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271 초종용(열당과 초종용속)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2025. 5. 10. 제주. 흰색 초종용도 역시 본지가 20년 가까이 된 것 같다. 2025. 5. 21. 초종용(열당과 초종용속)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2025. 5. 10. 제주도. 서편은 자주 가지 않아서 이 녀석도 오랜만에 만난다. 2025. 5. 21. 소청도 식물 1차 조사를 마치며 2025. 5. 13- 5.17. 올해로 3년 째 섬지역 식물상을 조사 중이다. 나와 한 사람. 모두 두 사람이 외부연구원으로 위촉되어서 1년간 진행해야 하는 일이다.1차 조사는 출발부터 배가 결항되는 바람에 인천항 주변에서 숙소를 잡아야 했다. 다행하게도 이튿날 아침 배는 순조롭게 출항을 하였다. 1-2년 차의 조사 대상 섬은 연육교가 있어서 참 편리했었는데 올해 맡은 소청도는 차량 진입이 안 되는 최악의 조건이라 섬을 배정 받을 때부터 걱정이 었었다. 역시 조사 활동에 필요한 비품을 손수레에 실어 배를 오르 내리면서 높이 쌓은 짐 보따리에 균형을 잡지 못하여 뒤뚱거리고 수레와 캐리어도 함께 끌어야 하는 낭패스러움을 겪었다.짐을 줄이느라고 먹거리를 준비하지 않다 보니 자동 다이어트가 되었다. 작은 섬에.. 2025. 5. 21. 국화잎다닥냉이(배추과 다닥냉이속) Lepidium bonariense L. 2025. 5. 10. 제주. 제주도에서 오랜만에 다시 만나니 반갑다.제주도 식물을 보고 다니기 시작하던 2010년도에 우연하게 만나고부산의 항만 부두 주변에서 두번 째로 만난 이후 보지 못하던 녀석이다. 꽃의 구조와 열매가 다닥냉이속으로 잎이 가늘고깊게 갈라져서 국화잎이란 접두어를 달게 된 녀석이다. 꽃잎 4장 수술 2개 잎이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져 있다. 길다닥냉이(나도콩냉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64 https://qweenbee.tistory.com/8893871 https://qweenbee.tistory.com/8896369 https:/.. 2025. 5. 21. (흰)갯장구채(석죽과 장구채속) Silene aprica Turcz. var. oldhamiana (Miq.) C.Y.Wu 2025. 5. 7. 제주. 이 곳 해안 올래길에는 유난히 흰색 갯장구채가 많다. 2025. 5. 20. 좀목포사초(사초속) Carex brevispicula G.H.Nam & G.Y.Chung 2025. 5. 7. 명봉사숲. 좀목포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28(개화) https://qweenbee.tistory.com/8908727(결실기) https://qweenbee.tistory.com/8907213 https://qweenbee.tistory.com/8911016 https://qweenbee.tistory.com/8911971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9 2025. 5. 20. 대사초(사초과) Carex siderosticta Hance 2025. 5. 7. 명봉사. 대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28 https://qweenbee.tistory.com/8893515https://qweenbee.tistory.com/8895656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9https://qweenbee.tistory.com/8899287 https://qweenbee.tistory.com/8911030 https://qweenbee.tistory.com/8911031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7 털대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88 https://qweenbee... 2025. 5. 20. 한라사초(사초속)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2025. 5. 7. 명봉사. 녹빛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22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9 https://qweenbee.tistory.com/8902541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3 https://qweenbee.tistory.com/8911943 한라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39https://qweenbee.tistory.com/8899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8h.. 2025. 5. 20. 나래사초(사초속 낚시사초절) Carex filipes Franch. & Sav. var. oligostachys (Meinsh. ex Maxim.) Kük. 2025. 5. 7. 명봉사 숲. 측소수 자루가 가늘어서 낚싯대처럼 길게 늘어진다. 장성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179 https://qweenbee.tistory.com/8910275 나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9239 https://qweenbee.tistory.com/8907225 https://qweenbee.tistory.com/8908713 https://qweenbee.tistory.com/8907896 https://qweenbee.tistory.com/89102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5 2025. 