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82

몽골식물- 몽골초원 물길 주변의 갯봄맞이 2022. 6. 24. 몽골. 탐사 대장과 함께 탄 선두 차는 기사가 아주 심성이 부드러운데다가 운전도 능숙하여서뒤따르는 두 대의 차와 거리가 멀어지기 일쑤였다. 차량 한 대의 하루 운영에 한국 돈 10만원, 그리고 주유까지 해주어야 해서 하루 30만원에 13일 390만원,3명의 기사 하루 식대 1만원씩 3만원을 13일 39만원, 차량 양쪽에 달린 기름통에 가득 넣기를 4회,거의 600만원 가까운 돈이 차량 경비에 소요되었다. 총 경비의 30%가 차량 운영에 들어 갔다고 한다. 헌데 처음 2회 동안 기사들이 기름을 넣으면서 그 외에 필요한 엔진오일, 윤활유 같은 것도 구입한다고 해서좀 마뜩치 않았지만 처음에는 허락해 주다가 그것이 매번 반복되니까 대장이 큰 소리를 내고 분위기가 안 좋아졌었다.아마도 이 .. 2022. 7. 8.
몽골식물 : 봄맞이꽃속 Androsace gmelinii 2022. 7. 1. 귀국 하루 전 날 오전에는 울란바토르에 도착해야 한다.입국 전에 코로나 신속항원검사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이리 저리 검색한 결과 일요일에도 신속항원검사를 진행하는 병원을 찾았다. 한국인 의사가 운영하는 병원이었다. 우리는 울란바토르에서 동북 방향으로 거의 러시아 국경지역까지 너무 멀리 가 있었기 때문에울란바토르에서 좀 더 가까운 곳에 가서 숙영을 해야 한다.그래서 울란바토르에서 2시간 거리인 테를지에서 마지막 숙영을 하기로 하고 거의 하루 종일 서쪽으로 이동을 하였다 두 시간을 쉬지 않고 달리다가 오논 강으로 흘러드는 지류인 하천에 잠시 차를 세웠다,우리는 차만 세우면 카메라를 들고 바닥을 들여다 보며 새로운 식물을 찾느라고 여념이 없다.우리를 태운 몽골 기사들이 보면 참 이상할만 .. 2022. 7. 7.
몽골식물- 명천봄맞이(앵초과 봄맞이꽃속) Androsace septentrionalis L. 2022. 6. 24. 몽골.  명천봄맞이는 한반도에도 자생하는 녀석이지만함경도 칠보산에 있다는 기록이 있고 남쪽에는 볼 수 없는 녀석이다. 2015년 몽골탐사 때에도 무턱대고 담아온 녀석을 명천봄맞이로 동정한 후, 자생의 모습이 아닌 식물원에서 본 적은 있었는데 이번 몽골탐사에서는 개화시기라서 그런가발길에 채일 정도로 초지 어디서나 흔하게 만날 수 있었다. 애기봄맞이꽃에 비하여 잎자루가 없고 꽃받침에 능각이 있다.잎몸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끝은 다소 둔하고 가장자리 위쪽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털이 있다. 2022. 6. 24.  2022. 7. 1.   열매가 잘 여물고 있다.2022. 6. 25.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 2022. 7. 7.
몽골식물- 털봄맞이 (앵초과 봄맞이꽃속) Androsace incana 2022. 6. 24. 몽골. 징기스칸 공원에 잠시 머물고 달리던 후르공은 고속도로를 버리고 초원지대의 길이 아닌 것 같은 길을 따라 달리면서우리를 마구 쥐고 흔들다가 아래 위로 엉덩방아를 찧게 한다.차가 너무 흔들려서 차창 밖의 풍경을 담기에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좌우에 펼쳐진 초원에는 말, 소, 양, 염소,야크 떼의 유유한 모습과 점점이 뿌려진 게르의 모습은멋진 화보를 보는 듯 마음이 정화되었다.  피뿌리풀 초원에 엎드린 일행들은 일어설 생각을 안 한다.첫 야영지까지 가려면 길을 재촉해야한다는데, 우리 무리의 대장님이 빨리 차에 오르라고 재촉이다.마지막으로 차에 오르려던 나는 다시 바닥에 엎어진다.고산봄맞이꽃 한 무리가 꽃을 곱게 피웠기 때문이다. 돌아와서 몽골식물 책자 세권을 펴고 학명과 국명을 .. 2022. 7. 7.
몽골식물탐사- 피뿌리풀(팥꽃나무과 피뿌리풀속) Stellera chamaejasme L. 2022. 6. 24. 첫 야영지로 가는 중. 23일 오후 5시 가까운 시각에 비행기는 울란바트루의 새 공항에 우리를 쏟아내렸다.호텔로 가는 길은 그야말로 교통지옥으로 난장판 같았다.아무데서나 불쑥 불쑥 끼어들기는 보통이었는데그게 이 곳의 교통문화인 듯 아무 렇지도 않게 자동차 물결이 흐르는 대로 주춤주춤 진행이 되었다.2015년의 기억과는 많이 다른 교통상황이었다. 울란바투르의 호텔에서 숙박을 한 후 24일 오전 8시 호텔 현관에 모여든 일행은 만나게될 식물에 대한 기대로 들떠 있었다.우리 14명과 가이드를 태우고 11일의 대장정을 책임질 후르공 봉고 3대가 현관 앞에 대기하고 있다.러시아산 후르공은 산악지대에도 힘차게 다닐 수 있는 봉고형으로 일정 내내 그 위력을 실감할 수 있었다. 동북부 산지의 첫.. 2022. 7. 6.
