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8

백두산식물 - 멍덕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idaeus L. var. microphyllus Turcz. 2023. 9. 11. 북백두 언저리. 아침 시간 탐사 끝무렵 숙소 주변에서 산딸기속 녀석이 눈에 들어온다. 나무딸기인가 싶어서 들여다 보니 멍덕딸기였다. 국내에는 높은산 능선이나 바위지대, 너덜지대 주변에서 드물게 만나는데. 개체가 좀 왜소하고 잎도 크지 않지만 이 곳의 녀석은 일반적인 모습이 아니라 잎도 크고 세력이 좋아서 처음에는 긴가민가 하였다. 3~5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겹잎 어린가지에는 날카로운 가시와 샘털이 있다 잎의 중축과 잎자루에 부드러운 털과 가시가 있는데 이 개체는 가시가 많이 발생하지 않았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 2023. 12. 20.
백두산식물-잎갈나무(소나무과 잎갈나무속) 열매 Larix gmelinii (Rupr.) Kuzen. var. olgensis (A.Henry) Ostenf. & Syrach 2023. 9. 8. 중국 길림성 일대. 소나무과인데 잎이 낙엽지는(잎이 가는) 녀석이라 잎을 갈아치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 조림된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잎 뒷면이 녹색이고 구과 열매의 종린이 젖혀지지 않고 구과의 수가 적고 구과 열매 크기가 더 작다.구과의 종린이 젖혀지지 않는다. 잎갈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911131잎갈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1   잎갈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0636 개잎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6860개잎갈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276 일본잎.. 2023. 12. 20.
백두산식물 -부전자작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Betula ovalifolia Rupr. 2023. 9. 8. 중국 동부 습지 주변. 백두산 일대 하천가나 습원에서 볼 수 있다. 2m 까지 자라는데 습지에서 내 키높이 정도 개체를 관찰하여서 촬영하기는 수월하였다. 측맥이 5~7쌍 길이 3~3.5cm 정도의 광타원형의 작은 잎을 달고 있는데 처음에는 잎 양면에 털이 있지만 점차 탈락하여 맥 위에만 털이 남는다. 좀자작나무에 비하여 어린가지에 부드러운 잔털이 밀생하는데 이 녀석을 좀자작나무의 생태변이로 보기도 한다, 한반도 북부지방 양강도, 함경남도 등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북해도, 중국(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좀자작나무의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다.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 불규칙한 잔톱니 5~7쌍의 측맥 열매 과수 길이 1.5~3cm 소견과와 과포 수꽃차례.. 2023. 12. 20.
백두산식물- 배암나무(인동과 산분꽃나무속) Viburnum koreanum Nakai 2023. 9. 9.  북백두 언저리. 북백두의 이른 아침 시간이면 숙소 주변을 조심스레 탐사하는 재미가 쏠쏠하다.9월의 북백두 언저리 숲에는 꽃이라곤 거의 안 보이고 열매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7월에는 난초를 보러 들르던 장소에서 몇 알 달린 배암나무 붉은 열매를 겨우 보고 숙소로 돌아가던 중길 반대쪽 숲을 뒤지는데 배암나무 군락을 찾아내는 대박을 쳤다 어스름한 새벽 시각에 올라가면서 넓은 잎을 보고 혹시 배암나무 같은데?? 하면서돌아올 때 확인해 봐야지 했던게 딱 맞아들어갔던 것이다. 앵글러Caprifoliaceae (인동과)Viburnum (산분꽃나무속)APG ⅣViburnaceae (산분꽃나무과)[정명] Viburnum koreanum Nakai 분단나무 꽃 : https://qweenbee.t.. 2023. 12. 19.
백두산식물 - 당마가목(장미과 마가목속) 열매 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 2023 .9. 10. 북백두 언저리. 한밤중 내리는 빗줄기가 심상치 않아서 내려서 아침 탐사 여부가 불투명 했는데 다행하게도 비가 뜸 한 것 같다.4시 30분 경부터 숙소 밖으로 나가서  주어진 짧은 시간에 숙소 주변을 탐사하느라 바쁘다.  숙소 가까운 나무 사이에 붉은 열매를 달고 있는 당마가목을 담으려는데 가지가 많이 높다.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마가목속은 4종으로 정리가 되어 있다. 마가목 Sorbus commixta Hedl.당마가목 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산마가목 Sorbus sambucifolia (Cham. & Schltdl.) M.Roem. var. pseudogracilis C.K.Schneid.우산마가목 Sorbus ulleunge.. 2023. 12. 19.
