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955

갈기조팝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Spiraea trichocarpa Nakai 2025. 5. 23. 강원도. 길게 휘어진 가지에 위를 향해 달린 꽃차례가 마치 말갈기처럼 보인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com/8907389 https://qweenbee.tistory.com/8909188 https://qweenbee.tistory.co.. 2025. 5. 29.
당조팝나무(장미과 조팝나무속) Spiraea chinensis Maxim. 2025. 5. 21. 강원도. 아구장나무에 비하여 어린 가지와 꽃자루, 잎 양면에 털이 많다.원산ㄴ지는 중국 중북부, 중남부, 남동부, 내몽골, 대한민국까지다. 꽃자루의 털이 많이 보인다. 갈기조팝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9 https://qweenbee.tistory.com/8891893https://qweenbee.tistory.com/8889987 https://qweenbee.tistory.com/8889290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5 https://qweenbee.tistory.com/8902595https://qweenbee.tistory.com/8907389 https://qweenbee.. 2025. 5. 28.
나도국수나무(장미과 나도국수나무속) Neillia uekii Nakai 2025. 5. 21. 충북. 단양 영월지역에서 흔하게 만나는 녀석이다. 2025. 5. 18. 원주. 나도국수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77 https://qweenbee.tistory.com/8888314https://qweenbee.tistory.com/8888313 https://qweenbee.tistory.com/8897668https://qweenbee.tistory.com/8904132 https://qweenbee.tistory.com/89089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187 https://qweenbee.tistory.com/8912046나도국수나무 열매 : https://q.. 2025. 5. 28.
두메애기풀(원지과 원지속) Polygala sibirica L. 2025. 5. 23. 강원도. 오랜만에 녀석을 들여다 본다.러시아, 몽골, 중국 및 유럽에 분포하며, 우리 나라 강원도 석회암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녀석이다.애기풀보다 잎이 더 길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 2025. 5. 28.
검정납작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fauriei H. Lév. & Vaniot 2025. 5. 19. 강원도. 이미 개화가 시작된지 한참 된 듯,늦은 오후 시간 암술이 살아 있는 것을 겨우 찾았다.몇 년 전 이 녀석 찾는다고 해그름에 보이는 골풀마다 줄기를 만지면서 다니다가 납작한 걸 확인하고 환호를 지르던 기억이 난다. 그 때의 세력이 많이 줄어서 안타깝다. 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56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2 https://qweenbee.tistory.com/8904343 검정납작골풀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7 https://qweenbee.tist.. 2025. 5. 28.
애기골풀(골풀과 골풀속) Juncus bufonius L. 2025. 5. 19. 강원도. 드룰게 보는 녀석이라 먼길 간 김에 늦은 시각에도 찾아았다.강기슭, 호수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높이 9~24cm, 땅속줄기는 없다. 골풀속식물 중에서 유일하게 한해살이풀이며, 크기가 작고, 꽃줄기 길이가 전체 크기의 2/3 이상이며, 외화피가 내화피보다 길고 모양이 서로 다르다. 석호 주변에 자잘하게 자라고 있는데 찾기가 만만치 않다. 주변에 출입하는 차량의 답압으로 사라질까 봐 늘 조마조마하다. 골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76 https://qweenbee.tistory.com/8904056 https://qweenbee.tistory.com/8888322 https://qweenbee.t.. 2025. 5. 28.
흰색의 각시갈퀴나물(콩과 나비나물속) Vicia dasycarpa Ten. 2025. 5. 10. 제주. 갈퀴나물 : 5~8쌍의 소엽, 탁엽은 3각상 부채형으로 윗머리에 1-2개의 톱니가 있다. 덩굴손 2~3개등갈퀴나물 : 8~12쌍의 피침형, 선형의 소엽, 탁엽은 2개로 갈라지고 피침형이다. 측맥과 주맥 각도 30˚, 덩굴손은 여러 개로 갈라짐큰등갈퀴 : 2~5쌍의 난형 소엽(뒷면 맥이 도드라짐), 부채모양 탁엽, 끝 뾰족 톱니 있음, 하부 잎은 덩굴손 없음가는등갈퀴 : 5~13쌍의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 소엽,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함. 덩굴손 있음각시갈퀴나물 : 10쌍 내외의 소엽, 탁엽은 선형이며 길이 6-8㎜로 기부에 1개의 거치가 있기도 함. 덩굴손 3-5개넓은잎갈퀴 : 5~8쌍의 소엽(연한 녹색 연모), 측맥은 적고 주맥과 예각(45-60˚)을 이룬다. 탁엽은 .. 2025. 5. 28.
