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965

병아리풀(원지과) 2009. 8. 25. 단양. 석회암 지대에 주로 서식하고 있는 것 같다는... 쪼꼬만 꽃을 달고 땅바닥에 납작 업드려야 볼 수 있는 노란 병아리 물매화 소식 궁금하야 지나는 길에 들렀는데 물매화는 아직 단장 중이라 하는 전갈만 준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 2009. 8. 26.
민둥체꽃(산토끼꽃과) 2009. 8. 25. 단양. 민둥체꽃이라고는 하는데....잎과 줄기에 털이 없는 점이 포인트다. 체꽃은 잎이 우상으로 잘게 갈라지고, 민둥체꽃은 잎과 줄기에 털이 없고, 구름체꽃은 개화시 뿌리잎이 남아 있고 꽃받침의 가시침이 길고 높이 20cm 이하로 가지가 분지하지 않은 고산형이다 솔체꽃은 .. 2009. 8. 26.
쑥방망이 2009. 8. 25. 단양. 길 섶에 몇 개체가 더 있었는데....풀베기 작업으로 잘렸나 보다. 잎이 쑥 잎처럼 생겼대서 쑥방망이라 한다네. 금방망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551 https://qweenbee.tistory.com/8894405 https://qweenbee.tistory.com/8899876 https://qweenbee.tistory.com/8901280 https://qweenbee.tistory.com/8898874 (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04275 https://qweenbee.tistory.com/8904895 (백두) 삼잎방망이.. 2009. 8. 26.
뻐꾹나리 2009. 8. 25. 단양. 꼴뚜기가 떼거리로 헤엄치고 논다는 어장이 있다는 소문은 벌써 듣고 있었는데... 먼곳을 다니느라 뒤로 미루어 두었더니 꼴뚜기는 알을 낳고 벌써 달아나 버렸다. 뻐꾸기와는 전혀 연상되는 것이 없는데 왜 뻐꾹나리라고 이름 지었을까? <뻐꾹나리>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키.. 2009. 8. 26.
산박하/오리방풀/방아풀/ 비교 방아풀 : 수술과 암술이 화관밖으로 길게 돌출한다. 잎에 풀거북꼬리처럼 결각이 없는짧은 꼬리가 빠져 있다. 산박하 : 수술과 암술이 화관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잎이 깨잎처럼 생겼다. 오리방풀 : 수술과 암술이 화관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잎이 약간 타원형으로 풀거북꼬리 잎처럼 꼬리가 있다. 산박하 오리방풀 방아풀 수술이 꽃잎 밖으로 안 나옴 수술이 꽃잎 밖으로 안 나옴 수술이 꽃잎 밖으로 나옴, 산박하와 오리방풀에 비하여 꽃이 매우 작다. 산박하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핌. 취산꽃차례 오리방풀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핌. 취산꽃차례 방아풀 꽃가지를 많이 침. 원추꽃차례 산박하 잎자루 : 날개 있음, 줄기 : 네모, 잎 꼬리 : 없음(짧음) 오리방풀 잎자루 : 날개 있음, 줄기 : 네모, 잎 꼬리 : .. 2009. 8. 25.
방아풀 2009. 8. 25. 단양. 방아풀이 피기 시작했다. 오리방풀, 산박하와 사진상으로 비슷해서 헷갈려 하는 녀석이다. 줄기가 네모지고, 잎 자루로 날개가 얕게 흐르고, 잎에 꼬리가 살짝 있는 점은 같으나 셋 중에서 방아풀 꽃이 가장 작고, 꽃술이 밖으로 삐죽하게 나와 있다. 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4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9 https://qweenbee.tistory.com/8898812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9 파리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546 파리풀 새싹 .. 2009. 8. 25.
