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956 모래지치(지치과 모래지치속) Heliotropium sibiricum (L.) J.I.M.Melo 2025. 5. 10. 제주해안. 해안 현무암 암반 틈 사이에 터를 잡고 용케도 꽃을 피우고 산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https://qweenbee.tistory.com/8912068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79 https://qweenbee.tistory.com/8892744https://qweenbee.tistory.c.. 2025. 5. 22. 참꽃받이(지치과 꽃받이속) Bothriospermum secundum Maxim. 2025. 5. 10. 제주. 이 녀석 억센 털이 업마나 많은지...꽃받이에 비해 꽃이 한쪽으로 치우치며, 나선 모양으로 말리는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바지와 비슷하나 보다 굵고 억세며 퍼진 백색 강모와 더불어 잔털이 밀생하는 것이 다르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 https://qweenbee.tistory.com/8912068 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 2025. 5. 22. 백양더부살이(열당과 초종용속) Boschniakia rossica (Cham. & Schltdl.) B.Fedtsch. 2025. 5. 10. 제주. 비행장 초지에 백양더부살이가 여기 저기 무더기를 이루고 나타난다. 15년 전에 이 녀석을 여기서 본 적 있는데 아직까지 사라지지 않고 잘 살고 있다. 사람은 많고 마음이 편하지 않으니 사진도 잘 안 된다. 오리나무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09 백양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8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24https://qweenbee.tistory.com/8893713 https://qweenbee.tistory.com/8904090 https://qweenbee.tistory.com/8912016 가지더부살이 : https:.. 2025. 5. 22. 애기장구채(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 Silene aprica Turcz. 2025. 5. 21. 경북. 아 맞다!. 애기장구채가 꽃을 피울텐데........큰괭이밥 종자 때문에 산에 들렀다가 주차를 하면서 갑자기 이 녀석이 생각났다. 역시 녀석이 꽃을 피우고 있었다.예년 같으면 좀 늦었지만 올해 몇번이나 곤두박질을 하던 한 봄 날씨 덕분에 이제사 개화 적기가 된 것이다. 이 녀석은 고집이 보통이 아니다.발 아래 거름기 좋은 흙바닥이 있어도 굳이 마다하고 바위 틈을 고집한다.분명 씨알이 바닥에도 떨어졌을 테지만 이 녀석이 흙바닥에서 자라서 꽃을 피우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척박한 환경인 바위 틈에 자리 잡고서 가뭄에 비실거리면서도 바위를 껴안고 살아간다.올해는 4월에 비가 자주 와 주어서 가지도 많이 벌고 꽃을 많이 피웠다. 그래~~! 니가 좋아하면 됐지 뭐, 매년 잘 살아 .. 2025. 5. 22. 가는끈끈이장구채(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 Silene antirrhina L. 2025. 5. 12.-13. 동네. 이 녀석은 하천 주변에 퍼지고 있는 외래식물이다. 헌데 우리 동네에는 도로변에 퍼지고 있다. 작년에 도로변을 뒤지다가 발견하고어라? 이 녀석이 웬일로 우리 동네에? 하고 반가웠더랬다. 대구까지 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ㅎ 한참이나 늦은 시기에 생각이 나서 찾았더니 이미 거의 결실을 하고 있다.개화하는 꽃을 찾지 못하고 겨우 온전하게 핀 한 송이를 데불고 갖은 아양을 다떨었다. 녀석은 달맞이꽃 흉내를 내려는지 6시가 넘은 시각에 꽃을 피워서 아침에 꽃잎을 접는다.그래서 저녁 때가 다 되어서야 촬영이 가능하다.7시 가까운 시각에 촬영을 했는데, 다음 날 아침에 5시 40분에 다시 찾았다.혹시다 더 폈을까 했더니 어제 저녁 때와 별반 다른 점이 안 보인다. 끈끈이장구채.. 2025. 5. 22. 초종용(열당과 초종용속)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2025. 5. 10. 제주. 흰색 초종용도 역시 본지가 20년 가까이 된 것 같다. 오리나무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09 백양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8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24https://qweenbee.tistory.com/8893713 https://qweenbee.tistory.com/8904090 https://qweenbee.tistory.com/8912016 가지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13 https://qweenbee.tistory.com/8892313https://qweenbee... 2025. 5. 21. 초종용(열당과 초종용속)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2025. 5. 10. 제주도. 서편은 자주 가지 않아서 이 녀석도 오랜만에 만난다. 오리나무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09 백양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8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24https://qweenbee.tistory.com/8893713 https://qweenbee.tistory.com/8904090 https://qweenbee.tistory.com/8912016 가지더부살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2313 https://qweenbee.tistory.com/8892313https://qweenbee... 