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62

백두산식물 - 당마가목(장미과 마가목속) 동아 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 2023. 9. 9. 백두산 언저리. 동아 인편 표면에 백색 털이 밀생한다. 가을이라 잎 뒷면의 백색분이 많이 사라졌다. 마가목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03    https://qweenbee.tistory.com/889944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47    https://qweenbee.tistory.com/8901548  마가목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03마가목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m/8898619  https://qweenbee.tistory.com/8896602             http.. 2024. 1. 10.
백두산식물 -좁은백산차(진달래과 백산차속) Ledum palustre L. var. decumbens Aiton 2023. 9. 10. 백두산 언저리 숲. 늦깎이 녀석이 게으르게 꽃을 피웠다. 꽃은 지름 6~7mm, 흰색, 잎몸은 선형으로 길이 1~2cm, 폭 2~3mm. 잎끝은 둥글게 뾰족하고, 밑은 길게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다소 뒤로 말린다. 흰참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13 https://qweenbee.tistory.com/8894024 https://qweenbee.tistory.com/8886690 https://qweenbee.tistory.com/8894161 https://qweenbee.tistory.com/8901018 흰참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5971 참꽃나무 : https://qweenbee.. 2024. 1. 9.
백두산식물 - 귀박쥐나물(국화과 박쥐나물속) 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2023. 9. 9. 백두산 언저리 고개. 국내에서는 한라산에서 드물게 만나는 녀석이다. 잎자루 기부 양쪽에 작은 귀가 달려 있는 귀여운 녀석이다. 민박쥐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15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9 https://qweenbee.tistory.com/8894176 https://qweenbee.tistory.com/8894227 https://qweenbee.tistory.com/8896258 https://qweenbee.tistory.com/8897625 https://qwe.. 2024. 1. 9.
백두산식물 - 긴잎곰취(국화과 곰취속) Ligularia jaluensis Kom. 2023. 9. 12. 액목습지. 긴잎곰취: 총포편 8-12개, 혀꽃 15-20개. 잎자루에 날개, 잎자루 길이 50cm, 잎몸은 삼각형 또는 난상 삼각형, 밑은 심장 모양 또는 잘린 모양,  화서는 가지를 치지 않는다. 소화경이 짧고, 두상화서 아래 포가 길며. 관모는 흰색, 어리곤달비 : 총포편 8개, 혀꽃 ?개. 잎자루에 날개 없음, 잎자루 길이 23~55cm, 신장상 심장형 또는 심장형, 두화는 꽃이 필 때 밑으로 처짐,   화서 아랫쪽 꽃들이 가지를 치거나 소화경이 길고, 두상화서 아래의 포가 거의 없으며  관모는 칙칙한 갈색 긴잎곰취는 화서 아랫쪽 꽃들이 가지를 치거나 소화경이 길고, 두상화서 아래의 포가 거의 없으며 관모가 순백색이다. 관모가 흰색, 소화경의 길이가 길다 곰취 : https:.. 2024. 1. 8.
백두산식물 - 개쇠뜨기(속새과 속새속) Equisetum palustre L. 2023. 9. 12. 액목습지.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쇠뜨기에 비해 가지의 잎집이 줄기의 잎집보다 짧으므로 구별된다. 또한 개속새에 비해 포자낭이삭이 줄기 끝에 나며 자루가 있으므로 다르다. 꽃동무와 이 녀석을 찾아서 쇠뜨기 종류가 보일 때 마다 뜯어서 들고 줄기엽초와 가지엽초 길이를 비교해보다가 마지막 날 습지에서 녀석을 찾았다. 줄기의 엽초가 가지의 엽초보다 길이가 더 길다, 속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53 https://qweenbee.tistory.com/8892199 개속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90 https://qw.. 2024. 1. 8.
참나래박쥐나물(국화과 박쥐나물속) 2023. 9. 11. 백두산 주변. 국내에서는 거의 보기 힘든 녀석이라 백두산 탐사에서 반갑게 만난다. 나래박쥐나물에 비하여 잎자루 날개 가장자리게 톱니가 있다. 헌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이 녀석이 없고 나래박쥐나물만 있다. 잎자루 날개에 톱니가 확연하다. 민박쥐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10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15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9 https://qweenbee.tistory.com/8894176 https://qweenbee.tistory.com/8894227 https://qweenbee.tistor.. 2024. 1. 7.
