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8. 8. 금대봉
산형과는 어렵다. 이 녀석은 바디나물로 줄기 잎자루, 소화경은 녹색인데 꽃이 자주색, 흰색이 있다.
흰꽃바디나물은 2007년 바디나물로 통합되었다고 한다.
우상 복엽의 소엽의 밑부분이 엽축을 따라 나래처럼 붙어 흐른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고 한다.
왜당귀 : http://blog.daum.net/qweenbee/8886075
참당귀 : http://blog.daum.net/qweenbee/8886505 http://blog.daum.net/qweenbee/8890746
왜천궁 : http://blog.daum.net/qweenbee/8892349 http://blog.daum.net/qweenbee/8892532
지리강활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89 http://blog.daum.net/qweenbee/8886509
갯강활 : http://blog.daum.net/qweenbee/8888152 http://blog.daum.net/qweenbee/8885811
구릿대 : http://blog.daum.net/qweenbee/8888713 http://blog.daum.net/qweenbee/8886507
http://blog.daum.net/qweenbee/8892646 http://blog.daum.net/qweenbee/8892688
바디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661 http://blog.daum.net/qweenbee/8886506
http://blog.daum.net/qweenbee/8886352 http://blog.daum.net/qweenbee/8886480
http://blog.daum.net/qweenbee/8892539
흰바디나물 : http://blog.daum.net/qweenbee/8890660 http://blog.daum.net/qweenbee/8889037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0
섬바디 : http://blog.daum.net/qweenbee/8892496 http://blog.daum.net/qweenbee/8893050
잔잎바디 : http://blog.daum.net/qweenbee/8892640 http://blog.daum.net/qweenbee/8892661
궁궁이 : http://blog.daum.net/qweenbee/8886877 http://blog.daum.net/qweenbee/8889077
왜우산풀 : http://blog.daum.net/qweenbee/8890793 http://blog.daum.net/qweenbee/8891939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10~30cm로 엽병 윗부분과 마디에 퍼진 털이 있다. 소엽은 3~5개이지만 다시 3~5개로 깊게 또는 전부 갈라져서 잎이 흘러 날개모양이 되고, 난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5~10cm, 폭 2~4cm로 결각상의 거치와 날카로운 거치가 있고, 엽병 밑부분이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싸고 있다. 상부의 잎은 작지만 엽병은 길며 도란형의 엽초로 되고, 흔히 자줏빛이 돈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편편하고 길이 5mm이며 늑(肋)사이에 1-4개, 합생면에 4-6개의 유관이 있고 좌우에 날개 모양이 되어 있다.
8~9월에 긴 화경끝에 복산형화서로 발달하며 산경은 가지 안쪽과 더불어 잔돌기가 있고 10-20개의 소산경은 길이 3-6cm로서 끝에 20-30개의 짙은 자주색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총포는 1~2개이고, 소화경은 길이가 5~10mm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