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957

원지(원지과 원지속) Polygala tenuifolia Willd. 2025. 5. 29. 강건너. 우리 나라 유일한 원지 자생지이다.이 녀석이 가까운 이 곳에 사는 줄 안지는 15년 정도 되었지 싶다. 원지는 볕이 잘 드는 산비탈이나 묘지가 있는 주변에 많이 퍼져 있다.이 산이 연결되는 1km 거리 정도의 가까운 산지에서도 녀석이 살고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녀석의 분포가 이 주변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 것 같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 2025. 6. 2.
두메애기풀(원지과 원지속) Polygala sibirica L. 2025. 5. 6. 강원도. 영월과 단양의 석회암 지역에서 흔하게 만나는 원지속 녀석이다.몽골에서도 만난 적이 있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9https://qweenbee.tis.. 2025. 6. 2.
김의털아재비(벼과 김의털속) Festuca parvigluma Steud. 2025. 6. 1. 천년 숲. 사지포 식물상 조사 중에 만난 이 녀석 정체가 떠오르지 않아서 들묵새쪽만 생각해 봤더니 김의털 식구였다. 오랜만에 천년 숲 황토길 맨발 걷기를 하는데 이 녀석이 가느다란총을 벌리고서 자기를 더 자새하게 보라고 흔들거린다.결국 몇 가지 델꼬 와서 촬영했는데 김의털아재비로 확인이 된다. 포영이 매우 작고 까락이 길다. 화서는 개방형으로 마디에서 소수 가지가 1~2개씩 달리고 실처럼 가늘다. 호영의 까락은 5~12mm 1포영은 1~1.9mm, 2포영의 길이 2~3mmㄹ 매우 작다. 김의털 :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642 https://qweenb.. 2025. 6. 2.
흰꽃광대나물(꿀풀과 흰꽃광대나물속) Lagopsis supina (Stephan) Ikonn.-Gal. ex Knorring 2025. 5. 6. 경북. 큰 왕버들 아래 반그늘 덕분에 습기가 유지된 덕분일까?엄청 많이 퍼지고 풍성하게 잘 자라고 있다. 광대수염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05 https://qweenbee.tistory.com/8893910 https://qweenbee.tistory.com/8896992 https://qweenbee.tistory.com/8899312https://qweenbee.tistory.com/8900797광대수염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5299 https://qweenbee.tistory.com/8895330 https://qweenbee.tistory.com/8897264 h.. 2025. 6. 2.
털빕새귀리(벼과 참새귀리속) 2025. 5. 6. 영천. 민둥빕새귀리에 비하여 포영과 호영에 긴 털이 밀생한다. 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8 메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7 https://qweenbee.tistory.com/8907203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3 ******************************************* 털빕새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176 htt.. 2025. 6. 1.
참새귀리(벼과 참새귀리속) Bromus japonicus Thunb. 2025. 5. 29. 강건너. 엽초와 엽신 양면에 잔털이 많고 엽성은 1~2.5mm 로 길다.가지가 2~8개씩 나오고, 가지마다 1~4개의 소수가 달림, 소수에 7~10개의 소화, 영과가 여물 때가 되면 까락이 꼬이고 꺾인다. 엽설 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8 메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7 https://qweenbee.tistory.com/8907203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3 ***********.. 2025. 6. 1.
각시제비꽃(제비꽃속) Viola boissieuana Makino 2025. 5. 11. 제주. 한라산 높은 고지라서 뒤늦게까지 꽃을 피우고 있어서 녀석을 만날 수 있었는데이른 시각에 찾는 바람에 꽃잎을 열지 않아서 아쉬웠다. 주변에 어린 개체들이 많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꽃이 핀 것에 집중하느라고 많이도 밟았다. 귀하신 몸인데 이렇게 밟히는 걸 보니 맘이 좀 쓰렸다. 각시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24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403 https://qweenbee.tistory.com/8910401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9각시제비꽃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06 .. 2025. 6. 1.