5. 20. 가지청사초(사초속 청사초절) 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2025. 5. 7. 명봉사 숲. 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32 가지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0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4 바늘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3 실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1 https://qweenbee.tistory.com/8908859 https://qweenbee.tistory.com/8908915 부리실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 2025. 5. 20. 바늘청사초(사초속 청사초절) Carex tsushimensis (Ohwi) Ohwi 2025. 5. 7. 경남. 우포 습ㅈ지를 조사하는 중에 산사면에서 팀 동료가 찾아내었다.청사초절 중에서도 잘 만날 수 없는 귀하게 만난 녀석이다. 아래 5장은 꽃동무에게서 받은 개화 초기 모습이다. 우포 늪의 표본 촬영. 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32 가지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70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4 바늘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12003 실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741 https://qweenb.. 2025. 5. 20. 소청도 식물상 조사 2025. 5. 13-5. 17. 그래도 재미있으니까 힘들지 않다오늘은 점심도 못 먹고 겨우 자유시간 과자 4개로 버텼다소청도에는 매점이 없다. 배에 차량도 선박이 안 된다.그러니 미리 간식을 충분히 준비해야 하는데 캐리어와 베낭 외에도조사에 필요한 채집 가방과 채집 봉투 표본 압착할 신문과 골판지, 야책까지 짐을 챙겨 손수레에 싣고가야 하는 악 조건에 신경을 쓰다보니 간식을 미처 챙기지 못 했다.그렇다고 숲에서 식물 조사하다 말고 점심 먹으러 숙소로 돌아올 수도 없는 일이다.내일도 같은 조건이다. 할 수 없다. 아침을 든든히 먹는 수밖에.그래도 내가 좋아하는 일이라 신나게 일하고 있다. 5. 15. 스승의날에. 작은 풀떼기 하니 부터 깡그리 조사해야 한다. 식물체 증거 사진도 촬영하고 나는 종목록 .. 2025. 5. 19. 대청지치(지치과 대청지치속)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 2025. 5. 15. 섬 조사 사흘 째.한낮이 되어도 안개가 걷히지 않는다.인천에서 8시 30분에 출항해야 할 배가 출항을 하지 못하고 대기하다가12시 경에 출발하여 3시가 넘은 시각에 도착을 하였다. 안개 속에서도 조사는 진행이 되었다.둘 째 날 마을 구석에서 어렵게 찾아내었던 대청지치를사흘 째 날 도로변과 경작지 주변 여러 곳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서 너무 반가워서 감탄사거 절로 나왔다.대청도에서도 이런 군락은 본 적이 없었는데 소청도의 대청지치 분포는 대단하였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 2025. 5. 19. 반디지치(지치과 지치속) Lithospermum zollingeri A.DC. 2025. 5. 서해섬. 이 섬의 식물상 조사 목록에는 반디지치가 없었다. 그런데 이 시기 숲 바닥에는 반디지치가 여기 저기 파랗게 별을 깔아 놓고 있었는데10년 가까이 식물분포를 조사 했다면서 어찌 발견을 못했을까? 아마도 개화시에 조사하지 않아서 꽃이 진 후 길게 포복하는 덩굴을 못 알아본 게 아닌가 싶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 2025. 5. 18. 보리풀(벼과 겉보리속) Hordeum murinum L. 2025. 5. 강원도. 이 곳 도로변에서 녀석을 처음 만났었는데 크게 번지지 않고 여적 그대로 살고 있다. 한 가지에 임성의 작은이삭 한 개와 불염성의 작은이삭 두 개가 함께 달리고, 임성 작은이삭의 두 포영의 길이는 까락을 포함해 1.5~2.5cm이다. 긴까락보리풀에 비해서는 까락이 훨씬 짧은 것으로, 좀보리풀과는 포영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는 것으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서울, 인천, 경기도, 강원도 등에 나며 서아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보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89 https://qweenbee.tistory.com/8911999보리풀 소수 ; https://qweenbee.tistory.com/8908890 좀보리풀 : https:.. 2025. 5. 18. 이전 1 2 3 4 ··· 16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