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18959 매발톱(미나리아재비과 매발톱속) 2023. 5. 27. 강원도. 도로변에 줄나라비를 서서 지나는 차랑에 고개를 숙여 인사를 한다. "나 좀 보고 가지?" 매발톱 : http://blog.daum.net/qweenbee/8888312 http://blog.daum.net/qweenbee/8891968 http://blog.daum.net/qweenbee/8895924 http://blog.daum.net/qweenbee/8897727 http://blog.daum.net/qweenbee/8899569 http://blog.daum.net/qweenbee/8904576 https://qweenbee.tistory.com/8910483 하늘매발톱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30 http://blog.d.. 2023. 6. 16. 사초과 ?? 2023. 5. 27. 강원도 인제. 아직 이름을 찾아 보지 못하였다. 2023. 6. 16. 좀보리풀(벼과 보리속) Hordeum pusillum Nutt. 2023. 5. 16. 제주. 육지에서는 만날 수 없었던 벼과 식물 좀보리풀, 귀화식물이지만 처음 만났다는데 의미가 있다. 접사한다고 이삭을 뜯어와서는 촬영하지도 못했다. 보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89 보리풀 소수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90 좀보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10479 2023. 6. 15. 새모래덩굴(방기과 새모래덩굴속) 2023. 5. 26. 강원도. 암수딴그루인 녀석은 암꽃 보기가 쉽지 않다. 수꽃이다 방기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77 http://blog.daum.net/qweenbee/8892080 http://blog.daum.net/qweenbee/8893912 http://blog.daum.net/qweenbee/8894100 http://blog.daum.net/qweenbee/8894235 http://blog.daum.net/qweenbee/8903220 방기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4102 http://blog.daum.net/qweenbee/8897858 http://blog.daum.net/qweenbee/88979.. 2023. 6. 14. 나나벌이난초(나리난초속) Liparis krameri Franch. & Sav. 2023. 6. 5. 경북. 아직은 개화가 좀 이른 시기였다. 헌데....어떤 찍사가 나무 그늘이 져서 사진 찍는데 방해된다고 주변의 나무를 마구 잘라놓은 모습에 아연실색을 하였다. 꺾은 것도 아니고 아예 톱질을 해 놓았다. 지름이 4cm 정도로 굵은 나무도 쓰러져 있었다. 11시 경에 도착하여 주변의 다른 것들을 살피고 있는 동안 아무도 지나간 사람이 없으니 오늘 한 짓은 아니고 잎의 시든 정도로 봐서는 바로 어제 한 짓이 분명한데......... 난초들은 햇볕에 노출이 되어 버리면 서서히 사라져 버린다는 기본 조차도 모르는 작자들이 그저 작품에 방해된다고 자생 환경을 다 망쳐 놓고 다닌다. 2023. 6. 14. 금오족도리풀(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2023. 5. 경북. 가까운 백두대간 사찰 숲에 이 녀석이 이렇게 많이 살고 있는 줄 몰랐다. 이른 봄에 자주색으로 돋아나는 잎인 자주족도리풀만 살고 있는 줄 알았는데 종자 채집 때문에 살피다가 자주족도리가 아닌 금오족도리풀을 보고 깜짝 놀랐던 것이다. 잎 양면에 털이 많은 것도 다르지만 악편의 길이가 폭보다 많이 길어서 금방 구분이 되기 때문에 자주족도리풀과 혼돈할 일이 없다. 그런데도 왜 봄날에 이녀석이 꽃을 피우고 있다는 걸 모르고 있었을까? 결실기에 이 녀석들을 들여다 보지 않았더라면 자주족도리만 있는 줄 알았을 것이다. 이 녀석들은 봄에 꽃이 필 때의 모습 그대로 결실이 되어 늘 꽃만 있는 것처럼 보인다. 족도리풀 종자 채집과 독초 사진을 찍으면서 재미있는 현상을 관찰하게 되었는데 사진을 찍으.. 2023. 6. 13. 길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tenuis Willd. 2023. 5. 30. 경북. 산지 길섶에 살아서 오가는 발길에 채이는 녀석이다. 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56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2 https://qweenbee.tistory.com/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7 https://qweenbee.tistory.com/8904327 https://qweenbee.tistory.com/8910471 검정납작골풀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5444 https://qweenbee.tistory.com.. 2023. 6. 13. 검정납작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fauriei H. Lév. & Vaniot 2023. 5. 18. 강원도. 석호주변 습지에 사는 녀석이다. 몇 년 전 이 녀석 찾는다고 어스름 어둠이 내리는 석호에서 골풀 녀석들 잎을 만지작 거리면서 찾아 헤메었던 때가 있었다. 이름대로 잎이 납작하고 주변의 식물들에 비하여 짙은 녹색을 띠고 있다. 지나는 길에 들러서 안부를 불었더니 이미 열매가 익어가고 있었다. 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56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2 https://qweenbee.tistory.com/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7 https://qweenbe.. 2023. 6. 13. 부채붓꽃(붓꽃과 붓꼿속) 2023. 5. 27. 강원도. 그 많던 부채붓꽃은 며칠 전에 다 시들어 버렸다. 붓꽃처럼 화피 안 쪽에 누른 무늬가 있다. 잎이 부채처럼 넓어서 그리 이름을 얻었다. 열매가 실하게 여물어 가고 있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 https://qweenbee.tistory.com/8904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71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387 난장이붓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957 솔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55 h.. 2023. 6. 11. 털개구리미나리(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Ranunculus cantoniensis DC. 2023. 5. 27. 강원도. 개구리미나리 : 잎은 2회 3출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 모양 털개구리미나리 : 잎이 1회 3출겹잎, 갈래조각은 쐐기 모양 도피침형 줄기의 털이나 겹잎의 형태가 젓가락나물과도 비슷하지만 이 녀석을 열매가 둘근 구형이라 길쭉한 원주형의 젓가락나물 열매와 구분이 된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 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 2023. 6. 11. 애기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bufonius L. 2023. 5. 27. 강원도. 지나는 길에 이 녀석 안부를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석호에 드나드는 낚시꾼들의 차량이 이 녀석 자리를 밟고 지나다녀서 겨우 풀 속에 몇 포기가 살아 남아서 소수를 달고 있다. 가랑비가 부슬거리는 오후 늦은 시각이라 화피를 닫아 버린 녀석이 야속하기만 하다. 3년 전만 해도 이 곳에 낚시를 해도 차량이 드나들지는 않았더랬는데....쩝이다. 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56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2 https://qweenbee.tistory.com/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 2023. 6. 11. 큰방울새란 2023. 5. 21. 남도 섬. 발을 옮길 수가 없었다. 움직이면 녀석들 봉오리들이 그대로 밟혀 버리니까. 섬지역 식물상 조사에서 산 아래 작은 습원으로 들어서는데 이 녀석들이 마악 피어 나고 있었다. 다 피어 나면 장관일 것이다. 2023. 6. 9.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15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