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1. 제주.
외래식물로 제일 처음 이 곳에서 발견이 되었다는 모래냉이다.
사방으로 벋은 줄기 끝에 장각과 열매를 가득 달고 화강암이 깔린 모래밭에 여전히 도란 꽃을 피우고 산다.
갯대추 나무 꽃이 궁금하여 물통이에 들렀더니
아직은 싹을 올리기에 바쁜 중이라...
옆의 꾸지뽕나무에 다시 머물다가
검은별고시리에 한참 시선을 빼앗긴다
갈퀴나물 한 녀석을 담긴 했는데 아직 이 동네 식구들을 제대로 공부하지 못하여서 이름을 찾아 주지 못하고 있다
덩굴손이 3갈래로 갈라지고 탁엽이 선형인 특징으로 봐서 아무래도 등갈퀴일까 했더니 귀화종인 각시갈퀴나물이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저 멀리 갯가에서 촬영에 여념이 없다. 도로변에 세워툰 렌트 차량으로 봐서 육지의 방문객들인 것 같다
더 이상 해안에 지체하지 못하고 급히 자리를 뜬다. 노랑별수선 개화 시간을 놓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참을 이동하니 12시가 넘어 버렸다.
에구~!!! 꽃잎을 닫지나 않을까 조바심이 나는데 간신히 목적지 도착이다
풀 바닥을 조심스레 살피는데 씀바귀 노란 꽃들이 노랑별수선인 양 자꾸 놀린다
드뎌 찾았다!!! 한번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니 여기 저기 온통 노랑별이 떴다.
다행스럽게도 간간이 흩뿌리는 빗방울에다가 흐린 날씨라서 이 녀석 개화 시간이 길어진 모양이라
꿀꿀하게 울먹이는 날씨를 고마워해야 했다.
노랑별수선과 질리도록 놀고 나서 큰피막이랑도 한참 놀아줬다.
큰피막이는 꽃차례가 짧은 선피막이와 달리
꽃차례가 잎자루보다 길어서 잎 위로 나타난다. 엽저는 양쪽으로 겹칠 때가 많다.
오잉?? 잔디갈고리 같은디??
동그란 3출엽에 길게 빠진 피침형 탁엽이 분명 서귀포 지역에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는 잔디갈고리다.
이 귀한 녀석은 볕이 잘드는 묘지 풀밭이라 녀석이 충분히 자랄 환경이 된다.
오예~! 이제는 서성로 어드메 쯤 위험하게 차를 세우지 않고도 꽃과 열매를 볼 수 있겠다.
헌데...이곳 묘지에도 풀베기 작업을 해 버리면 아무 소용이 없는디...
하~! 동그란 잎새가 너무 귀엽다.
호오~~!! 금방 돋아나는 신초 잎은 단엽이란 걸 몰랐었는데??
단엽에서 출발하여 줄기가 자라면서 3출엽이 생기는 모양이다. 새로운 사실 하나 더 발견이다
잘 찾아보면 방울새란도 있다길래 구석을 뒤지니 한 무더기 소복하게 합창을 하고 있다.
미나리아재비과 한 녀석도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또 들여다 본다. 애기미나리아재비일까?
망초 꽃이 깨끗하게 피어 있어서 혹시나 봄망초는 아닐까 하고 들여다 본다.
서양금혼초는 이제 제주의 한 풍경이 되어 버렸다.
녹색의 초지를 배경으로 인동덩굴꽃이 깨끗하게 피었다.
어릴 적 이꽃을 따서 꿀울 빨아먹기도 했었는데...
흠~! 이 녀석은 선품솜나물이 아니라 자주풀솜나물로 봐야겠제?
이웃하고 있는 초지에는 뭐가 없을까 하고 둘러봐도 고사리만 흐드러지고 별 게 없다.
제주에서 볼 수 있는 무덤이다
개사상자 열매가 붉게 익고 있다.
소산경이 3~4개로 사상자보다 엉성하고 열매의 가시가 붉고 길다,
어린 마덩굴이 마른 풀줄기에 엉겨 있다.
길섶에 솔잎미나리가 먼지같은 꽃을 피웠다, 잠시 자잘한 녀석들과 눈 높이를 맞춘다.
선개불알풀도 잎겨드랑이에 파랗게 꽃을 달고 있다.
선개불알풀, 선개불알풀, 눈개불알풀....
열매 모양이 강아지 거시기를 닮았다고 해서 개불알풀이란 이름을 얻은 녀석들이다.
길 바닥 애기노란토끼풀이 깔렸다.
가락지나물도 열매를 맺는 분위기이다.
제주산딸기 열매를 보기 위하여 한참 먼 거리를 이동하였다.
해안 산책로 옆 뽀리뱅이는 육지 녀석과 달라 보인다. 아무래도 앞에 다른 접두어가 있을 듯한데....
자잘한 얼치기완두 열매가 풍성하다.
무슨 일일까?
보고자 했던 제주산딸기 열매는 결실을 전혀 하지 않았다.
꽃이 핀 후 까맣게 화경이 말라 버렸다. 결실된 열매는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는다
거문딸기와 장딸기의 교잡종으로 작년에 새롭게 보고된 녀석이 결실이 안되다니...쩝.
옆에 미국쥐손이가 촛대같은 열매를 세우고있다.
거문딸기도 결실이 그리 좋지는 않지만 익은 열매가 보인다.
어디로 갈까 하다가 두루미천남성을 찾아서 출발이다.
네비 아줌마가 꽤 거리가 된다고 종알 거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