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야생초

개털이슬(바늘꽃과 털이슬속)

by 여왕벌. 2015. 7. 23.

 2015. 7. 중순. 경북.

 

털이슬속 녀석들은 이름도 참 웃긴다

쇠털, 말털, 개털, 쥐털, 붉은털.....동물이름을 왜 붙였을까?

 

이 작은 녀석도 얼마 전까지 쥐털로 정리해 두었더랬는데 화서와 줄기에 털이 없는 쥐털이 아니라

화서와 줄기에 털이 있는 개털로 확인이 되었다.

 

쥐털이슬  개털이슬

줄기에 털이 없다.

개화 후 화서가 길어진다.

소화경 기부에 소포가 있다.

꽃은 근접하고 밀집해서 개화시에는 산방상이며

개화시 소화경은 직립하거나 위로 향한다

줄기에 짧고 갈고리 형태의 굽은 털이 있다.

화서는 개화 전에 길어진다.

소화경 기부에 소포가 없다.

꽃은 약간 엉성하게 벌어지며

맨 아래의 소화경은 원추화서의 축과 직각으로 늘어진다.

 

1. 전초가 30-60Cm. 털이 없거나 있다. 화판은 꽃받침보다 작다. 자방과 삭과는 2실이며 세로로 줄이 있으며 2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도란상곤봉형으로 구형이다.
   2. 줄기와 때로는 화서에 길게 뻗은 털, 선모가 있다. 소화경은 삭과의 길이보다 짧다. 삭과는 납작한 구형, 얕은 세로줄이 있다.

      화탁통 기부에 밀선이 포함된다......................................................................................................... 1 C. cordata(쇠털이슬)
   2. 줄기에 털이 없거나 경선모가 있다. 화서는 털이 없거나 자루가 있는 선이있다. 소화경은 삭과와 비슷하거나 길다. 삭과는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아구형 또는 구형으로 세로로 줄이 있다. 밀선은 화탁통의 입구 뒷쪽으로 돌출된다.
     3. 화서의 축에 털이 없다. 화판은 obtulate, 1/5이하로 패여있다. 삭과의 세로줄은 얕다........................ 4 C. erubescens(붉은털이슬)
     3. 화축에 털이 없거나 있다. 화판은 도란형에서 납작한 넓은 도란형으로 1/4이상 갈라져있다. 삭과의 세로줄은 깊다.
         4. 줄기는 굽은 경선모가 있다. 잎은 약간의 세연모가 있다. 화서의 축은 털이 없거나 자루가 있는 선이 있거나 굽은 갈고리 모양의

              털이 있다.................................................................................................................................. 2 C. mollis(털이슬)
         4. 줄기는 털이 없거나 경선모가 약간 있다. 잎은 가장자리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화축은 자루가 있는 선이 빽빽하다

             .......................................................................................................... 3 C. lutetiana subsp. quadrisulcata(말털이슬)
1. 전초가 5-15cm. 털이 없다. 화판은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자방과 삭과는 1실이며 세로줄에 없고 1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곤봉상이다.................................................................................................................................... 5 C. alpina(쥐털이슬, 개털이슬)

1. 줄기에 털이 없다. 개화후 화서가 길어진다. 소화경 기부에 소포가 있다. 꽃은 근접하고 밀집해서 개화시에는 산방상이며

          개화시 소화경은 직립하거나 위로 향한다...................................................................................... subsp. alpina(쥐털이슬)
1. 줄기에 짧고 갈고리 형태의 굽은 털이 있다. 화서는 개화 전에 길어진다. 소포가 없다. 꽃은 약간 엉성하게 벌어지며

          맨 아래의 소화경은 원추화서의 축과 직각으로 늘어진다........................................................... subsp. caulescens(개털이슬)


1. Circaea cordata(쇠털이슬) 7,8월 함북,함남,평북,강원,경기,충북,충남,경북,경남
2. Circaea mollis(털이슬) 8월 전국
3. Circaea lutetiana subsp. quadrisulcata(말털이슬) 7,8월 강원,경북,경남,전남
4. Circaea erubescens(붉은털이슬) 7,8,9월 전남(지리산), 제주
 5a. Circaea alpina subsp. alpina(쥐털이슬) 7,8월 함북,함남,평북,평남,황해북,황해남,강원,경북,전남,경남,제주
 5b. Circaea alpina subsp. caulescens(개털이슬) 7,8월 

 

 

 

 

 

화서와 줄기에 털이 보이고 소화경에 포가 없다

 

 

 

 

 

 

 

 

 

 

 

 

 

말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94433           http://blog.daum.net/qweenbee/8892598 

http://blog.daum.net/qweenbee/8894467             http://blog.daum.net/qweenbee/8898043

       

개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60         http://blog.daum.net/qweenbee/8894821

http://blog.daum.net/qweenbee/8886267          http://blog.daum.net/qweenbee/8888454

http://blog.daum.net/qweenbee/8892297            http://blog.daum.net/qweenbee/8892405

http://blog.daum.net/qweenbee/8896302           http://blog.daum.net/qweenbee/8898002

 

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32             http://blog.daum.net/qweenbee/8890763            

 http://blog.daum.net/qweenbee/8892525           http://blog.daum.net/qweenbee/8894242

http://blog.daum.net/qweenbee/8894471            http://blog.daum.net/qweenbee/8890501

 

쇠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93         http://blog.daum.net/qweenbee/8892041             

http://blog.daum.net/qweenbee/8892321            http://blog.daum.net/qweenbee/8892044

http://blog.daum.net/qweenbee/8896411

 

쇠털이슬/개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86511

 

붉은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12       http://blog.daum.net/qweenbee/8888693

http://blog.daum.net/qweenbee/8890497

 

푸른말털이슬 : http://blog.daum.net/qweenbee/8890500         http://blog.daum.net/qweenbee/8892412

 

털이슬/쇠털이슬/개털이슬 /말털이슬/붉은털이슬/푸른말털이슬 비교 : http://blog.daum.net/qweenbee/8888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