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62

북해도식물 - 흰 두메꿀풀(꿀풀과 꿀풀속) Prunella vulgaris L. subsp. asiatica (Nakai) H.Hara 2023. 7. 10. 북해도 쇼운쿄 온천지구 숙소 주변. 해외 탐사는 작은 짬이 나는 시간이라도 허투루 보내면 아깝다. 좀 일찍 일어나서 아침 식사 전까지 주변 숲을 탐사하였다. 키작은 꿀풀이 무리지어서 눈길을 잡는다. 낮은 키와 짧은 화서가 좀 특이하다. 그냥 꿀풀이 아닌 다른 종일 수도 있다. 혹시 두메꿀풀일까? 두메꿀풀 : 꿀풀(Prunella asiatica Nakai)에 비해 기는줄기가 없으며 줄기가 가늘고 화관의 길이가 1.3cm쯤으로 짧은 점으로 구분한다. 제대로 확인을 못하였지만 그냥 흰 두메꿀풀로 올린다. 두메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98 https://qweenbee.tistory.com/8904250 https://qweenbee.tist.. 2024. 1. 15.
북해도식물-자생의 수호초(회양목과 수호초속) Pachysandra terminalis Siebold & Zucc. 2023. 7. 9. 북해도 쇼운쿄 온천지구 숲. 숙소 주변 계곡부 숲 아래 음습한 곳에서 만난 자생지의 수호초이다.우리 나라 정원에 많이 식재한 것을 본 적이 있는데 이 녀석이 일본 원산이란 걸 몰랐다. 이 녀석이 무리지어 사는 이유는  줄기 아래쪽 일부는 뿌리줄기처럼 되며, 옆으로 기며 자라다가 곧게 서면서 개체를 만들어 가기 때문이다처음 새 줄기에는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회양목과라기에 의외였는데 핵과 열매 모습이 닮았다.  꽃은 줄기 끝에 짧은 수상꽃차례로 달리고, 연한 노란색이다. 수꽃은 꽃자루가 없이 윗부분에 피고,  암꽃은 밑부분에 꽃자루가 있다. 포와 꽃받침잎은 넓은 난형으로 길이 2.5~3.5mm이고, 부드럽고 짧은 털이 있다. 열매는 난형으로 지름 5~6mm다.  수호초 : https.. 2024. 1. 14.
북해도식물 - 홍노도라지(초롱꽃과 홍노도라지속) Peracarpa carnosa (Wall.) Hook.f. & Thomson 2023. 7. 9. 북해도 쇼운쿄 온천지구 계곡부. 홍노도라지가 왜 여기에? 계곡부 수림 바닥을 살피다가 만난 작은 별처럼 꽃을 달고 있는 도라지 꽃을 찾았다. 제주도에서 만난 홍노도라지랑 아주 흡사하여서 검색해 보니 이 녀석은 중국 중남부, 중국 남동부, 히말라야 동부, 인도, 일본, 캄차카 대한민국, 쿠릴 제도, 미얀마 네팔, 뉴기니 필리핀, 사할린, 대만, 태국, 티베트 웨스트에 걸쳐서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애기도라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6 https://qweenbee.tistory.com/8890644 https://qweenbee.tistory.com/8891125 https://qweenbee.tistory.com/8892178 https:/.. 2024. 1. 14.
북해도식물 - 기는미나리아재비(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repens L. 2023. 7. 9. 북해도 쇼운쿄 온천지구 은하폭포 계곡 다들 날개하늘나리를 찾아다니고 있었지만 나는 바닥을 뒤지면서 생소한 식물을 찾느라고 바빴다.주어진 시간이 부족해서 찬찬히 담을 수가 없었지만 그래도 여러 종의 분류군을 만났다.  이 녀석은 습한 바닥에 긴 러너 줄기를 벋고 있었는데 오래 전 서울 도심지에 유입된 녀석을 본 적이 있었지만 이렇게 자생하는 모습을 보니 너무 반가웠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 2024. 1. 12.
북해도식물 -루부스 슈도자포니쿠스(산딸기속) Rubus pseudojaponicus Koidz. 2023. 7. 9. 북해도 쇼운쿄 온천지구 은하폭포 계곡 계류 옆 숲에서 본 이 녀석은 줄기가 길게 늘어졌으며 전초에 가시가 없고 잎이 5소엽의 생소한 산딸기속이었다. 일행들은 그저 날개하늘나리를 찾아다니느라 정신이 없는데 숲 아래 초본들을 찬찬히 살피다가 붉은 열매 하나를 발견하고 다른이들에게 알려주자그제사 몰려와서 찍는다고 어깨를 부딪힌다. 이미지로 산딸기속을 검색하여 찾아낸 학명은 Rubus pseudojaponicus 로 현지에서는 히메고요 딸기라 부르며 홋카이도에서 혼슈 중부와 북부에 이르는 산과 아고산 지대의 숲 가장자리에 있는 침엽수림과 습한 땅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는 일본 고유종이다. 덩굴이며 밑동이 뻣뻣하고 꽃이 피는 가지는 곧게 서서 높이 약 30cm, 흰 꽃 한 송이가 위로 피어나지.. 2024. 1. 12.
