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8

몽골식물 - 애기완두(콩과 연리초속) Lathyrus humilis (Ser.) Spreng 2023. 6. 28. 흡수굴. 시베리아이깔나무 숲 아래바닥에 애기완두도 붉은색 꽃을 피우며 여름을 만끽하고 있었다. 이 녀석은 백두산 탐사 시 중국 연변지역 초지에서도 만난 적이 있는데,한반도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몽골, 중국 등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30cm, 모가 진다. .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4~10장으로 된 깃꼴겹잎으로 겹잎 끝에는 덩굴손이 있다.턱잎은 화살 모양 또는 좁은 난형으로 길이 6~13mm다.  연리초속활량나물, 애기완두, 갯완두, 털갯완두, 산새콩,연리초, 선연리초, 털연리초나비나물속 나래완두, 들완두, 새완두, 얼치기완두, 살갈퀴, 가는살갈퀴, 노랑갈퀴,갈퀴나물, 벌완두, 각시갈퀴나물, 가는등갈퀴, 등갈퀴나물, 큰등갈퀴,가는갈퀴, 구주갈퀴덩굴, 벳지나비.. 2023. 11. 29.
몽골식물 - 붉은범의귀아재비(범의귀과 구실바위취속) Micranthes hieracifolia (Waldst. & Kit. ex Willd.) Haw. 2023. 6. 28. 몽골 흡수굴. 북극에 있는 다산과학기지에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북극의 식물 연구물 중에서이 녀석을 붉은범의귀아재비로 명명해 두었다. (북극 툰드라에 피는 꽃) 이 녀석은 범의귀속 Saxifraga 이 아니고 구실바위취속 Micranthes이다.씨눈바위취, 구름범의귀, 흰바위취, 톱바위취, 참바위취, 바위취, 바위떡풀 모두 범의귀속 Saxifraga 이고,범의귀, 구름범의귀, 톱바위취는 구실바위취속 Micranthes 학명을 이명처리해 두었는데..... 줄기에 털이 많고 10-20cm 높이까지 자라며, 잎은 타원형에서 마름모꼴이며 두껍고 얕은 톱니가 있다. 유럽, 북미 및 온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북극 고지대와 노르웨이 및 카르파티아 산맥과 같은일부 고산 지역에 분포하며 오스트리아.. 2023. 11. 29.
몽골식물 - 마르타곤 백합(백합과 백합속)2. Lilium martagon L. 3023. 6. 28. 몽골 흡수굴. 북쪽 산지에서는 아직 봉오리 상태였다. 어린 개체도 보이고 잎이 돌려나거나 어긋나기로 나타났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 https://qweenbee.tist.. 2023. 11. 29.
몽골식물 - 마르타곤 백합(백합과 백합속)1. Lilium martagon L. 2023. 7. 1. 몽골. 검은 자색 꽃을 피우는 백합속 녀석이다. 잎이 밀집하게 돌려나거나 어긋나기 한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 https://qweenbee.tistory.com/88979.. 2023. 11. 29.
백두산식물 - 왕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radians L. 2023. 9. 9. 백두산 언저리 연길에서 백두산으로 가던 중 목적하던 초지는 수해로 길이 끊겨서 탐사하지 못하고 과꽃 자생지 주변을 탐사하다가 뒤늦게 꽃을 피우고 있던 지각생 왕별꽃을 반갑게 조우하였다. 꽃잎은 5장이며 꽃받침잎보다 조금 길거나 비슷하고 끝이 5~7갈래로 갈라져 깃 모양이 된다 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591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4 https://qweenbee.tistory.com/8891440 https://qweenbee.tistory.com/8895374 https://qweenbee.tistory.com/8905130 별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5.. 2023. 11. 29.
자갈풀(질경이과 자갈풀속) Chaenorhinum minus (L.) Lange 2023. 9. 10. 백두산. 2022년 1월에 수정된 국가표준식물목록 외래식물에 추가 등록된 녀석이다. 충남 당진에서 발견되었다는데, 아직 보지 못하고 있었더니 백두산 아래서 이 녀석을 만났다. 자갈밭 같은 척박한 환경에서 주로 자란다고 헤서 자갈풀이란 이름을 지은 것 같은데 유럽에서는 경작지에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였으니 도로변이나 철도주변 등에서 자라고 있다고 한다.. 한해살이풀로 높이 25cm, 잎과 줄기, 꽃받침 등 전초가 선모로 덮여 있다. 꽃은 옅은 보라색에서 흰색까지 다양하고 꽃받침은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꽃은 정면에서 보면 화색이랑 형태가 얼핏 주름잎이 떠올랐는데 자세하게 들여다 보니 짧은 거가 있다. 유럽 대륙이 원산지이며 주로 남부 및 중부 유럽에서 발견되지만 북쪽으로 스웨덴까지 .. 2023. 11. 29.
백두산식물 - 별꽃풀 Swertia veratroides 이 아니었다. Swertia longifolia Boiss 으로 확인 2023. 9. 8. 중국 고성촌. 백두산 가는 길에 들른 산 저지대 습원에서 만난 이 녀석을 이제사 정체를 찾아 보려한다. 현장에서 백두산식물 가이드가 별꽃풀이라고 했는데 꽃동무가 별꽃풀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별꽃풀은 한반도 북부지방에 나며,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 만주 등에 분포한다. 해서 미루어 두고 있던 이 녀석을 정리하려고 확인하니 꽃동무가 의문을 제기한 것 처럼 별꽃풀 Swertia veratroides 과 뿌리잎의 형태가 다르다. 고성촌 습원에서 본 이 녀석은 뿌리잎이 긴타원형, 긴난형이다줄기잎도 긴난형이다. 중국사이트에서 검색한 별꽃풀Swertia veratroides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넓은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다. 내가 촬영한 녀석과는 다른 종이다 줄기잎도 굉장이 넓다 .. 2023. 11. 27.
