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77

대설산식물 - 백두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paishanensis Kitag.(Ranunculus acris L. subsp. nipp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산을 오르면서 분명 미나리아재비속 녀석을 촬영했더랬는데 하고 갑자기 생각이 들었다.이상하다 싶어서 파일을 확인하고 혹시나 싶어서 애기금매화에 올려둔 사진을 확인해 보니아고야~! 거기에 두 녀석을 마구 섞어 두었지 뭐인가? ㅋㅋㅋ 어쩐지 이상하다 했다.두 녀석이 정상 오름길 양쪽에 마구 섞여 피어 있어서 자칫하면 그냥 애기금매화로 보고 지나칠 수 있었던 상황이었는데촬영할 때는 분명 금매화속 녀석과 미나리아재비속 녀석 두 종이 있다 생각하고 촬영을 했었다.그런데 반 년만에 정리하다 보니 미나리아재비속 녀석을 잊어버리고 모두 애기금매화에 무더기로 올려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ㅋㅋ 오르면서 보았던 이 녀석을 백두산에서 만났던 산미나리아재비는 아닐까 하고 일단 촬영해 두기.. 2024. 1. 29.
대설산식물 - 산미역취(미역취속)Solidago decurrens var. decurrens =Solidago virgaurea subsp. leiocarpa (Benth.) Hultén 2023. 7. 11. 대설산 아사히다케. 혹시나 두메미역취나 산미역취일까 싶어서 두어 컷 찍었던 녀석인데고산도감에 실린 Solidago virgaurea subsp. leiocarpa 와 거의 흡사하다큐에서는 Solidago decurrens var. decurrens와 같은 종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Solidago virgaurea subsp. leiocarpa 을 산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한 학명이다.그러면 산미역취로 볼 수 있겠다. 국내산미역취의 학명은 Solidago virgaurea L. 이다 일본명 '미야마아키노기린우'  ミヤマアキノキリンソウ 라고 부르는데 원산지는 파키스탄 북부에서 러시아 극동 및 필리핀, 알류샨 열도까지 분포한다.   미역취 : https://qweenbee.tis.. 2024. 1. 29.
대설산식물 - 진달래과 카시오페속 Cassiope lycopodioides (Pall) D. Don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대설산에는 다양한 진달래과 분류군이 많았다.자세하게 관찰하지 않으면 그냥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비슷비슷해서 세심하게 촬영을 해야 다른 녀석이란 걸 눈치 챌 수 있을 정도였다. 이 녀석은 긴 꽃자루에 초롱꽃처럼 고개를 아래로 숙이고 하얀 꽃을 피우고 있는데긴 띠 처럼 생긴 줄기를 따라 비늘잎이 줄기에 붙어 있는 신기한 모습이었다. Cassiope lycopodioides 한 학명을 가지며 일본명 '이와히게' イワヒゲ  로 암자( 岩髭)  '바위수염'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혼슈와  북해도 중부 지방의 북부에 분포하며, 고산지대에서는 바람이 강한  바위 사이 등 바위가 많은 자갈밭에서 자라며 줄기는 수염처럼 가는 상록소관목이다.  원산지는 러시아 극동.. 2024. 1. 29.
대설산식물 - 고산나도철쭉(진달래과 로이셀레우리아속) Loiseleuria procumbens (L) Desb.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정상에서 산장으로 가는 능선부 암릉지대는 키 작은 진달래과 녀석들이바위 틈 지표면에 바짝 붙어서 다양한 모습으로 꽃을 피우고 있었다. 이 녀석은 자잘한 별꽃처럼 아주 작은 꽃을 피우는데 무척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었다.일본명 미네즈오우 ミネズオウ , 학명 Loiseleuria procumbens 로 북해도와 혼슈 중북부 고산 암석지대에 자생하는 상록관목이다. 높이 10~15cm 의 상록관목으로 가는 줄기가 땅을 기며 퍼지고 잎이 조밀하게 달린다. 꽃은 가지 끝에 산형상으로 모여 핀다.  북반구의 아북극 지역과 높은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메인, 뉴햄프셔, 뉴욕, 워싱턴 산맥에 있는 범위의 남쪽 한계에 도달한다. 고산나도철쭉(로이셀레우리아속,대설.. 2024. 1. 29.
대설산식물 - 눈잣나무(소나무과 소나무속) Pinus pumila (Pall.) Regel 2023. 7. 10. ~11 대설산 구로다케. 아사히다케 구로다케 정상부 능선 주변에 나지막하게 누워 있던 녀석이다. 우리나라 설악산에서도 본 적이 있다. 잣까마귀도 봤더라면 반가웠을텐데 그게 좀 아쉽다. 요건 암구화수 수구화수 2024. 1. 28.
대설산식물- 마가목속 Sorbus sambucifolia (Cham. & Schltdl.) M. Roem. 2023. 7. 10. 구로다케. 대설산에 자생하는 마가목 2종 중 한 녀석이다.3~4쌍의 소엽, 어린 가지에는 털이 있다가 나중에 떨어진다.꽃잎에 거치가 없고 매끈하며, 잎 끝은 길게 뾰족한 예첨두로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있다. 한국, 일본 북부 및 중부, 러시아 극동에서 알래스카까지 분포한다.  마가목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03    https://qweenbee.tistory.com/889944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47    https://qweenbee.tistory.com/8901548  마가목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660.. 2024. 1. 28.