북해도식물 - 왕꽃마리(지치과 섬꽃마리속) Cynoglossum asperrimum Nakai 2023. 7. 10~11. 북해도 소운쿄 온천지구 숙소 주변 새벽 4시부터 부지런을 떤 덕분에 숙소 주변의 숲에서 꽤 많은 식물을 접할 수 있었다.이 녀석은 몽골에서 만났던 섬꽃마리속 Cynoglossum divaricatum 과 매우 흡사한 모습이었다.헌데 이 녀석은 전초에 털이 많고 열매 전체에 돌기성 선모가 가득하여서 뚝지치나 돌지치속으로 확인해 봐야 한다 돌지치속  Lappula 은 비슷한 녀석이 안 보이고 뚝지치속 Hackelia 을 검색하니 캐나다 동부와 미국중서부와 동부에 분포한다는 Hackelia virginiana에 거의 접근한다. 왕꽃마리로 보인다는 꽃동무의 조언으로 찾아보니 이 녀석은  뚝지치속 Hackelia virginiana가 아니라섬꽃마리속 왕꽃마리 Cynoglossum as.. 2024. 1. 11.
북해도식물 - 곰취(국화과 곰취속) 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2023. 7. 9. 북해도 소운쿄 온천지구 은하폭포 계곡부 잎이 어린여자아이 치마폭 처럼 넓은 곰취속이라 다른 종이 아닐까 했는데 일본식물 도감에는 곰취와 같은 학명을 쓰고 있었다.전초 크기 1~2m, 설상화 5~9개,  고산대 초지와 습지, 강가의 수림 아래 자란다. 곰취 : https://qweenbee.tistory.com/8890832        https://qweenbee.tistory.com/8894198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5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7https://qweenbee.tistory.com/8900778     https://qweenbee.tistory.com.. 2024. 1. 11.
대설산식물 - 단풍잎꿩의다리 Trautvetteria caroliniensis var. japonica =Trautvetteria palmata var. palmata 2023.  7.  9. 북해도 소운쿄 온천지구 계곡부. 하늘폭포 아래 계곡부에서 만났던 녀석이다.잎이 단풍잎처럼 깊게 갈라져 있었고 불규칙한 거치를 가진 잎이 바닥에 좌악깔려 있어서 뭔가 싶어서 궁금했는데탐사하면서 꿩의다리속 꽃이 핀 것을 찾았다.꿩의다리속 Thalictrum 으로 이미지 검색을 하니 찾을 수가 없었는데 일본식물도감에서 학명을 찾았다. 紅葉唐松(단풍당송)   Trautvetteria caroliniensis(Walter) Vail var. japonica (Siebold et Zuccarini) T. Shimizu초장 30~80cm, 아고산, 고산대 활엽초지에 분포하는 Trautvetteria caroliniensis (Walter) Vail 의 변종이다.헌데 Trautvetteria .. 2024. 1. 11.
백두산식물 - 단풍터리풀(장미과 터리풀속) Filipendula palmata (Pall.) Maxim. 2023. 9. 8. 고성촌. 중국 산지나 습원에서 만나는 터리풀 녀석은 거의 단풍터리풀이다 높이 50~100cm. 뿌리에서 나는 잎은 모여나며, 줄기잎은 어긋난다. 잎은 홀수 깃꼴겹잎이며, 끝의 작은잎은 5~7갈래의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잎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한다. 옆의 작은잎은 1~2쌍으로 보통 3갈래로 갈라진다.   터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5   https://qweenbee.tistory.com/8896085https://qweenbee.tistory.com/8905602   .. 2024. 1. 11.
백두산식물 - 버들취(바늘분취) 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amurensis Turcz. ex DC. 2023. 9. 11. 황송포. 습지마다 버들취가 나타났다.  줅 아래쪽 잎은 꽤 너비가 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1569큰각시취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6큰각시취 종자 : https://qween.. 2024. 1. 10.
백두산식물 - 버들취(바늘분취) 국화과 취나물속 Saussurea amurensis Turcz. ex DC. 2023. 9. 12. 액목습지. 국내에서는 만나볼 수 없는 종이다.첫날 만났던 버들취 녀석을 마지막날 습지에서 다시 또 만났다.잎이 선형 처럼 긴 피침형으로 너비가 일정하고 엽저에서 잎자루에서 줄기로 흘러내린 날개가 있다.  큰각시취: https://qweenbee.tistory.com/88889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248 https://qweenbee.tistory.com/8894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4908  https://qweenbee.tistory.com/8896617    https://qweenbee.tistory.com/8899824   https://qweenbee.tistory.com/890.. 2024. 1. 10.
백두산식물- 회목나무(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Euonymus pauciflorus Maxim 2023. 9.9. 선봉령. 우리나라에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녀석을 중국 땅에서 보니 더 반갑다. 나래회목나무에 꽂혀서 혹시나 하고 들여다 봤는데 잎자루에 날개가 발달해 있다고 하는데 한반도 생물다양성포털에는 Euonymus oligospermus 나래회목나무는 평북 묘향산, 강원 설악산에 자라며, 잎에 털이 없고, 소화경이 매우 짧다고 한다. 근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회목나무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어 있다. 뭐 머리아프게 고민할 것 없이 회목나무로 정리하면된다. 2024.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