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62 백두산식물 - 새끼노루발(진달래과 새끼노루발속) 열매 Orthilia secunda (L.) House 2023. 7. 12. 백두산 언저리.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e.tistory.com/8903638 매화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4 https://qweenbee.tis.. 2023. 12. 18. 백두산식물 - 콩팥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열매 Pyrola renifolia Maxim. 2023. 9. 12. 박두산 언저리 습지. 2-4개의 꽃이 달리고 꽃대는 길이 10-20cm로서 간혹 1개의 인엽이 있다. 2~5cm 엽병에 둥근 콩팥 모양의 잎이 1~3개 달리고 잎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국내에는 울릉도에 분포하고 있다. 앵글러 - 노루발과 (Pyrolaceae) APG Ⅳ- 진달래과 (Ericaceae)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 2023. 12. 18. 몽골식물 - 골담초속 카라가나 루코플로아 Caragana leucophloea Pojark. 2023. 7. 2. 몽골. 좁은 피침형의 잎을 가진 녀석이다.옆에 난형의 잎을 가진 좀골담초도 함께 있다. 이 녀석 Caragana leucophloea 열매는 좀골담초보다 작다, Caragana leucophloea 열매 좀골담초와 Caragana leucophloea좀골담초와 함께 엉겨 있다.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 2023. 12. 18. 몽골식물 - 좀골담초(콩과 골담초속) Caragana microphylla 2023. 7. 2. 몽골. 건조한 스텝지역 바위산 아래서 만났던 녀석이다. 큰골담초 처럼 도란형, 또는 타원형잎을 가지고 있지만 잎의 크기가 작다. 큰 거 좀골담초, 작은 거 Caragana leucophloea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 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4 https://qweenbee.tistory.com/8908073 https://qwee.. 2023. 12. 18. 몽골식물 - 큰골담초(콩과 골담초속) Caragana arborescens Lam. 2023. 6. 30. 몽골 무룬. 몽골에는 다양한 골담초속 식물이 많은 것 같은데 그 중 4종은 보았다. 가장 흔하게 만났던 게 Caragana leucophloea와 좁은잎골담초였다. 이 녀석은 서북부 지역 공항이 있는 큰 도시에서 만났다. 도로변 작은 정원에 울타리로 조경해 두어서 열심히 담았는데 자생 상태로는 만나지 못하였다.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 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enbee.t.. 2023. 12. 18. 몽골식물 - 고산봄맞이(앵초과 봄맞이꽃속) Androsace lehmanniana Spreng. 2023. 6. 27. 몽골. 백두산에서 만났던 고산봄맞이와 몽골의 털봄맞이는 매우 흡사한데최혁재의 몽골도감에는 김찬수가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털봄맞이꽃으로 국명을 달아 놓은 Androsace incana 와 고산봄맞이 Androsace lehmanniana 두 가지 모두 실려 있다.두 종의 엽형과 꽃의 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 같은데 부분의 특징을 촬영 하지 못해서 구분이 쉽지 않다. 고산봄맞이 Androsace lehmanniana 1-3 Androsace yargongensis 4-5 털봄맞이꽃 Androsace incana 이 곳의 봄맞이꽃속 잎 엽형과 털의 정도와 꽃잎의 너비를 자세하게 비교 관찰한 결과 털봄맞이가 아니라 고산봄맞이로 동정을 마친다. 갯봄맞이 : https://qweenb.. 2023. 12. 16. 몽골식물 -봄맞이꽃속 Androsace villosa L. 2023. 6. 흡수굴 호수변. 몽골릐 봄맞이꽃속 녀석들 몇 종이 아주 비슷해서 정체를 밝히기 쉽지가 않다.털이 많아서 털봄맞이 Androsace incana 으로 볼 수도 있는데 덩어리로 무리진 모습으로 Androsace villosa 로 정리한다. 원산지는 유럽과 몽골로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5https://qweenbee.tistory.com/88900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05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5 https://qw.. 2023. 