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62 북해도식물 - 개꽃마리(지치과 개꽃마리속) Myosotis laxa Lehm. 2023. 7. 11. 소운쿄 온천지대 도로변 수림 가장자리 녀석의 정체를 찾을 시간이 없어서 아직 인데 꽃마리로 보기에는 전초 크기가 아주 커서 다른 녀석이 아닐까 싶은데 이미지를 검색해 보니 개꽃마리 Myosotis laxa에 근접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7~20cm, 가지를 치고, 전체에 구부러진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날개 모양의 짧은 잎자루가 있다. 잎몸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4cm쯤이며, 끝은 뾰족하다.열매가 난형 편평한 원반형으로 윤이 난다.우리나라 함경남도 차일봉에 나며, 러시아에 분포한다. 헌데 이 녀석이 물망초 Myosotis scorpioides L.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겟다.아무튼 개꽃마리속은 확실한 것 같다. 아래 세밀화를 보면 털의 형태가 물망초로 .. 2024. 1. 18. 북해도식물 - 실별꽃(석죽과 별꽃속) Stellaria filicaulis Makino 2023. 7. 10. 숙소주변. 아침 식전 탐사를 급하게 마치고 식사 시간이 다 되어 숙소로 돌아오는 길숙소 앞에 다다르기 직전 석죽과 별꽃속 녀석이 아주 가녀리게 꽃을 피운 것이 눈에 띈다. 또 주저 앉으면 식사 시간에 늦을 것 같아서 한 컷 퍽샷으로 날리고줄기를 뜯어 들고 식당으로 직행하였다.식사 후 방에서 접사를 하는데 그 사이에 꽃잎이 다 말려들어서 꽃받침과 꽃잎의 길이를 제대로 비교할 수가 없었다.아직 만나지 못한 긴잎별꽃일까 기대를 했는데, 줄기에 돌기가 없이 매끈한 것으로 봐서 실별꽃으로 동정 한다. 높이줄기잎꽃실별꽃 20~30cm모여나고 네모지며 털이 없다선형, 길이 2~3cm, 폭 1~2mm앞면에서 가운데 잎맥 다소 들어가고 뒷면에서는 두드러진다꽃잎은 꽃받침보다 1.5~2배 길다 소화경.. 2024. 1. 18. 참꽃받이(지치과 꽃받이속) 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2023. 6. 12. 제주. 이 녀석은 제주도 여기 저기서 드문드문 나타난다.십여 년 전에는 제주 공항 주변 오름에서 처음 만났었는데 이번에는 서쪽 해안로에서 만났다. 우리나라 평안남도, 황해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나며,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꽃받이에 비해 꽃이 한쪽으로 치우치며, 나선 모양으로 말리는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밑은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20~30cm, 가지를 치고 전체에 흰 털이 있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 2024. 1. 18. 대설산식물 - 미물루스 세실리폴리우스(물꽈리아재비속) mimulus sessilifolius Maxim. 2023. 7. 10. 대설산. 역시 산으로 오르다가 만난 일본에 자생하는 물꽈리아재비속 녀석이다.아고산대 물기 있는 습지에 자란다. 잎 표면에는 세로맥이 두드러지고 홋카이도, 일본의 혼슈, 혼슈 중부 지방의 북쪽, 동해 쪽, 남쿠릴 열도에 분포한다 3장만 퍽샷으로 담아서 아래 보충한 3장은 일본자료를 펌한 것이다 애기물꽈리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72 https://qweenbee.tistory.com/8897905 물꽈리아재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31 https://qweenbee.tistory.com/889444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96 https:/.. 2024. 1. 17. 북해도식물 - 삼잎방망이(국화과 금방망이속) Senecio cannabifolius Less. 2023. 7. 10. 쇼운쿄 온천지구 산자락. 백두산 남파에서 한번 만난 적이 있는 삼잎방망이로 보이는 녀석을 이른 아침 나홀로 탐사를 하다가 만났다.도로변 산자락이 무리를 지어 있었는데 화기가 아직 이른 것인지 개화한 개체는 별로 만나지 못하였다.삼잎방망이 잎처럼 삼(대마) 잎 모양으로 깊게 갈라져 있는데문제는 잎자루 기부 양쪽에 귀박쥐나물 처럼 동그란 작은 잎이 달려 있다는 것이다. 이걸 잎의 부분으로 봐야 할지 탁엽으로 봐야 할지 애매할 정도로 말이다콩과식물은 탁엽이 있지만 국화과 식물에서는 탁엽을 본 기억이 없으니(쑥속 식물은 가탁엽이 있긴 하다) 잎자루 기부에 붙은 잎의 귀라고 해도 맞긴 하겠다9월에 액목습지에서 만났던 Jacobaea litvinovii 의 귀 모양과도 또 다른 형태이다. 잎.. 2024. 1. 17. 북해도식물 - 쑥부지깽이(배추과 쑥부지깽이속) Erysimum cheiranthoides L. 2023. 7. 10. 쇼운쿄 숙소 주변. 이른 새벽에 계류를 따라 도로 주변을 탐사하다 이 녀석도 만났다.국내에서는 단양 이북지역에서 만나던 녀석이라 반갑다. 부지깽이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911214(내몽골) 가는쑥부지깽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60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2 https://qweenbee.tistory.com/8889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3https://qweenbee.tistory.com/890250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49 https:.. 2024. 1. 17. 