백두산식물 - 새끼노루발(진달래과 새끼노루발속) 열매 Orthilia secunda (L.) House 2023. 7. 12. 백두산 언저리.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7462 노루발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2077 https://qweenbee.tistory.com/8903638 매화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4 https://qweenbee.tis.. 2023. 12. 18.
백두산식물 - 콩팥노루발(진달래과 노루발속) 열매 Pyrola renifolia Maxim. 2023. 9. 12. 박두산 언저리 습지. 2-4개의 꽃이 달리고 꽃대는 길이 10-20cm로서 간혹 1개의 인엽이 있다. 2~5cm 엽병에 둥근 콩팥 모양의 잎이 1~3개 달리고 잎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국내에는 울릉도에 분포하고 있다. 앵글러 - 노루발과 (Pyrolaceae) APG Ⅳ- 진달래과 (Ericaceae) 노루발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95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8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2785 https://qweenbee... 2023. 12. 18.
몽골식물 - 골담초속 카라가나 루코플로아 Caragana leucophloea Pojark. 2023. 7. 2. 몽골.  좁은 피침형의 잎을 가진 녀석이다.옆에 난형의 잎을 가진 좀골담초도 함께 있다. 이 녀석 Caragana leucophloea 열매는 좀골담초보다 작다,  Caragana leucophloea 열매 좀골담초와  Caragana leucophloea좀골담초와 함께 엉겨 있다.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 2023. 12. 18.
몽골식물 - 좀골담초(콩과 골담초속) Caragana microphylla 2023. 7. 2. 몽골. 건조한 스텝지역 바위산 아래서 만났던 녀석이다. 큰골담초 처럼 도란형, 또는 타원형잎을 가지고 있지만 잎의 크기가 작다. 큰 거 좀골담초, 작은 거 Caragana leucophloea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 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enbee.tistory.com/8902644 https://qweenbee.tistory.com/8908073 https://qwee.. 2023. 12. 18.
몽골식물 - 큰골담초(콩과 골담초속) Caragana arborescens Lam. 2023. 6. 30. 몽골 무룬. 몽골에는 다양한 골담초속 식물이 많은 것 같은데 그 중 4종은 보았다. 가장 흔하게 만났던 게 Caragana leucophloea와 좁은잎골담초였다. 이 녀석은 서북부 지역 공항이 있는 큰 도시에서 만났다. 도로변 작은 정원에 울타리로 조경해 두어서 열심히 담았는데 자생 상태로는 만나지 못하였다. 참골담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1 https://qweenbee.tistory.com/8891317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6 https://qweenbee.tistory.com/8899582 https://qweenbee.t.. 2023. 12. 18.
몽골식물 - 고산봄맞이(앵초과 봄맞이꽃속) Androsace lehmanniana Spreng. 2023. 6. 27. 몽골. 백두산에서 만났던 고산봄맞이와 몽골의 털봄맞이는 매우 흡사한데최혁재의 몽골도감에는 김찬수가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털봄맞이꽃으로 국명을 달아 놓은 Androsace incana 와 고산봄맞이 Androsace lehmanniana 두 가지 모두 실려 있다.두 종의 엽형과 꽃의 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 같은데 부분의 특징을 촬영 하지 못해서 구분이 쉽지 않다. 고산봄맞이 Androsace lehmanniana  1-3 Androsace yargongensis 4-5 털봄맞이꽃 Androsace incana   이 곳의 봄맞이꽃속 잎   엽형과 털의 정도와 꽃잎의 너비를 자세하게 비교 관찰한 결과 털봄맞이가 아니라 고산봄맞이로 동정을 마친다. 갯봄맞이 : https://qweenb.. 2023. 12. 16.
몽골식물 -봄맞이꽃속 Androsace villosa L. 2023. 6. 흡수굴 호수변. 몽골릐 봄맞이꽃속 녀석들 몇 종이 아주 비슷해서 정체를 밝히기 쉽지가 않다.털이 많아서 털봄맞이 Androsace incana 으로 볼 수도 있는데 덩어리로 무리진 모습으로 Androsace villosa 로 정리한다. 원산지는 유럽과 몽골로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자란다.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5https://qweenbee.tistory.com/88900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05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5   https://qw.. 2023.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