좁은잎가막사리(국화과 도깨비바늘속) Bidens cernua L. 2023. 9. 중국 고성촌. 이 녀석의 잎이 미국가막사리보다도 더 넓은데 좁은잎가막사리란 이름을 가지고 있다.꽃은 왕도깨비바늘처럼 설상화가 크고  6~8개, 없는 경우도 있으며, 길이 1.5cm쯤이고 노란색이다. 관모양꽃은 40~100개, 주황빛 노란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이 엽저가 넓어지면서 줄기를 감싸듯이 발달해 있다. 잎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양끝이 좁다.  가막사리 근연종 식물들에 비해 잎이 갈라지지 않고 수과에 4개의 까끄라기가 있어 구분된다 중국에서는 柳叶鬼针草 Bidens cernua  버들잎 귀침초라 부른다.우리 국명도 차라리 '좁은잎' 보다 '버들잎가막사리'가 더 나을 것 같다. 몽골, 러시아, 중국,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도 전국에 분포하고 201.. 2023. 11. 27.
몽골식물 - 마황과 Ephedra sinica 2023. 7. 2. 몽골 모래언덕. 사구 지역에서 희얀한 녀석을 만났다. 참 요상스런 녀석이라서 촬영해 두었지만 정체를 찾기 쉽지 않았다. 잎줄기가 속새속 Equisetum 같은데 그 아래 굵은 뿌리줄기가 어마어마하다. 초본으로 보기도 목본으로 보기도 아리송한 녀석인데 속새속을 뒤져도 안 나온다. 확인 과정에서 잎줄기 형태가 목본인 사막나무 Haloxylon ammodendron(김찬수 알타이도감 202p,최혁재 몽골도감 79p)와도 비슷한데 사막나무는 잎이 퇴화한 잎줄기가 다육성이다. 다시 아래 녀석의 줄기의 엽질과 엽초를 확대해 보니 속새줄기 처럼 여러개의 능선이 있다. 그러니 다육질인 사막나무 쪽은 아니고 속새속에 더 가까운 것 같다. 와우!! 드뎌 찾았다 !! 속새속도 아니고 Ephedra 속이.. 2023. 11. 25.
산부채(천남성과 산부채속) Calla palustris L. 2023. 9. 중국 고성촌 습지. 백두산으로 가는 중국 동북쪽은 이미 가을이라 대부분 식물들이 열매를 달고 있다숩지를 탐사하는데 붉은색 천남성과 열매가 바닥에 뒹굴고 있다.산부채 열매였다. 산부채는 개화 적기에 군락으로 만난 적이 있어서 열매는 볼 기회가 없었는데9월에 백두산 탐사를 하게 되니 꽃을 보기 힘들긴 해도 이렇게 붉은 열매까지 만날 수가 있어서 그건 또 값진 소득이다. 산부채는  한반도 북부지방의 함경남도, 부전고원, 양강도 등에 나며, 일본, 러시아 시베리아, 북아메리카, 북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앉은부채속 식물과 비교하여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고, 꽃이 양성이다.     산부채 종자  애기앉은부채 : https://qweenbee.tistory.com/8888749    htt.. 2023. 11. 25.
서양메꽃(메꽃과 서양메꽃속) Convolvulus arvensis L. 2023. 6. 25. 몽골. 서양메꽃은 화색이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국내에 유입된 녀석은 화색이 흰색이다.몽골에서는 좀메꽃과 화색이 거의 비슷하여 구분이 어려웠다. 잎이 선형에 가까운 가는 좀메꽃에 비하여 서양메꽃은 잎이 넓은 난형 또는 긴타원형으로이 녀석을 서양메꽃으로 동정한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7cm, 폭 1~5cm, 밑부분은 좌우로 갈라져서 화살 모양으로 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은 둥글다. 큰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66 (백두) 애기메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71   https://qweenbee.tistory.com/8886188https://qweenbee.tist.. 2023. 11. 24.
좀메꽃(메꽃과 서양메꽃속) Convolvulus chinensis Ker Gawl. 2023. 6. 26. 몽골. 같은 학명으로국가표준식물목록의 국명과 몽골식물도감의 국명이 다르게 올려져 있어서 혼란을 주고 있다.몽골도감에는 이 녀석이 좀메꽃 Convolvulus arvensis L.로 올려져 있는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서양메꽃 Convolvulus arvensis L. 로 올려져 있다.헌데 구글에서 검색되는 Convolvulus arvensis 는 잎이 넓은형의 흰꽃 또는 붉은꽃으로 아래 녀석과는 또 다르다. 중국식물도감에서는 아래 이미지의  학명이 Convolvulus chinensis 로 확인된다.Convolvulus chinensis 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좀메꽃으로 올려져 있다.그래서 이 녀석을 좀메꽃(메꽃과 서양메꽃속) Convolvulus chinensis Ker Gawl. .. 2023.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