대마참나물(산형과) 2009. 8. 23. ㄱㅇ산. 당최 아무리 찾아도 이름을 찾아주지 못하였는데 꽃동무의 도움으로 대마참나물이란 이름을 접하고 자료를 검색해 본즉 인디카에서 2개의 목록과 상세 정보를 알 수 있었다. 대마참나물 Tilingia tsusimense (Yabe) Kitag. = Tilingia tsusimensis (Yabe) Kitag. (관련 논문) <대마참나물(t.. 2009. 8. 25.
나래완두(콩과) 2009. 8. 23. 가야산. 이태 전 6월에 여기 올랐을 때, 연리갈퀴다 나래완두다 하고 왈가 왈부 했던 주인공이다. 연리갈퀴는 화기가 보통 6월경이고 그 변종인 광릉갈퀴가 7~8월이라 한다 이 녀석을 두고 연리갈퀴와 나래완두 기재문을 비교해 보니 참 애매하여 함께 한 꽃동무들의 의견에 따라 연리갈퀴로 올렸었다. 헌데 논의 결과 가야산과 백양산에 자생하는 녀석은 나래완나두의 근연종인 가는갈퀴나물이나 나래완두로 봐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이 녀석을 나래완두로 수정한다. 연리갈퀴는 광릉갈퀴나물과 잎의 형태가 많이 닮았다고 한다. 나래완두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2 https://qweenbee.tistory.com/8902504 https://qweenbee... 2009. 8. 25.
흰참꽃나무/털진달래(진달래과) 2009. 8. 23. ㄱㅇ산. 1. 흰참꽃나무 아쉽게도 꽃 피는 시기를 놓쳐서 꽃은 담지 못하였다. 새끼손톱만한 하얀 꽃이 퍽이나 앙징스러운데...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총생하며 타원형, 도란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30mm, 폭 4-12m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표면에 복모가 있으며 뒷면은 복모와 더불어 연모가 있다. 잎이 가을에 황적색으로 변한다. 열매는 삭과로서 난형이고 길이 5mm로서 9월에 익는다.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갈색털이 있다. ↓ 아래쪽 흰참꽃나무 위쪽은 털진달래 2. 털진달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2009. 8. 25.
은꿩의다리(참꿩의다리) 2009. 8. 23. ㄱㅇ산. 참꿩의다리는 은꿩의다리에 통합되었다고 한다. 올라 갈 때는 안 보이더니만 내려오는 길에 싱싱한 녀석들이 더러 보인다. 일찍 하산한 덕분에 계곡에 빛이 남아 있어서 다행스럽게 담았다. 개체 1. 개체 2.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 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8 https://qweenbee.tistory.co.. 2009. 8. 24.
물개암나무(자작나무과) 2009. 8. 23. ㄱㅇ산. 병개암나무인줄 알았더니 이창복 원색식물도감 검색표를 확인하니 포의 끝이 이렇게 열매새서 서서히 오므라지는 녀석이 물개암나무란다. 병개암나무는 포가 이렇게 길지 않다. 물개암나무 : 총포가 열매에서 급하게 좁아지지 않고 길게 자라면서 총포의 끝이 좁아진다. 2009. 7. 30. 고운사 고운사의 물개암나무는 열매를 싸고 있는 길쭉한 포의 끝이 뾰족하게 오므라져 있다. 참개암나무라 생각했던 봉정사의 개암나무도 물개암나무다. 참개암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24 http://blog.daum.net/qweenbee/8889542 http://blog.daum.net/qweenbee/8893264 http://blog.daum.ne.. 2009. 8. 24.
개옻나무(옻나무과) 2009. 8. 23. ㄱㅇ산. 옻나무과 붉나무속으로 산검양옻나무와 검양옻나무가 있는데 검양옻나무는 털이 없는 녀석으로 주로 제주도와 완도 등 남쪽 섬지역에 자생한다고 한다. 이 녀석은 가야산 숲 속에서 만났으니 산검양옻나무일 수도 있는데 수고가 높아서 황갈색 털을 확인할 길이 없다... 2009.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