각시갈퀴나물(콩과 나비나물속) Vicia dasycarpa Ten. 2025. 5. 12 동네. 신도시 도로변에도 이 녀석이 자리 잡고 도로를 꽃밭으로 만들고 있다. 덩굴손탁엽 등갈퀴나물 : https://qweenbee.tistory.com/8898148 큰등갈퀴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85 https://qweenbee.tistory.com/8894586https://qweenbee.tistory.com/8896360 https://qweenbee.tistory.com/8896482https://qweenbee.tistory.com/889648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48https://qweenbee.tistory.com/8899945 https://qweenbee.tist.. 2025. 5. 28.
별 모양 덩굴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ex Pax & Hoffm. 2025. 4. 25. 경북. 계곡부에서 별 모양의 꽃을 피우는 덩굴개별꽃으로석죽과 개별꽃속 박사학위 논문에 덩굴개별꽃 변종으로 보고 별개별꽃으로 신칭하여 실려 있던 녀석이다. 헌데 이 녀석은 덩굴개별꽃의 변이 폭 범주로 보는 견해가 있어서 더 이상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 곳은 이 (별)개별꽃을 세번 째로 찾은 장소로 계곡부의 덩굴개별꽃 사이에서 더러 이런 모습이 발견된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 2025. 5. 27.
겹꽃 태백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longipedicellata S.Lee, K.I.Heo & S.C.Kim 2025. 5. 5. 경북. 형질이 고착되어 있는 태백개별꽃 겹꽃이다. 겹꽃 벚나무, 만첩풀또기, 만첩빈도리 등, 꽃잎이 겹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이는 수술이 꽃잎으로 변한 경우로 열매를 달지 못한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 2025. 5. 27.
퉁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Polygonatum inflatum Kom. 2025. 5. 21. 경북. 실처럼 길다란 꽃차례자루가 특징이다.작고 좁은 피침형의 포를 가지고 있다. 왕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7https://qweenbee.tistory.com/8899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8052https://qweenbee.tistory.com/890805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3왕둥굴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86 종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04 https://q.. 2025. 5. 27.
용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2025. 5. 21. 경북 이웃 산. 큰 난형의 넓은 포가 특징인 둥굴레속 녀석이다. 왕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7https://qweenbee.tistory.com/8899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8052https://qweenbee.tistory.com/890805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3왕둥굴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86 종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04 https://qweenbee.tis.. 2025. 5. 27.
복사앵도나무(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choreiana Nakai ex H.T.Im 2025. 4. 23. 강원도. 올해도 역시 꽃을 보긴 틀렸다.급경사 비탈에서 달달거리면서 몇 컷 촬영했지만 꽃은 이미 거의 다 져버렸다.길 섶에 눈 높이에서 만나던 녀석을 잘라버려서 참 아쉽다, 복사앵도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8 https://qweenbee.tistory.com/889346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6948 https://qweenbee.tistory.com/8912038복사앵도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11 http.. 2025. 5. 27.
시베리아살구(장미과 벚나무속) Prunus sibirica L. 2025. 5. 24. 강원도. 쇡회암 지대에 자생하는 녀석이다.개화할 때는 가보지 못하고 지나는 길에 들렀더니 편구형 열매가 드문드문 달려 있다.열매 결실율이 좋지 못하다. 열매는 살구보다 작고 양쪽이 납작한 편구형이다. 살구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71 https://qweenbee.tistory.com/8895386https://qweenbee.tistory.com/8895565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1https://qweenbee.tistory.com/889904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20https://qweenbee.tistory.com/8905.. 2025. 5. 26.
긴까락빕새귀리(벼과 참새귀리속) Bromus rigidus Roth 2025. 5. 5. 삼척. 소수의 까락 길이가 유난히 길어서 금방 알라챌 수 있는 녀석이다. 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11608 메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6 https://qweenbee.tistory.com/8907057 https://qweenbee.tistory.com/8907203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6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3 ******************************************* 털빕새귀리 : https://qweenbee.tistory.com/8907176.. 2025.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