무는 한 달 넘게 남미를 떠돌고 있는지라 올해는 혼자서 살그머니 댕겨 왔다. 변덕이 심한 봄 날씨 때문에 주춤거리다가 절정을 넘겨 버렸다.넘어가는 해를 부여잡고 한 쪽에 조금 늦은 한 무더기를 데리고 신나게 놀았다. 깽깽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86 https://qweenbee.tistory.com/8899017 https://qweenbee.tistory.com/8889612 ht.. 2025. 4. 9. 왜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ambigua Cham. & Schltdl. 2025. 4. 6. 경북. 좀 논란이 있는 녀석이다. 표준식물목록에 따라 정리한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217https://qweenbee.tistory.com/88972.. 2025. 4. 9. 남도현호색(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namdoensis B.U.Oh & J.G.Kim 2025. 4. 1. - 4. 6. 경북. 늘 다니던 산과 먼산 계곡을 뒤지다가 만난 남도,곷이 작고 위쪽 외퐈판이 좁게 V자로 접힌 듯하고상하외하판 가운데 푸른 점이나 붉은 점을 귀엽게 찍고 있다. 쇠뿔현호색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33https://qweenbee.tistory.com/8891435 https://qweenbee.tistory.com/8891434https://qweenbee.tistory.com/88875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63 https:.. 2025. 4. 9. 선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év. 2025. 4. 6. 경북. 처음 가 보는 골짜기.산을 목적으로 하고 지도를 검색하여, 계곡이 길고 사찰이 있는 곳을 점 찍어서 탐사를 하였다.아직 이 곳은 어린 싹들만 가득하고, 겨우 자잘한 남도현호색이 재잘거리고 있었다. 계곡아래로 깊게 들어간 꽃동무가 선괭이눈이 무더기로 있다고 내려 오랜다. 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9051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9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4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6 https://qweenbee.tistory.com/8906969 누른괭이눈 : http.. 2025. 4. 8. 흰털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barbatum Nakai 2025. 4. 1- 6. 경북. 포엽에 비하여 꽃이 크고 포엽이 녹색이다. 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9051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9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4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6 https://qweenbee.tistory.com/8906969 누른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33 https://qweenbee.tistory.com/8887707https://qweenbee.tistory.com/8887649 https://qween.. 2025. 4. 8. 천마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2025. 4. 7. 경북. 조사 대상 목록이라 녀석의 상태가 어떤가 싶어서 오후 길을 나섰다.기억을 더듬으면서 사람 없는 골짜기를 살피는데 선괭이눈만 자꾸나타나서 내심 조바심을 내고 있는데바위 아래 노랗게 금빛으로 빛나는 몇 송이 꽃이 그리 반가울 수가 없다. 이 녀석은 큰 산 물이 흐르는 계곡 돌 틈에서 사는 녀석이라 물과 가장 가깝게 사는 괭이눈속 녀석이다.전에는 가보지 않던 계곡 아래 쪽까지 뒤져보니 거기에도 녀석이 살고 있다. 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9051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9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4 https://qweenbee.t.. 2025. 4. 8. 서양자두(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domestica L. 2025. 4. 7. 경북. 토종의 자도나무는 아닌것 같고, 서양자두가 야생으로 자란 게 아닐까 싶다.나중에 열매를 확인해 봐야겠다.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복사앵도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1 https://qweenbee.tistory.com/8892043https://qweenbee.tistory.com/8892289 https://qw.. 2025. 4. 8. 선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Salix triandra L. subsp. nipponica (Franch. & Sav.) A.K.Skvortsov 2025. 4. 4. 경남. 버드나무류는 우포늪 주변 습지를 우점하고 있는 목본이다. 참오글잎버들을 찾으로려고 여기 저기 둘러 봤지만 만나지 못하고 선버들만 담았다.전국적으로 하천가나 습지 주변에서 자란다. 암그루에는 벌써 수정이 끝나서 어린 열매가 달려 있다.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https://qweenbee.tistory.com/889333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5https://qweenbee.tistory.com/889537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8https://qwe.. 2025. 4. 8. 좀아마냉이(배추과 양구슬냉이속) Camelina microcarpa Andrz. ex DC. 2025. 4. 7. 경북. 산자락 발치에 높게 핀 옅은 색의 꽃을 보고 개살구인가 싶어서 차를 세웠더니복사나무가 야생처럼 자라서 교목이 되어 버렸다. 철수하려는데 좀아마냉이 싹이 보여서 주변을 돌아봤더니 완전 밭이다. 마악 개화한 녀석도 있어서 꽃도 담을 수가 있었다. 오랜만에 녀석을 만나니 반갑다.사흘 전에 먼 길에서도 이 녀석 어린 개체를 봤는데 올해는 웬일로 녀석을 자주 만난다. 북미, 일본, 중국, 몽고,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이다.중앙아시아 및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산기슭, 길가, 빈터, 밭둑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20~80cm, 전체에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줄기 아래쪽 잎은 피침형으로 양면에 털이 빽빽하게 난다. 냉이 : https.. 2025. 4. 8.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