꼬마냉이(배추과 황새냉이속)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2025. 5. 11. 제주. 10년 전에 두어 번 보고 오랜만의 만남이라 무지 반가웠던 녀석이다.이 번 제주행의 가장 큰 목적이 바로 이 녀석이었다.그 동안 두어 번 찾아 가 봤지만 개체 수가 적어서 찾지 못하고 시기가 맞지 않아서 못 봤던 녀석이다. 워낙 사람들이 많아서 차분하게 담지 못한 게 아쉽다. 어두운 숲에서 급하게 찍다보니 대부분 촛점도 나가고 그림도 안 된다. 많은 사람이 몰리다보니 촬영이 여의치 않다. 사람들 만나기 위해서 참여는 했지만 나흘동안 제대로 찬찬히 볼 시간이 없다. 내가 혼자 다니는 이유가 이 때문이기도 하다 황새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827 https://qweenbee.tistory.com/8908081 .. 2025. 6. 1.
마삭줄(협죽도과 마삭줄속)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2025. 5. 27. 남도. 마삭줄은 화관입구에 암술대가 보이고 털이 없다는데 이 녀석은 털마삭줄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약간의 털이 보인다. 털마삭줄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86 https://qweenbee.tistory.com/8890035 https://qweenbee.tistory.com/8897697 https://qweenbee.tistory.com/8900899https://qweenbee.tistory.com/8905465 https://qweenbee.tistory.com/8905589https://qweenbee.tistory.com/8912030 마삭줄 : https://qweenbee.tisto.. 2025. 5. 31.
외대으아리(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Clematis brachyura Maxim. 2025. 5.. 21. 볕이 잘드는 무덤 주변에서 한창 꽃을 피우고 있다.으아리 녀석들 중에서 가장 일찍 꽃을 피운다.이 녀석 열매는 넓은 날개와 꼬리 모양의 짧고 털이 없는 암술대를 갖는 모양이 특징이 있어서 다른 녀석들과 뚜렷하게 구분이 된다. 으아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14 https://qweenbee.tistory.com/8894265 https://qweenbee.tistory.com/8896141 https://qweenbee.tistory.com/8898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9653 으아리 열매 : https://qweenbee.ti.. 2025. 5. 31.
쥐꼬리풀(백합과 쥐꼬리풀속) Aletris spicata (Thunb.) Franch. 2025. 5. 27. 남도. 하마 키가 너무 커 버려서 전초를 담기에는 쉽지가 않다.잎과 꽃이 백합과로 생각하기에는 꽤 난해한 녀석이다. 쥐꼬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54 https://qweenbee.tistory.com/8893733 https://qweenbee.tistory.com/8905423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8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5쥐꼬리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5425 https://qweenbee.tistory.com/8905083 여우꼬리풀 : htt.. 2025. 5. 31.
천문동(백합과 비짜루속)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2025.5. 26. 남도. 바닷가 근처 및 산기슭에서 자라는 녀석으로 덩굴성으로 주변 물체에 의지하거나 감기도 한다. 란다. 해안 지역에서 만나는 녀석이다.잎은 미세한 막질 또는 짧은 가시로서 줄기에 흩어져 난다. 잎처럼 보이는 게 잔가지로 1-3개씩 모여나기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여 가시 같고 활처럼 굽으며 윤채가 있고 줄기에 어긋나기한다. 가시화된 잎이다. 잎처럼 보이는 실체는 가지이다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 2025. 5. 31.
방울비짜루(백합과 비짜루속) Asparagus oligoclonos Maxim. 2025. 5. 23. 강원도.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e.tistory.com/89011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4 천문동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93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5https://qweenbee.t.. 2025. 5. 31.
비짜루(백합과 비짜루속)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2025. 5. 23. 강원도. 오랜만에 비짜루 녀석 꽃 핀 걸 만났다.꽃자루가 거의 안 보일 정도로 잎겨드랑이에 바투 붙어 있다. 비짜루속 중에서 꽃자루가 가장 짧은 녀석으로 어두운 숲을 좋아한다.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e.tistory.com/89011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4 천문동 열매 .. 2025. 5. 31.
나도겨이삭(벼과 나도겨이삭속) Milium effusum L. 2025. 5. 21. 청량산. 겨이삭 : https://qweenbee.tistory.com/8907226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5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9 https://qweenbee.tistory.com/8907503 산겨이삭 : https://qweenbee.tistory.com/890721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7 https://qweenbee.tistory.com/8907328 https://qweenbee.tistory.com/8908036 https://qweenbee.tisto.. 2025.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