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71 전호(산형과 전호속) 새싹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2025. 4. 7. 경북. 이 골자기에 전호가 이리도 많은 걸 모르고,작년에 털전호는 고사하고 전호도 안 보인다고 투덜거렸다. 사상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7 https://qweenbee.tistory.com/8891731 https://qweenbee.tistory.com/889413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29 https://qweenbee.tistory.com/8900445https://qweenbee.tistory.com/8900446 https://qweenbee.tistory.com/8901906 사상자 .. 2025. 4. 10. 서어나무(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암꽃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2025. 4. 9. 경북.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는 비슷하여 구분하기 쉽지가 않지만 봄에는 어린 가지의 털만 봐도 구분이 된다개서어나무의 어린 가지는 털이 많지만 서어나무의 가지에는 털이 안 보인다. 가지 끝에는 동아에서 자란 새순의 잎 겨드랑이에서 암꽃차례가 나온다.수꽃은 암꽃 아래에 달리는데, 대부분 수꽃이 꽃가루를 터뜨릴 때 쯤 암꽃눈이 터지기 시작한다. 서어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53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3https://qweenbee.tistory.com/8893357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2https://qweenbee.tistory.com/89021.. 2025. 4. 10. 서어나무(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수꽃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2025. 4. 9. 경북. 귀가하던 길에 잠시 휴양림 숲에 들렀다.서어나무꽃이 필 것 같았는데 예상대로 정말 한창 꽃을 피우고있다.이 녀석은 수꽃의 포 끝이 붉고 어린가지에 털이 없어서 털이 많은 개서어나무와 구분이 쉽다. 가지 끝의 새순의 잎 겨드랑이에서 암곷 화서가 나온다. 서어나무의 수꽃의 포 끝이 붉은색을 띤다. 서어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53 https://qweenbee.tistory.com/8889823https://qweenbee.tistory.com/8893357 https://qweenbee.tistory.com/8897402https://qweenbee.tistory.com/8902107 https://qweenb.. 2025. 4. 10. 참여로(백합과 여로속) 새싹 Veratrum nigrum L. var. ussuriense O.Loes. 2025. 4. 1.- 4. 7. 경북. 이 낮은 곳에도 참여로가 산다.하기사 여기는 특이한 식생들이 많이 보이는 곳이니까 이 녀석이 산대도 이상할 일 없다. 새싹 때는 박새 랑은 구분하기 어렵다. 박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55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8https://qweenbee.tistory.com/8893931 https://qweenbee.tistory.com/8905583https://qweenbee.tistory.com/8894881 https://qweenbee.tistory.com/8899554 https://qweenbee.tistory.com/8899624 https://qweenbe.. 2025. 4. 10. 노란장대(배추과 노란장대속) 새싹 Sisymbrium luteum (Maxim.) O.E.Schulz 2025. 4. 7. 경북. 바위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68 https://qweenbee.tistory.com/8910710 (대설산) 바위장대 변종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81 갯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95 https://qweenbee.tistory.com/88938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58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9 https://qweenbee.tistory.com/8902000 선갯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716 .. 2025. 4. 10. 느러진장대(배추과 느러진장대속) 새싹 Catolobus pendulus (L.) Al-Shehbaz 2025. 4. 7. 경북. 처음 가보는 계곡부 탐사다.느러진장대 로제트 싹이 초입에서부터 산사까지 가는 동안 엄청 많이 나타난다. 바위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68 https://qweenbee.tistory.com/8910710 (대설산) 바위장대 변종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81 갯장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95 https://qweenbee.tistory.com/88938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58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9 https://qweenbee.tistory.. 2025. 4. 10. 벚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errulata Lindl. f. spontanea (E.H.Wilson) Chin S.Chang 2025. 4. 9. 경북. 휴양림에 조경된 녀석이다.꽃자루와 꽃받침, 암술대에 털이 없고 꽃자루가 짧다.꽃차례자루는 꽤 발달한 것으로 봐서 벚나무로 봐야겠다. 2025. 4. 10. 산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2025. 4. 7. 경북. 봄에 만날 수 있는 괭이눈 녀석중 하나이다.톱니가 규칙적인 포엽이 동글동글하고, 꽃받침이 밖으로 말린다. 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9051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9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4 https://qweenbee.tistory.com/8906886 https://qweenbee.tistory.com/8906969 누른괭이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33 https://qweenbee.tistory.com/8887707https://qweenbee.tisto.. 2025. 4. 10. 너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Eranthis stellata Maxim. 2025. 3. 15. 충북. 아침부터 바람소리가 심상치가 않다. 주말부터 기온이 내려가고 비도 온다길래 봄꽃 보긴 글렀다고 생각해서 오전 중에는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그래도 며칠 비가 계속 온다길래 그냥 길 나서서 상태나 보고자 했다.한 시간을 달려서 도착한 곳은 안동과 달리구름 사이 햇살도 비치고 바람도 거의 없었다. 너도바람꽃은 최상의 상태로 마악 피어난 꽃들이 정말 이쁘다.ㅎ. 역시 길 나서길 잘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 2025. 4. 10. 꿩의바람(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Anemone raddeana Regel 2025. 4. 7. 경북. 볕이 좋아서 이 녀석도 활짝 웃었다. https://qweenbee.tistory.com/8890296 https://qweenbee.tistory.com/8886127https://qweenbee.tistory.com/889652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8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2(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1716(몽골)https://qweenbee.tistory.com/8910844(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8965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29 https.. 2025. 4. 9. 깽깽이풀(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Moor 2025. 4. 8. 깽깽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86 https://qweenbee.tistory.com/8899017 https://qweenbee.tistory.com/8889612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4https://qweenbee.tistory.com/8899007 https://qweenbee.tistory.com/8899098 https://qweenbee.tistory.com/8900747 https://qweenbee.tistory.com/8900748https://qweenbee.tistory.com/.. 2025. 4. 9. 깽깽이풀(매자나무과 깽깽이풀속)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Moor 2025. 4. 8. 가까운 고운사 숲은 산불러 다 타버렸고 꽃이 핀다한들몸하나 누울 자리조차 없는 막막한 주민들 보는데 할 짓이 아니고. 매년 한 번씩은 가는 꽃동무네 꽃밭으로 달렸다(사실 이게 목적은 아니고 생물자원관 일거리 때문에) 3월 말 경에 출국한 꽃동무는 한 달 넘게 남미를 떠돌고 있는지라 올해는 혼자서 살그머니 댕겨 왔다. 변덕이 심한 봄 날씨 때문에 주춤거리다가 절정을 넘겨 버렸다.넘어가는 해를 부여잡고 한 쪽에 조금 늦은 한 무더기를 데리고 신나게 놀았다. 깽깽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86 https://qweenbee.tistory.com/8899017 https://qweenbee.tistory.com/8889612 ht.. 2025. 4. 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