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18957

개가지고비고사리 2023. 6. 12. 제주. 섬까치수염을 찾으려고 들렀던 오름 둘레길은 온통 산쪽풀과 함께 개가지고비고사리가 우점하고 있었다. 야산고비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73 http://blog.daum.net/qweenbee/8889866 http://blog.daum.net/qweenbee/8894355 http://blog.daum.net/qweenbee/8895640 http://blog.daum.net/qweenbee/4656269 http://blog.daum.net/qweenbee/8889279 고비고사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72 http://blog.daum.net/qweenbee/8894356 http://.. 2023. 6. 21.
구와가막사리(국화과 도깨비바늘속) Bidens radiata Thuill. var. pinnatifida (Turcz. ex DC.) Kitam. 2023. 6. 9. 댐 호수변. 이 녀석도 호수 수변의 습원에 나타나는 녀석이다.물이 가득하던 때에는 표본이 필요해도 할 수가 없었던 녀석이 이렇게 습원을 가득 채우고 있다. 잎이 국화잎 처럼 갈라져 있다. 가막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69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246https://qweenbee.tistory.com/8900392    https://qweenbee.tistory.com/8889005https://qweenbee.tistory.com/8903304    https://qweenbee.tistory.com/8904842가막사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473가막.. 2023. 6. 20.
왜떡쑥(국화과 왜떡쑥속) Gnaphalium uliginosum L. 2023. 6. 9. 경북. 봄가뭄이 길어지면서 호수를 가득 채우고 있던 수위가 얕아지자 습원의 풀들이 마구 살아났다. 바위솜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4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67  https://qweenbee.tistory.com/8891837   https://qweenbee.tistory.com/8892026 https://qweenbee.tistory.com/8892030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6  https://qweenbee.tistory.com/889557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9  https://qweenbee.t.. 2023. 6. 20.
한라사초(사초과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2023. 4. 14. 뒷산. 녹빛사초랑 헷갈리게 하는 녀석이다이름은 한라를 달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분포한다이 녀석은 언제나  화사한 느낌의 밝은 녹빛이 시선을 머물게 한다.  한라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39https://qweenbee.tistory.com/8899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8https://qweenbee.tistory.com/8899233  https://qweenbee.tistory.com/8902543 https://qweenbee.tistory.com/8907357  https://qweenbee.tistory.com/8.. 2023. 6. 20.
미국개오동(능소화과 개오동속) Catalpa speciosa Teas 2023. 6. 경북. 꽃개오동보다 꽃이 더 크고 꽃이 달리는 수가 적으며 잎꼬리가 길게 빠져 있다.   오동나무 꽃: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1              https://qweenbee.tistory.com/8907248 오동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630    https://qweenbee.tistory.com/8907251오동나무 겨울눈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55오동나무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5058 참오동나무 꽃 : https://qween.. 2023. 6. 20.
비비추난초 2023. 6. 7. 충청. 어두운 숲에 자라는 녀석이라 담기가 만만치 않다. 2023. 6. 19.
산동쥐똥나무(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2023. 6. 6. 남도. 어린 가지에 털이 밀생하며 붉은 기운 있다. 잎은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형, 첨두 또는 점첨두로서 끝이 매우 뾰족하다. 광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92159 http://blog.daum.net/qweenbee/8902721 https://blog.daum.net/qweenbee/8907917 광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7187 http://blog.daum.net/qweenbee/8894979 http://blog.daum.net/qweenbee/8896923 http://blog.daum.net/qweenbee/8898664 http://blog.daum.net/qweenbee/8.. 2023. 6. 18.
속단아재비(꿀풀과 속단아재비속) Paraphlomis koreana S.C.Ko & G.Y.Chung 2023. 6. 6. 남도. 논문 저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은지 3년이 되었다.이런 저런 사정으로 가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 사이 사람들이 이 녀석을 찾기 시작하였다.한 번은 봐야겠다고 생각하여 올해는 날짜를 정해놓고 남도로 내려갔다. 꽃은 속단이나 송장풀과 비슷하고 초장은 한 뼘 정도로 작았다.전초에 샘털과 털이 덮고 있었다.개화가 시작된지 좀 된 것 같다. 70%가 열매를 맺고 있었다. 근데 이 녀석보다 더 먼저 마른 나뭇가지 끝에서 지네가 흔들거리면서 반겨주는 바람에 혼비백산하였다.  속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3      https://qweenbee.tistory.com/8886432https://qweenbee.tistory.com/8888700   .. 2023. 6. 18.
산자고(백합과 산자고속) 열매 Tulipa edulis (Miq.) Baker 2023. 4. 15. 전북. 관찰할 녀석 때문에 먼길 내려간 계곡은 산자고가 벌써 열매를 달고 있었다. 산자고 :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0 http://blog.daum.net/qweenbee/8889494 http://blog.daum.net/qweenbee/8891527 http://blog.daum.net/qweenbee/8895332 http://blog.daum.net/qweenbee/8897175 http://blog.daum.net/qweenbee/8900737 http://blog.daum.net/qweenbee/8900859 https://qweenbee.tistory.com/8906811 https://qweenbee.tistory.com/8.. 2023. 6. 18.
가시꽈리(가지과 가시꽈리속) Physaliastrum echinatum (Yatabe) Makino 2023. 5. 28. 경북. 나의 오해로 나한테 잘못 찍혀서 절멸 당할 뻔 했던 녀석이이렇게 몇 개체씩 나타나기 시작하니 다행스럽고 고마운 녀석이다. 꽃이 진 후 꽃받침이 거의 열매를 감싸는 듯 커지며 열매는 백색으로 익는다.  꽈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7034https://qweenbee.tistory.com/8903454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4꽈리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78    https://qweenbee.tistory.com/8886060https://qweenbee.tistory.c.. 2023. 6. 18.
낚시돌풀(꼭두서니과 낚시돌풀속) 어린싹 Leptopetalum coreanum (H.Lév.) Naiki & Ohi-Toma 2023. 5. 16. 제주. 이 녀석을 제주도에서 꽃핀 모습을 거의 본적이 없는데생각보다 해안 현무암 바위 틈에 많이 붙어 있다.   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7   https://qweenbee.tistory.com/8900038              https://qweenbee.tistory.com/8900532   https://qweenbee.tistory.com/8901539 (털)백령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90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897https://qweenbee.tistory.com/8886554   https://qweenbee.tistory.com.. 2023. 6. 17.
개느삼(콩과 고삼속) 열매 Sophora koreensis Nakai 2023. 5. 26. 강원도. 식재. 자라는 환경이 좋으니 열매가 아주 주렁주렁이다.  고삼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411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https://qweenbee.tistory.com/88979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30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905  https://qweenbee.tistory.com/8904930고삼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7  https://qweenbee.tistory.com/8.. 2023. 6.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