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18959 끈끈이귀개(끈끈이귀개과 끈끈이귀개속) Drosera peltata Thunb. var. nipponica (Masam.) Ohwi ex E.Wa 2023. 5. 21. 남도 섬지역 식물상 조사에서 발견했던 끈끈이귀개 이다.호남자원관 담당 실장과 함께 현장을 확인하러 다시 내려 갔다.관목들 사이로 산비탈을 올라가 보니 숲 바닥에도 여기 저기 많은 개체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생각보다 엄청 큰 군락지 였다 호기심 많은 실잠자리 한 마리가 생포 되었다. 끈끈이귀개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3721https://qweenbee.tistory.com/8894108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4https://qweenbee.tistory.com/8905416 https://qweenbee.tistory.co.. 2023. 6. 8. 갯금불초(국화과 갯금불초속) 어린싹 Wollastonia dentata (H.Lév. & Vaniot) Orchard 2023. 5. 17. 재주. 금불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51 https://qweenbee.tistory.com/8889149https://qweenbee.tistory.com/8901966 https://qweenbee.tistory.com/8896557 https://qweenbee.tistory.com/8899717 https://qweenbee.tistory.com/8900180https://qweenbee.tistory.com/8900192금불초속(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898872 금불초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5294 버들금불초 : htt.. 2023. 6. 6. 암대극(대극과 대극속) Euphorbia jolkinii Boiss. 2023. 5. 16. 제주. 해안 현무암 암반에 자리 잡은 암대극이 성산 일출봉을 배경으로 멋진 그림을 그려주고 있다. 낭독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10281 낭독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61 https://qweenbee.tistory.com/8908824 낭독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10215 대극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9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4 https://qweenbee.tistory.com/8891308 https://qweenbee.tistory.com/8891842 https:.. 2023. 6. 5. 큰고추풀(현삼과 큰고추풀속) Gratiola japonica Miq. 2023. 5. 경북. 이 곳 너른 들에는 연밭이 많아서 큰고추풀이 연 줄기 발치에 끼어들어 살고 있다. 하마 폈을라고 하면서 들렀는데 벌써 열매까지 달고 있었다. 연뿌리를 수확하고 연이 듬성 듬성 남아 있는 덕분에 큰고추풀들이 자라기 좋은 환경인 것 같다. 제초제를 뿌린 연밭은 풀 한 포기 안 보이는데 이 연밭은 인심좋은 주인 덕분에 큰고추풀이 안심하고 자라는 것 같다. 논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25cm, 밑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3mm, 폭 2~7mm, 밑부분은 줄기를 조금 감싸며,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 2023. 6. 3. 기는괭이눈(범의귀과 괭이눈속) 포복지 Chrysosplenium epigealum J.W. Han & S. H. Kang 2023. 5. 27. 꽃동무의 도움으로 이른 봄에 아직 개화도 하지 않을 때 녀석을 잠시 만났더랬다.그 동안 잊어버리고 있다가 꽃동무가 깨우쳐 주는 바람에 길게 벋어가는 포복지를 촬영하게 되었다. 이미 아랫 동네는 전초도 누렇게 사그러지고 있는 미치광이풀 촬영 때문에 걱정이 늘어져 있었더랬는데,마침 인제에서 종자 팀의 워크샵이 있어서 이태 전 우연하게 봐 두었던 미치광이풀 전석지대를 찾게 되었다. 헌데 숲이 우거져 버려서 그 전석지대 위치를 찾을 수가 없어서 결국 꽃동무의 도움을 받았는데 전화 말미에 기는괭이눈 포복지도 잘 벋어갈 테니 보고 가란다. 그렇지, 아무리 바빠도 이 녀석은 보고가야제.