백두산 식물 - 털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Stachys riederi Cham. var. hispidula (Regel) H.Hara 2023. 9. 12. 백두산 주변 습지. 전초에 거센털이 많은 석잠풀속 녀석으로 몽골에서도 만난 적이 있다. 석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1 https://qweenbee.tistory.com/89004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893 https://qweenbee.tistory.com/8904910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2 석잠풀속 : https://qweenbee.tistory.com/8902777 털석잠풀(중국) : https://qweenbee.. 2024. 1. 4.
백두산식물 - 진퍼리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Salix myrtilloides L. 2023. 9. 9. 이도습지. 부슬거리는 비를 맞으면서 습지를 탐사하는데 일행 중 한사람이 이 녀석 꽃이 핀 가지를 꺾어 왔다. 이 가을에 꽃을 피운 녀석은 무슨 생각이었을까? 백두산 주변 산지 습지에서 자란다. 중국동북부, 몽골, 러시아에 분포한다. 타원형, 장타원형 잎, 양면 털 없고 톱니 없음, 뒷면 백색 자방과 열매에 털 없음, 어린가지 털 없음 자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피침상 원추형 자방 아래 타원형의 포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나 드물게 둔한 톱니가 생기기도 한다 잎 뒷면은 백색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qweenbee.tistory.com/8891512 https://qweenbee.tis.. 2024. 1. 3.
백두산식물 - 반짝버들(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열매 Salix pseudopentandra (Flod.) Flod. 2023. 9. 11. 백두산 언저리 액목습지 물 빠진 습지의 바닥은 높낮이 굴곡이 얼마나 심한지 사초 둥치들을 잘 딛고 가야 하는데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서 금방 쑤욱하고 바닥에 빠져 버린다 그러기에 진행하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어 전진하기가 쉽지 않다. 여름철이면 많은 꽃들을 볼 수 있었을 테지만 꽃이라고는 초오속과 용담속, 국화과 정도밖에 없다. 그래도 이 시기가 아니면 가을 꽃과 열매듣 볼 수 없으니 한 번은 와야 하는지라 이번 탐사 팀이 꾸려진 것이다. 덕분에 습지 가장자리에서 반짝 버들도 만날 수 있었다. 한반도 북부지역과 중국 몽골에 분포한다. 다른 버드나무들에 비하여 여름철에 개화하는 게 특징이다. 버드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696 https.. 2024. 1. 3.
백두산식물 - 아광나무(장미과 산사나무속) 열매 Crataegus maximowiczii C.K.Schneid. 2023. 9. 12. 백두산 습지. 북부지방하천가나 숲가장자리에 자라는 소교목이다. 야광나무 오타가 아니라 산사나무속 아광나무이다. 산사나무에 비하여 잎 가장자리에 결각이 얕고 잎 뒷면과 꽃차례에 털이 많다. 산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402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27(식재) https://qweenbee.tistory.com/8906299 https://qweenbee.tistory.com/8907797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6 산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7021 https://qweenbee.tistory.com/888932.. 2024. 1. 2.
백두산식물 - 사스래나무(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Betula ermanii Cham. 2023. 9. 11. 백두산 언저리. 백두산을 오르다 보면 스쳐가는 교목 수목림대를 이루는 거의 대부분이 이 사스래나무이다. 하얀 껍질을 가진 사스래 가지의 자유로운 구불거림이 멀리 조망되는 백두산 능선 줄기와 어우러져서 장관을 이룬다. 열매 수꽃차례 동아 잎눈 동아 인편에 백색 털이 있다. 잎은 삼각상난형, 잎끝은 뾰족, 엽저는 얕은 심장저, 측맥 8~12쌍으로 거제수 보다 수가 좀 적다 자작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77 https://qweenbee.tistory.com/8893402 https://qweenbee.tistory.com/8895502 https://qweenbee.tistory.com/8897458 자작나무 열매 : https://qw.. 2024. 1. 2.
백두산식물 - 민망초(국화과 개망초속) Erigeron acris L. 2023. 9. 11. 백두산 언저리. 2017년 백두산꽃탐사를 갔다가 중국 우슬린에서 이 녀석을 처음 만났다.온라인상에 내가 처음으로 이 녀석을 소개를 해 준 셈이다.그 이후 박두산 탐사를 다녀오는 사람들이 심심찮게 만나는 것 같다. 몽골과 중국에서 만나볼 수 있는 녀석으로  한국의 중부 이북 지방과 중국,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망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740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09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56https://qweenbee.tistory.com/8905868     .. 2023.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