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308

살구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armeniaca L. 2025. 4. 2. 경북. 산자락에 서 있길래 혹시나 개살구나무가 아닐까 했더니 꽃자루가 짧다.살구나무가 여기 저기 퍼져서 자란 모양이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https://qweenbee.tistory.com/8895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1https://qweenbee.tistory.com/889904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20https://qweenbee.tistory.com/890500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48.. 2025. 4. 6.
잔털벚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errulata Lindl. var. pubescens (Makino) Nakai 2025. 4. 4.  심겨져 있길래 일본산 왕벚나무 소메이요시runus × yedoensis  겠지 했다.  헌데 다행하게도 꽃자루와 꽃받침통에는 털이 있고 암술대에 털이 없는 잔털벚나무였다.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65             https://qweenbee.tistory.com/8902170    제주왕벚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910049     일본산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     https://qweenbee.tistory.com/8902253    https://qweenbee.tistory.com/8903718https:/.. 2025. 4. 6.
종다리지치(보라기나스과 안추사속) Anchusa arvensis(L.) M.Bieb. 2025. 4. 4. 경남. 식물상 조사 차 첫 출장을 마치고 돌아오던 길에 꽃동무가 전해준 종다리지치를 찾았다.   55회 한국식물분류학회 연구대회에서 포스터 발표된 녀석으로  '종다리지치'로 보고가 되었는데아직 정식 논문으로 발표가 되지 않은 미기록종이다.  이 식물은 유럽이 원산지로 북미와 러시아 등 세계 여러 지역에 유입되어서 퍼져 있는 녀석으로경작지 주변이나 모래, 교란된 노지 등에서 자란다.  종다리지치 분포지역 지도 2025. 4. 6.
종다리지치(보라기나스과 안추사속) 신초 Anchusa arvensis(L.) M.Bieb. 2025. 4. 4.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https://qweenbee.tistory.com/8895919       https://qweenbee.tistory.com/8896428https://qweenbee.tistory.com.. 2025. 4. 6.
머위(국화과 머위속)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2024. 4. 8. 경북. 3-4월에 암수딴포기로 피며, 많은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암꽃은 양성화이며 입술 모양의 암꽃이 두상꽃차례를 이루는데 가운데에 몇 개의 수꽃이 있다. 아직 열매를 담은 적이 없다. 털머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15 https://qweenbee.tistory.com/8891012https://qweenbee.tistory.com/88892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2https://qweenbee.tistory.com/8898436 https://qweenbee.tistory.com/8900339https://qweenbee.tistory.com/8904663 .. 2025. 4. 6.
천마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valdepilosum (Ohwi) S.H.Kang & J.W.Han 2024. 4. 8. 경북. 올해는 봄 기온이 들쑥날쑥해서 개화 상태가 어떨지 모르겠다.   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9051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9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4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6          https://qweenbee.tistory.com/8906969 누른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33    https://qweenbee.tistory.com/8887707https://qweenbee.tistory.com/8887649     https.. 2025. 4. 6.
흰동백(차나무과 동백나무속)Camellia japonica f. albipetala H. D. Chang 2025. 3. 11. 제주. 시간이 늦었지만 숙소 가까운 곳이라 찾았더니 예상대로 흰동백이 깔끔하게 피어 있다.환경부 목록에는 흰동백이 살아 있고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동백나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었다.  차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8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41차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4963    https://qweenbee.tistory.com/8894695https://qweenbee.tistory.com/8909907   https://qweenbee.tistory.com/8900335차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6.. 2025. 4. 4.
뿔냉이(배추과 뿔냉이속) Chorispora tenella (Pall.) DC. 2025. 4. 2. 꽃동무가 찾아낸 새로운 자생지이다.이 시기에 이 곳을 지날 일이 없어서 발견이 되지 않았던 건데터를 잡은지 무척 오래된 듯, 자생환경이 좋아서 아주 튼튼하고 우렁우렁하다.헌데 위치가 좋치 않아서 그림은 안 된다. 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197https://qweenbee.tistory.com/88953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1https://qweenbee.tistory.com/8891482 https://qweenbee.tistory.com/8898971https://qweenbee.tistory.com/88.. 2025. 4. 3.
벋음양지꽃(장미과 양지꽃속) Potentilla rhizoma H.T. Im 새로 보고된 양지꽃속 : 식물분류학회지 54권 4호. 285 - 289 (5page) (2024. 12.) 양지꽃 피는 녀석들 앞에서 도 애걸복걸 해야한다.니가 벋음양지꽃 맞는지 제발 실토해 달라고, 포복하는 줄기가 없고 근경(뿌리줄기)가 벋어 나가면서 개체 형성, 줄기 기저부에 새로운 근경(뿌리줄기)이 형성, 비늘모양의 잎을 가진 근경은 활발하게 자라며 새로운 뿌리가 근경에서 발달한다.    A. P.ragarioides의 다형성(경상남도 사천시 와룡산의 같은 개체군에서 채집한 두 개체, 서로 2m 떨어짐). B. P. fragarioides의 근경(화살표로 표시)은 짧고 튼튼하며 굵은 괴경이다. C. P. stolonifera는stolon(화살표로 표시)을 통해 강력하게 번식할 수 있다.D–G. Po.. 2025. 4. 2.
둥근털제비꽃(제비꽃속) Viola collina Besser 2025. 4. 1.  한 포기 부여잡고 요리 보고 조리 보고. 흰색 꽃을 피우는 녀석이었네 2025. 4. 2.
왕도깨비가지(가지과 가지속) Solanum viarum Dunal 2025. 3. 11. 제주. 목장지대나 곶자왈 숲이 산책로를 따라 왕도깨비가지 노랑 열매가나타난다.외래식물인 이 녀석은 가시가 매우 크고 억세어서 소나 말이 뜯어 먹지도 않으니까 지멋대로 여기 저가 번지고 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남미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미국, 열대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널리 귀화하였다.   꽈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7034https://qweenbee.tistory.com/8903454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4꽈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78    https://qween.. 2025. 4. 2.
왜제비꽃(제비꽃과 제비꽃속) Viola japonica Langsd. ex DC. 2025. 3. 12. 제주. 올해 첫 제비의 만남. 왜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0642 https://qweenbee.tistory.com/88971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5089 https://qweenbee.tistory.com/8895292 https://qweenbee.tistory.com/8910356 https://qweenbee.tistory.com/8910866 https://qweenbee.tistory.com/8911795 https://qw..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