12. 16. 몽골식물 - 봄맞이꽃속 Androsace yargongensis ?? 2022. 6. 24~7. 1. 작년 여름 몽골 동북부지역 탐사 시 만났던 봄맞이꽃속 녀석이다. 2022. 6. 28. 중국식물지 삽화의 두번 째 녀석과 비슷하긴 한데,실물 사진으로 검색되는 모습은 삽화와는 좀 달라 보인다. 고산봄맞이 Androsace lehmanniana 1-3Androsace yargongensis 4-5 2022. 6. 29. 2022. 6. 30.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5https://qweenbee.tistory.com/88900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058 https://qweenbee.tistory.c.. 2023. 12. 16. 백두산식물 - 비로봉쑥(국화과 쑥속) Artemisia brachyphylla Kitam. 2023. 9. 12. 백두산 언저리 습지. 국내에서는 거의 만나기 힘든 녀석이다. 결각이 깊은 긴난형의 잎에 두 쌍의 가탁엽이 있다.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며,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출처 : 한반도생물다양성 포털-본 종은 Kitamura(1936)가 금강산의 비로봉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신종으로 발표하였으며, 넓은잎외잎쑥(Artemisia stolonifera)과 유사하지만, 잎이 보다 작고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는 쐐기형인 점으로 구분된다. 본 종과 비교하여 참쑥(A. dubia)은 머리모양꽃차례의 가운데 관모양꽃이 보라색이고 잎이 보다 깊게 갈라져 구분되며, 명천쑥(A. leucophylla)은 잎 앞면에 회색 털이 빽빽하며 머리모양꽃에 거미줄 같은 털이 많아 구분된다. 삽화출처 : 한국산 .. 2023. 12. 15. 백두산식물 - 린네풀(린네풀과 린네풀속) 열매 Linnaea borealis L. 2023. 9. 12. 백두산 언저리 숲. 이 녀석의 이름이 생물의 종과 속을 정의하는 식물 분류 체계를 세운 스웨덴의 식물학자 린네의 이름을 가지고 있긴한데 이 녀석 관련 정보를 보니 그 식물학자 린네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모양이다. 우리 나라 북부지방과 중국, 일본 등 북반구 아한대에 분포하는 상록의 반관목이다. 거미줄처럼 가느다란 줄기 끝에 모기만큼 작은 열매라 찾아내기가 바닥에 떨어진 바늘 찾는 것 같다. 늦둥이 꽃 한 송이에 카메라 집중, 지각생이라서 꽃자루도 짧고 꽃 형태도 정상적이지 않다. 린네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4676 린네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 2023. 12. 14. 백두산식물 - 명천쑥(국화과 쑥속) 추정 Artemisia saitoana Kitam. 2023. 9. 12. 중국 초지. 명천쑥은 2017년에 황송포에서 만났던 게 가장 흡사한 모습이다. 그 때 처음 이 녀석을 보고 어찌나 반갑던지. 이 곳에서 만난 녀석도 줄기 아래쪽 잎은 줄기로 흐르는 엽신이 명천쑥으로 보이는데 줄기 위쪽의 잎 변이가 좀 있어서 애매하긴 하다. 중국식물지나 식물기관에 검색을 해 봐도 자료가 안 뜨고 포본관에는 러시아 자료만 있다. 이 녀석의 분포도 극동러시아라고 하니 백두산 연변에서 만난 이 녀석이 과연 명천쑥일지 의문이다. 중국디지털식물 표본관에 올려진 러시아산 Artemisia saitoana 표본이다. 위, 아래 잎의 형태 변화가 거의 없다. 화서의 잎은 결각이 줄어들면서 나중에는 작은 난형으로 변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박명순. 2012.) 한국산 쑥속의 분류.. 2023. 12. 13. 백두산식물 - 큰외잎쑥(국화과 쑥속) Artemisia integrifolia L. 2023. 9. 12. 중국 습지. 외잎쑥, 큰외잎쑥, 명천쑥, 비로봉쑥 등은 국내에서는 볼 수 없는 녀석이라 백두산 탐사 때 마다 녀석들을 유심히 들여다 보고 촬영해 둔다. 다들 습지 식물을 탐사하는데도 나는 이 녀석과 명천쑥으로 보이는 녀석에 꽂혀서 한참 시간을 보냈다. 한국산 쑥속의 분류 박사학위 논문(박명순.2012) 줄기 아래 쪽 잎 줄기 아래쪽 잎에는 한 두개의 결각성 톱니가 나타난다 1~2쌍의 탁엽 비쑥??: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3 https://qweenbee.tistory.com/8890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1 https://qwee.. 2023. 12. 13.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