몽골식물탐사- 반갑다! 씨눈바위취 Saxifraga cernua L. 2022. 7. 2. 몽골.2015년 7월 하순에서 8월에 걸쳐서 몽골의 식물 탐사를 다녀온 후 광활한 초원과 끝없는 지평선에 매료되어서 한번 더 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더랬다..국명을 붙일 수 없는 식물들이 대부분이었지만 다양한 식물과 함께 우리 나라에서는 쉽게 만날 수 없는 귀한 종을 흔하게 만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곳이었기 때문이다 2020년 계획했던 몽골탐사가 코로나의 창궐로 취소되고  2년을 기다린 끝에 드뎌 올해 6월 23일 부터 7월 4일까지 몽골을 다녀 오게 되었다..2015년에  몽골식물 탐사기를 아주 자세하게 기록해 둔 것이 있기에 이번에는 식물을 중심으로 올리면서 그 때 그때 탐사기를 곁들이려 한다.2015년 때보다 한 달 정도 이른 시기에 탐사를 했지만 그 때 보던 식물.. 2022. 7. 6.
몽골식물탐사 : 씨눈바위취(범의귀과 범의귀속) Saxifraga cernua L. 2022. 7. 2. 몽골. 우리나라 북부지역 습한 바위지대에 자생한다고 하는데 백두산 주변에서 이 녀석을 촬영 확인한 기록이 전무하다. 표본 자료는 국립수목원과 학국생물자원관의  러시아 3점 일본 1점으로 표본자료도 매우 적은 귀한 녀석이다.몽골에서는 우리가 처음 확인한 것 같다. 이번  몽골 식물 탐사의 가장 큰 수확이다. 전초에 털과 선모가 많았고 총상으로 갈라진 가지 끝에 한송이씩 꽃을 달고 있다.잎겨드랑이에 붉은 주아가 달려서 '씨눈' 이란 접두어를 얻었다. 결실은 하지 않고 주아를 떨어뜨려서 번식을 한다 세계적으로 북반구 아한대 지역, 우리나라 북부 고산->아고산지대에 난다.  수술 10개 암술 2개 바위취 : https://qweenbee.tistory.com/8902668바위취 새싹 : h.. 2022. 7. 6.
몽골식물- 피뿌리풀 피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7968   https://qweenbee.tistory.com/8889963피뿌리풀(몽골) :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15            https://qweenbee.tistory.com/8898888    https://qweenbee.tistory.com/8909071           https://qweenbee.tistory.com/8910892    https://qweenbee.tistory.com/8911202(내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1658(내몽골) 2022. 6. 24.
섬괴불나무(인동과 인동속) 2022. 4. 22. 울릉도. 울릉도 해안가 산지에 자라는 고유종이다.잎과 꽃자루에 부드러운 털이 많고 열매는 합생하지 않는다. 꽃싸개잎은 선형이며 털이 있고 작은꽃싸개잎은 난형 끝이 뭉툭하고, 가장자리에 샘털이 있고 씨방보다 짧다. 꽃받침열편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샘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4~8cm이고 달걀모양, 거꿀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타원상 달걀모양이며, 잎밑은 넓게 뾰족하거나 둥글다. 잎 표면에는 털이 있다가 맥 위에만 남고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3063https://qweenbee.tistory.co.. 2022. 6. 20.
섬괴불나무(인동과 인동속) 열매 2022. 6. 14. 울릉도. 해안 도로변 산사면에 붉게 잘 익은 섬괴불나무 열매가 차를 세우게 한다.괴불나무 근연종들이 대부분 열매가 합생하지만  괴불나무와 이 녀석은 합생하지 않는다.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3063https://qweenbee.tistory.com/8897766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6https://qweenbee.tistory.com/8905396     https://qweenbee.tistory.com/8908297괴불나무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62   http.. 2022. 6. 20.
섬나무딸기(장미과 산딸기속) 열매 Rubus takesimensis Nakai 2022. 6. 13. 울릉도. 재배하는 나무딸기도 가시가 없고 열매도 섬나무딸기와 흡사한데 울릉도 섬나무딸기를 개량한 것일까?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93 https://qweenbe.. 2022. 6. 19.
섬나무딸기(장미과 산딸기속) Rubus takesimensis Nakai 2022. 5. 23. 울릉도. 줄기와 가지, 잎에 가시가 전혀 없는 녀석으로 육지의 산딸기 형태와 비슷한데, 잎, 전초, 꽃이 훨씬 크다. 산딸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2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14 https://qweenbee.tistory.com/8887732 https://qweenbee.tistory.com/8887246 https://qweenbee.tistory.com/8889901 https://qweenbee.tistory.com/8905826 산딸기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093 https://.. 2022.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