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9. 22. 신안.
계속 관찰하는 녀석 때문에 다시 남도로 내려갔다. 이번에는 출장이다.
연구원을 기다리면서 혼자서 해안 습원을 뒤졌다.
지난 번 제주도에서 만났던 녀석과 비슷한 아주 가늘고 여린 화총을 가진 녀석을 붙잡고 씨름을 했다.
정체를 밝히려고 뜯어온 표본을 살피다가 이 녀석이 바로 잔디바랭이라는 걸 알아채었다.
드뎌 잔디바랭이를 영접하였다. 기분 대낄이다.
제주 녀석도 갯바랭이가 아니라 잔디바랭이일 가능성이 많다.
잔디바랭이 : Dimeria ornithopoda Trin. 습지와 산록의 습기가 많은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늘고 가지를 친다. 높이는 15~35cm이며 2~15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에는 털이 있고, 잎혀는 흰색 막질로 길이 0.5~1.0mm이다. 잎몸은 길이 3~7cm, 너비 2~5mm이며 양면에 긴 털이 드문드문 난다. 꽃은 8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2~3개의 가지가 끝에 달리며, 길이는 3~8cm이다. 작은이삭은 가지에 두 줄로 달리고, 자루는 매우 짧으며 자루와 작은이삭의 사이에 짧은 털이 돌려난다. 작은이삭은 길이 2.7~3.8mm이며, 꽃이 두 개 들어 있고 하나는 불염성이다. 두 포영은 길이가 비슷하며, 작은이삭의 길이와 같다. 임성인 두 번째 꽃의 호영은 끝이 갈라지고 끝에 길이 4~5mm의 꼬인 까락이 달린다. 내영은 없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나며, 인도,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차이나 등에 분포한다. 전체 꽃차례의 가지가 줄기 끝에 손바닥 모양으로 달리는 것이 바랭이속 식물과 유사하지만, 호영에 길고 꼬인 까락이 있어서 쉽게 구분된다. 제2포영의 가운데 맥 전체가 용골로 되고 좁은 날개가 있는 것을 갯바랭이로 구분하기도 한다. 가지바랭이, 잔디바랑이라고도 부른다 |
바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5 https://qweenbee.tistory.com/8907550
https://qweenbee.tistory.com/8907811 https://qweenbee.tistory.com/8908521
https://qweenbee.tistory.com/8909498
민바랭이 :
좀바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7549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7
https://qweenbee.tistory.com/8911403
왕바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6553 https://qweenbee.tistory.com/8907808
https://qweenbee.tistory.com/8909493 https://qweenbee.tistory.com/8909634
잔디바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9496 https://qweenbee.tistory.com/8909497
https://qweenbee.tistory.com/8909546 https://qweenbee.tistory.com/8912414
https://qweenbee.tistory.com/8912445
나도바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000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80
https://qweenbee.tistory.com/8907821
'들꽃자료실 > 벼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쌀새(벼과 쌀새속) Melica onoei Franch. & Sav. (0) | 2025.10.05 |
---|---|
누운기장대풀(벼과 기장대풀속) Isachne nipponensis Ohwi (0) | 2025.09.29 |
이대(벼과 이대속) Pseudosasa japonica (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ex Nakai (0) | 2025.09.21 |
누운기장대풀(벼과 기장대풀속) Isachne nipponensis Ohwi (0) | 2025.09.21 |
잔디바랭이 (벼과 잔디바랭이속) Dimeria ornithopoda Trin. (0) | 202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