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832 자주색 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viridis (L.) P. Beauv. 2024. 8. 18. 동네. 까락이 자주색을 띠는 이 녀석은 예전에는 강아지풀의 품종인 자주강아지풀로 분류되어 있다가 지금은 강아지풀의 이명으로 처리가 되었다. 강아지풀은 이삭이 작고 짧아서 휘어지지 않는다. 1포영과 2포영이 호영을 완전 덮고 있다.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7 https://qweenbee.tistory.com/8911300 수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7024 https://qweenbee.tistory.com/8897025 https://qweenbee.. 2024. 9. 4. 가는금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pumila (Poir.) Roem. & Schult. subsp. pallide-fusca (S 2024. 9. 2. 동네. 도감의 기재문을 보면 금강아지풀과 가는금강아지풀이 이삭의 굵기와 길이로 구분하기는 일치하지 않는 점이 흔히 나타나서 이삭 크기로 구분하기는 애매하다. 소수의 자모 색과 소수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 경험상 소수 자모의 색으로 구분하면 가장 쉬울 듯하다. 아래는 도감의 내용을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다 화서소수소수 자모금강아지풀굵기(폭) 7~9mm길이 3mm, 광난형황그색가는금강아지풀굵기(폭)5~6mm길이 2~2.8mm, 장타원형오갈색 농로에 서 있는 이 녀석은 자모의 색이 오갈색이라 우선 가는금강아지풀로 보았다. 좌 : 금강아지풀 우: 가는금강아지풀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927 https://qweenbee.tistory.. 2024. 9. 4. 새끼꿩의비름(돌나물과 꿩의비름속) Hylotelephium viviparum (Maxim.) H. Ohba 2024. 7. 27. 강원도. 오랜만에 무더위를 피하여 강원도로 달렸다.폭염 속에도 강원도 고산은 비가 오락가락하여 산 아래동네의 한증막 더위를 전혀 느끼지 않을 정도로 시원하다. 등산로변의 새끼꿩의비름도 덕분에 생기를 얻고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며, 러시아,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세잎꿩의비름에 비해 크기가 작고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땅채송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69 https://qweenbee.tistory.com/8889456https://qweenbee.tistory.com/8887975 https://qweenbee.tistory.com/8893841 https://qweenbee.tistory.c.. 2024. 8. 28. 수강아지풀(벼과 강아지풀속) Setaria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2024. 8. 강아지풀 종류 종자를 채종하다가 수강아지를 제대로 살표펴보았다. 높이 40~150cm이다. 잎몸은 선형, 편평하며 길이 15~45cm, 폭 5~12mm 로 동속종에 비하여 대형이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붙은 둥근 기둥 모양이고 길이 10~18cm, 곧추선다. 문제는 가을강아지풀 중에서도 이삭 크기가 큰 녀석이 있기에 이삭만 크다고 해서 무조건 수강아지풀은 아니다.온라인상에 수강아지풀로 올려 놓은 거의 대부분이 수강아지풀 이삭의 특징이 아닌 가을강아지풀이다. 수강아지풀은 조와 강아지풀의 교잡종으로 가장 큰 특징은 원기둥 화서의 아래쪽 부분에 작은 이삭이 가지처럼 발달하는 분화서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 강아지풀 : https://qweenbee.ti.. 2024. 8. 28. 사철란(난초과 사철란속) Goodyera schlechtendaliana Rchb.f. 2024. 8. 24. 오랜민에 온전히 꽃을 만나는 목적으로 먼길을 달렸다.꽃차례 아래쪽이 느살짝 누렇게 변하기 시작이라 절정을 넘기고 있는 모습이었는데어디에 눈을 둬야할지 모를 정도의 무리진 모습에 그냥 눈으로 담다시피 하고 몇 컷을 날렸다.너무 오래 머무르며 발자국 남기는 것도 이 녀석한테 할 짓이 아닌 것 같아서 조금 머무르다가 숲을 빠져나왔다. 찾는 발걸음이 많지 않았으면 하는 희망이지만 결국 내 희망일 뿐이란 걸 안다. 사철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940 https://qweenbee.tistory.com/8890674https://qweenbee.tistory.com/8899809 https://qweenbee.tistory.com/88.. 2024. 8. 28. 너도고랭이/가시개올미/애기개올미 2023. 9. 23. 너도고랭이/가시개올미/애기개올미 너도고랭이 가시개올미 애기개올미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ory.com/8911393 가시개올미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2가시개올미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6 애기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7 https://qweenbee.tistory.. 