대설산식물 - 마가목속 Sorbus matsumurana(Makino) Koehne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북해도 고산에 자생하는 마가목속 두 종류를 소개하고 있는데, Sorbus matsumurana 는 꽃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거치가 있고 쭈굴거리는 느낌이 있으며 잎의 톱니가 자잘하고 잎 끝이 둔하게 짧다.Sorbus sambucifolia 는 꽃잎 가장자리가 매끈하며 잎의 결각이 날카롭고 잎 끝이 긴 형이다.  아래 녀석은 오르는 길 남사면 관목림에서 만났는데 전체적으로 털이 없고꽃이 풍성하고 꽃잎의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톱니가 있고 열매가 작은 녀석이다.  일본 원산으로 혼슈중부 이북의 고산대에 자생하며 높이 2m 로 전주 무모이다.깃꼴잎의 소엽이 4~6쌍, 잎끝이 짧고 상반부에 거치가 있으나 하반부에는 전연으로 거치가 없다.소엽 기부는 뒤틀린 우너형, 뒷면은 .. 2024. 1. 28.
대설산식물 - 두메투구꽃(현삼과) Veronica stelleri Pall. ex Link var. longistyla Kitag.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백두산에서도 만났던 두메투구꽃 녀석으로 보이는데백두산에서 만났던 녀석보다 전초에 털이 좀 적고 잎의 거치가 더 많아 보여서 좀 갸웃거리게 한다. 일본 특산인 Veronica nipponica 도 있는데 꽃이 더 작고 왜소하다. 문모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11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6https://qweenbee.tistory.com/88956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516 https://qweenbee.tistory.com/8902327    https://qweenbee.tistory.com/8905524문모초 열매 : http.. 2024. 1. 28.
대설산식물 - 돌꽃속 Rhodiola ishidae (Miyabe & Kudô) H.Hara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정상 능선부 양지바른 바위 틈 숲에서 만났다. 큐식물 사이트와 삽화도감에서 확인한 결과 돌꽃속 Rhodiola ishidae 로 찾았다 동의어로 Rhodiola himalensis var. ishidae (Miyabe & Kudô) H.Jacobsen Sedum ishidae Miyabe & Kudô 가 있다. 쿠릴열도에서 일본 북해도, 혼슈 북부까지 분포하고 있는 돌나물과 돌꽃속으로 고산 양지바른 곳에 자란다. 2024. 1. 28.
대설산 -마타리속 Patrinia sibirica (L.) Juss.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능선부 암석지대에서 만난 마타리속 녀석이다 동부 유럽, 시베리아 몽골, 중국, 일본에 걸쳐서 폭 넓게 분포하고 있다. 시베리아에서 오호츠크해 연안까지,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 북쪽으로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야쿠티아, 마가단스크, 캄차카, 추코트카, 남쪽으로는 몽골을 거쳐 인접한 중국 영토와 헤이룽장까지 다양하다. 서부 지역은 남부 우랄 산맥에서 알려져 있다. 뚝갈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13 https://qweenbee.tistory.com/8903343 https://qweenbee.tistory.com/8903229 뚝갈 열매 : https:.. 2024. 1. 28.
대설산식물 - 산형과 당귀속 미야마젠고 Angelica multisecta (Maxim.)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꼴지로 하산하느라고 마음이 급해서 잎을 제대로 촬영하지 못했다. 쩝 잎새 모양은 북백두에서 봤던 고산바디랑 비슷하고 긴 총포는 부전바디랑 비슷하다. 일본 삽화 도감에서 당귀속을 아무리 뒤져도 맞아들어가는 게 없다. 개화 초기라 화서와 열매를 제대로 관찰할 수 없으니 학명찾기가 쉽지 않다. 고산 도감의 Coelopleurum multisectum 과 비슷한데 키가 굉장히 크다. 고산바디와 부전바디의 이명에 같은 속 Coelopleurum을 가진 학명이 있다. Coelopleurum multisectum (Maxim.) Kitag. 로 이미지를 검색하니 맞는 것 같다. 동의어로 Angelica multisecta (Maxim.) 있다. 결국 당귀속이 맞았다. 혼슈 중.. 2024. 1. 28.
대설산식물 - 산형과 당귀속 Peucedanum multivittatum Maxim 2023. 7. 10. 일본명 하쿠센보우후우 ハクサンボウウフウ 일본 중부 이북, 북해도 고산지대 초원지역 분포, 높이 20~30cm 왜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667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5 https://qweenbee.tistory.com/8893121 왜당귀 새싹 :https://qweenbee.tistory.com/8905754 참당귀 : https://qweenbee.tistory.com/8886505 https://qweenbee.tistory.com/8890746 https://qweenbee.tistory.com/8895145 https://qweenbee.tistory.com/8896601 https://.. 2024. 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