2025. 5. 21. 소청도 식물 1차 조사를 마치며 2025. 5. 13- 5.17. 올해로 3년 째 섬지역 식물상을 조사 중이다. 나와 한 사람. 모두 두 사람이 외부연구원으로 위촉되어서 1년간 진행해야 하는 일이다.1차 조사는 출발부터 배가 결항되는 바람에 인천항 주변에서 숙소를 잡아야 했다. 다행하게도 이튿날 아침 배는 순조롭게 출항을 하였다. 1-2년 차의 조사 대상 섬은 연육교가 있어서 참 편리했었는데 올해 맡은 소청도는 차량 진입이 안 되는 최악의 조건이라 섬을 배정 받을 때부터 걱정이 었었다. 역시 조사 활동에 필요한 비품을 손수레에 실어 배를 오르 내리면서 높이 쌓은 짐 보따리에 균형을 잡지 못하여 뒤뚱거리고 수레와 캐리어도 함께 끌어야 하는 낭패스러움을 겪었다.짐을 줄이느라고 먹거리를 준비하지 않다 보니 자동 다이어트가 되었다. 작은 섬에.. 2025. 5. 21. 국화잎다닥냉이(배추과 다닥냉이속) Lepidium bonariense L. 2025. 5. 10. 제주. 제주도에서 오랜만에 다시 만나니 반갑다.제주도 식물을 보고 다니기 시작하던 2010년도에 우연하게 만나고부산의 항만 부두 주변에서 두번 째로 만난 이후 보지 못하던 녀석이다. 꽃의 구조와 열매가 다닥냉이속으로 잎이 가늘고깊게 갈라져서 국화잎이란 접두어를 달게 된 녀석이다. 꽃잎 4장 수술 2개 잎이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져 있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 2025. 5. 21. (흰)갯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Silene aprica Turcz. var. oldhamiana (Miq.) C.Y.Wu 2025. 5. 7. 제주. 이 곳 해안 올래길에는 유난히 흰색 갯장구채가 많다. 2025. 5. 20. 좀목포사초(사초속) Carex brevispicula G.H.Nam & G.Y.Chung 2025. 5. 7. 명봉사숲. 좀목포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28(개화) https://qweenbee.tistory.com/8908727(결실기) https://qweenbee.tistory.com/8907213 https://qweenbee.tistory.com/89110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71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9 2025. 5. 20. 대사초(사초과) Carex siderosticta Hance 2025. 5. 7. 명봉사. 대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28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5https://qweenbee.tistory.com/8895656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9https://qweenbee.tistory.com/88992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031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7 털대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88 https://qweenbee... 2025. 5. 20. 한라사초(사초속)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2025. 5. 7. 명봉사.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2541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3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3 한라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39https://qweenbee.tistory.com/8899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8h.. 2025. 5. 20. 나래사초(사초속 낚시사초절) Carex filipes Franch. & Sav. var. oligostachys (Meinsh. ex Maxim.) Kük. 2025. 5. 7. 명봉사 숲. 측소수 자루가 가늘어서 낚싯대처럼 길게 늘어진다. 장성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179 https://qweenbee.tistory.com/8910275 나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39 https://qweenbee.tistory.com/89072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713 https://qweenbee.tistory.com/89078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2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5 2025. 5. 20. 가지청사초(사초속 청사초절) 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2025. 5. 7. 명봉사 숲. 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32 가지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0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4 바늘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3 실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1 https://qweenbee.tistory.com/8908859 https://qweenbee.tistory.com/8908915 부리실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 2025. 5. 20.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7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