사실 독초 사진 촬영 때문에 카메라가 뜨끈 거릴 정도로 셔터를 눌러대어야 해서 요즈음 정신 없이 바쁘긴 하다.. 2023. 6. 2. 몽울토현삼(현삼과 현삼속) Scrophularia cephalantha Nakai 2023. 5. 19. 좀 이르지 않을까 싶었지만 벌써 개화 시작한지 한참 된 듯하다.토현삼이나 큰 개현삼은 7월이 되어야 개화를 하지만 이 녀석은 5월에 개화를 하고 전초 크기도 작고 화서도 짧다, 이 녀석을 몽울토현삼으로 알고 있는데 한반도생물다양성의 기록에는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통영 미륵산에 자생하는 한국고유종으로 꽃은 7월에 암자색으로 피고 취산화서가 모여 원추화서를 이루며 소화경에 선모가 있고 화서 전체에 잎이 많다. 서는 짧고 거의 두상으로 모이며 잎에 짧은 3각형의 톱니가 있다7월에 개화하며, 특히 꽃차례가 뭉쳐 있어서 두상에 가깝다는데 이 곳의 녀석은 꽃차례가 짧지만 원추화서란 말시. 논문에 기재된 몽울토현삼의 내용과 다른데 . 장현도 , 김태훈 , 오병운한국식물분류학회지 2011 .. 2023. 6. 2. 흰젖제비꽃 2023. 5. 13. 천년숲. 숲 한 쪽에 이 녀석들이 무리지어 살고 있다. 엽저가 삼각상으로 귀가 발달해 있다. 2023. 5. 31. 방울새풀(벼과 방울새풀속) Briza minor L. 2023. 5. 15. 제주. 벼과 녀석 중에서도 이름도 이쁘고 달랑거리는 소수도 귀여운 녀석이라 보기만 해도 엄청 귀여워서 많이도 찍어 주었다. 2023. 5. 29. 갈매기난 2023. 5.24. 제주. 꽉 짜여진 일정을 틈타서 첫 뱅기와 막뱅기를 타고 하루 일정으로 짬을 내어 제주로 다녀왔다 이 녀석을 보러 간 게 아니고 열흘 전 봉오리를 달고 있던 섬노린재가 꽃이 필 때가 되었을 것 같아서 . 이 녀석은 덤이다. 두 시간 지연된 뱅기를 타고 저녁 10시가 넘은 시각에 뭍으로 들어오긴 했는데 아직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대구에서 숙소를 잡아야했다. 다른 일정을 또 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노트북을 가져오지 않아서 카메라 사진은 정리를 할 수가 없다 우선 폰으로 담은 퍽샷 두 장 올린다 나중에 사진은 교체해야겠다 ************************************** 숙소에서 골아 떨어 졌다. 계속되는 강행군에 피로가 누적되어 있었던 거다. 우유와 토스트로 아침을 .. 2023. 5. 25. 나도제비란(난초과 나도제비란속) Galearis cyclochila (Franch. & Sav.) Soó 2023. 5. 18. 강원도. 꽃동무 한테 이 녀석 보러 갈 때 같이 동행할 수 있냐고 부탁을 했다.난초를 보려고 부탁하긴 처음 같다. 갑자기 쏟아진 비로 계류의 흐름이 거세어졌다. 비가 뜸해진 틈을 타서 한 무리의 녀석들 앞에 서니 탄성이 절로 나온다. 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358 구름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87 https://qweenbee.tistory.com/8898020 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77 https://q.. 2023. 5. 22. 차걸이란(난초과 차걸이란속) Oberonia japonica (Maxim.) Makino 2023. 5. 15. 제주. 4월에 봉오리 상태였더랬는데, 5월 중순에 벌써 개화 후기다. 그래도 처음으로 개화한 모습을 볼 수 있어서 반가웠다. 차걸이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10342 https://qweenbee.tistory.com/8910413 2023. 5. 22. 금새우난초(난초과 새우난초속) Calanthe sieboldii Decne. ex Regel 2023. 5. 15. 제주. 난초류는 만나면 좋지만 일부러 찾아다니는 경우는 흔하지 않았는데이 녀석 보다 다른 녀석 때문에 이 숲길을 걸었다.그래도 무더기를 만나니 반갑고 신이 나긴 했다. 새우난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892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4 https://qweenbee.tistory.com/8893445 https://qweenbee.tistory.com/8903765 https://qweenbee.tistory.com/8900814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1 http.. 2023. 5. 22.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5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