대설산식물 - 산하엽 Diphylleia grayi F. Schmidt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대설산에 오르는 중 큰앵초를 닮은 듯한 모습의 생소한 녀석을 만났다.도감을 확인하니 일본 원산으로 북부, 북해도, 대설산, 사할린에 분포하며, 높은 산의 숲 약간 습한 곳에서 자라는 일본에서는 '山菏葉'이란 한자명을 가지고 있으며, '산카요우'로 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매자나무과 Diphylleia 속 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 나라에는 같은 속 분류군이 없다. 이 식물은 물과 접촉하면 투명해지는 꽃잎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르면 꽃잎이 흰색으로 돌아간다.표면에 분백색가루를 덮은 진한 파란색/보라색 열매를 맺는다. 비에 젖어서 투명해진 꽃잎 모습(일본 자료 펌) 산하엽(대설산): https://qweenbee.tistory.com/89106.. 2024. 1. 17. 북해도식물 - 날개하늘나리(백합과 백합속) Lilium pensylvanicum Ker Gawl. 2023. 7. 9. 북해도 소운쿄 온천지구 계곡부. 모두 관심을 보이던 녀석이라 촬영할 틈도 잘 얻을 수가 없어서 다 빠져 나간 후 몇 장 건졌다. 땅나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5 https://qweenbee.tistory.com/8888486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2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3 https://qweenbee.tistory.com/88961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8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897 https://qwee.. 2024. 1. 16. 북해도식물 - 큰터리풀(장미과 터리풀속) Filipendula camtschatica (Pall.) Maxim. 2023. 7. 910. 대설산 구로다케와 북해도 온천지구 계곡부. 급하게 몇 컷 담긴 했는데 제대로 담지 못해서 이름 찾기가 쉽지 않다.혹시나 큰터리풀이 아닐까 해서 찾아보니 근접하긴 하는더 제대로 촬영이 안 되어서 확신이 안된다. 큰터리풀은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러시아 사할린, 우수리, 캄차카,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하며, 단풍터리풀과 유사하나 잎이 더 크다. 도감을 찾아보니 큰터리풀이 맞다. 아래 녀석은 계곡부에서 꽃이 핀 모습을 담은 것이다 터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4 https://qweenbee.tistory.com/8892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5 .. 2024. 1. 16. 북해도식물 - 카무이엉겅퀴(국화과 엉겅퀴속) Cirsium austrohidakaense Kadota 2023. 7. 10. 소운쿄 온천지구 계곡부. 북해도는 우리나라 북부지방 끝 보다 위도가 더 높은 곳이라서백두산 주변 지역의 식물이나 러시아 동부지역 식물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곳이라서야생화 매니아들에게는 좋은 탐사지로 부상하고 있다. 이 녀석도 중국 북동부나 백두산 주변 지역서 만날 수 있는 엉겅퀴속 녀석이 아닐까 해서 몇 장 급하게 담았다.잎은 고려엉겅퀴와 비슷한데....... 꽃동무가 일러준 학명 Cirsium austrohidakaense 으로 확인해 보니 거의 근접한다.일본에서는 '카무이엉겅퀴' 로 불리고 있는데 비슷한 '치시마엉겅퀴'도 있다.엽형은 그 중에 치시마엉겅퀴가 더 근접하는 것 같은데 자라는 곳은 산지 저지대라....... 치시마엉겅퀴는 홋카이도의 고산지대에서 자라지만, .. 2024. 1. 16. 북해도식물 - 개선갈퀴(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Galium trifloriforme Kom. 2023. 7. 10. 북해도 소운쿄 온천지구 숲, 숲 아래 산책로 사면에 개선갈퀴가 많이 보인다.오랜만에 보는 녀석이라 반가워서 접사 촬영을 했는데혹시나 검은개선갈퀴가 아닐까 했더니 역시 개선갈퀴였다. 개선갈퀴는 줄기에 아래를 향한 고부라진 가시가 있으며 돌려나는 잎의 끝이 미철두이지만검은개선갈퀴는 줄기와 잎 뒷면에 가시털이 없고 돌려나는 잎의 끝이 예두라 개선갈퀴와 구분이 된다. 잎 줄기 열매 꽃색 개선갈퀴 6윤생엽, 좁은 장타원형끝이 둥글고 주맥 끝에 돌기가 돌출하는 미철두 능선 위에 밑을 향한 고부라진 가시 갈고리 모양의 긴 가시 밀생 백색 검은개선갈퀴 6윤생엽.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하반부 너비가 가장 넓고 위쪽이 좁아져서 끝이 뾰족한 예두(점첨두) 가시 없음 갈고리 모양의 털 밀생.. 2024. 1. 16. 북해도식물- 점박이광대수염(광대수염속) Lamium maculatum 2023. 7. 10. 소운쿄 온천지대 숙소주변 숲. 숲 가장자리 바닥에 특이한 광대수염이 보이길래 일행들은 반색을 했지만아무래도 원예종이 일탈한 것 같다는 느낌이 강해서 갸웃했었는데이동하는 중에 건물 앞에 심어놓은 걸 만났다. 역시 원예종이었던 모양이다. 점박이 혹은 얼룩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광대수염 원예 품종이다. 다양한 품종들이 많이 검색된다. 광대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0 https://qweenbee.tistory.com/8896992 https://qweenbee.tistory.com/8899312https://qweenbee.tistory.com/8900797광.. 2024. 1. 15.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