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양치식물

개부처손 포자낭수(부처손과 부처손)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by 여왕벌. 2012. 4. 7.

2012. 3. 31. 동강변.

 

석회암지대에서 만나는 개부처손이다. 봄을 맞는 가지 끝 포자낭수는 이미 빈 주머니로 가볍다. 

건조할 때 도르르 말려 있던 포자낭수가 그제 내린 비로 손바닥처럼 가지를 쫘악 펼치고 있다.

 

가지 끝에 흰색으로 변한 것이 포자낭수이다.

포자낭수는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4각주형으로서 길이 5~15mm, 지름 1.5mm이다.

 

 

경생엽은 긴 난형으로서 4줄로 붙지만 가지가 갈라지는 곳에서는 2가지 형태로 되어 평면 위에 4줄로 배열된다.

측엽은 퍼지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긴 난형이며 끝이 가시처럼 예리하고 소지는 잎과 더불어 지름 1-2mm이다.

포자엽은 길이 1.5mm의 난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개부처손 : https://qweenbee.tistory.com/8890322    https://qweenbee.tistory.com/8889578

https://qweenbee.tistory.com/8890651(포자낭)  https://qweenbee.tistory.com/8891474

https://qweenbee.tistory.com/8900026    https://qweenbee.tistory.com/8902335

https://qweenbee.tistory.com/8903350   https://qweenbee.tistory.com/8907746 (포자낭)

 

바위손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8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4632    https://qweenbee.tistory.com/8897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3351    https://qweenbee.tistory.com/8907747 (포자낭) 

https://qweenbee.tistory.com/8908063    https://qweenbee.tistory.com/8898339 

 https://qweenbee.tistory.com/8900758

 

부처손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18   https://qweenbee.tistory.com/8894633

https://qweenbee.tistory.com/8898339   https://qweenbee.tistory.com/8900758

https://qweenbee.tistory.com/891183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2512

 

선비늘이끼 : https://qweenbee.tistory.com/8887464  

 

왜구실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98(포자낭)  https://qweenbee.tistory.com/8890358

https://qweenbee.tistory.com/8901102     https://qweenbee.tistory.com/8902435   

 

구실사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45 (포자낭)  https://qweenbee.tistory.com/8899954 (포자낭) 

            https://qweenbee.tistory.com/8907925 (포자낭)  

'들꽃자료실 > 양치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뜨기(속새과)  (0) 2012.04.17
청부싯깃고사리  (0) 2012.04.14
별고사리?==>진고사리  (0) 2012.04.06
털목이  (0) 2012.03.12
금족제비고사리  (0) 2012.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