2024. 8. 27. 애기개올미(사초과 애기개올미속) Diplacrum caricinum R.Br. 2023. 9. 23. 남도 습지.. 섬지역 식물상조사로 습지를 조사하다가 찾아낸 녀석이다. 너무 작아서 여태 눈길이 가지 않았던 녀석이었다.지난 해 늦은 가을에 이 녀석이 아닐까 하고 뒤늦게 말라빠진 녀석을 보고 두근거렸는데 올해는 제 시기에 제대로 찾아 낼 수 있었다. 역시 내 짐작이 맞았다. 손가락 두마디 정도의 녀석이 나를 이렇게 흥분시켰다.기대를 했었는데 역시 잘 찾아 내었다. 식물체 크기가 5cm 정도로 작은 녀석으로 남도의 야산 습지에 제한적으로 자란다. 식물상 조사라 기본적으로 표본을 채집해야 해서 채집한 것이다. 덕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8 https://qweenbee.tistory.com/8911481덕산풀 열매 : 가시개올미 .. 2024. 8. 26. 너도고랭이(사초과 너도고랭이속) Scleria parvula Steud. 2023. 9. 23. 전남. 남부지역의 습지에 자생하는 녀석이다.가시개올미나 덕산풀에 비하여 엽초에 항상 넓은 날개가 있고 식물체가 훨씬 대형이다. 식물체 총생, 높이 30~50cm, 경생엽의 엽초 날개, 엽초에 날개가 있다. 가시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5 https://qweenbee.tistory.com/8911393 가시개올미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6 애기개올미 : https://qweenbee.tistory.com/8909567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3 너도고랭이 : https://qweenbee.tistory.com/8911292 http.. 2024. 8. 26. 산토끼꽃(산토끼꽃과 산토끼꽃속) Dipsacus japonicus Miq. 인간이 미안하다 2024. 8. 11. 경북. 2주간 완전 블러그 파업을 하였다. 거의 매일 밖으로 다니다가 무더위에 지친 탓도 있지만 종자 선별 작업과 표본 건조작업 때문에 거기 매달려 있다보니 그렇게 되었다. 어제는 산림청장님의 부름에 잠시 서울 가서 자문위원 위촉장 하나 받고 내려 오는데 꽃동무로부터 톡이 왔다. 혹시 건강 상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해외에 나갔는지 좀 걱정하는 내용이었다. 하기사 장기간 블러그를 파업한 경우는 해외에 나가는 때 말고는 계속 자료를 업로드 했으니 2주간에 가까운 공백으로 신상에 무슨 문제가 있냐는 걱정을 할 만도 하다. 이제 정리하지 못한 자료들을 조금씩 올리려고 한다. 종자 채종을 다니다가 봉화의 낙동강 상류 하천변에 잠시 차를 세웠다. 어지러운 공사판에도 꿋꿋하게 꽃을 피운.. 2024. 8. 23. 내몽골식물 - 물여뀌(마디풀과 여뀌속) Persicaria amphibia (L.) Delarbre 2024. 6. 22. 내몽골. 이 녀석을 국개에서 본지도 까마득한데 내몽골에 와서 풍성하게 만났다.물속에서 자라는 모습과 물밖에서 자라는 모습의 엽형이 완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쪽 :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6 https://qweenbee.tistory.com/8892777 https://qweenbee.tistory.com/8907771 흰여뀌(명아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24 https://qweenbee.tistory.com/8888847https://qweenbee.tistory.com/8886859 https://qweenbee.tistory.com/8888851 ht.. 2024. 8. 10. 내몽골식물 - 매화마름류(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2024. 6. 22. 호수 수면을 가득 채운 매화마름 종류에 풍경으로 담기에 바빴다.국내에 자생하는 매화마름과 다른 종으로 보이는데 자세하게 관찰 하지는 못하였다. 개구리갓 :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8 https://qweenbee.tistory.com/8893139https://qweenbee.tistory.com/8889489 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https://qweenbee.tistory.com/8895284 https://qweenbee.tistory.com/8895474https://qweenbee.tistory.com/8897174 https://qweenbee.tistory.com/.. 2024. 8. 10. 지황(현삼과 지황속)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Fisch. & C. A. Mey. 2024. 7. 약용작물로 재배를 하는 지황이 고향집 마을에서도 보인다. 지황같은 약재는 중국에서 싼 값으으로 수입되어서 유통이 될텐데 최근 안동농업기술지원셑터에서 농가에 계약재배를 하는 것 같다. 중국산 약재에 문제가 있는 모양이다. 참깨 꽃처럼 생긴 크고 붉은 지황 꽃이 밭 가득하게 피기 시작하였는데 이 녀석을 촬영하고 이틀 후에 가 보니 뿌리의 충실한 성장을 위하여 꽃대를 모두 따 버렸다. 지황 : https://qweenbee.tistory.com/8888371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4 https://qweenbee.tistory.com/8911288 2024. 8. 10.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20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