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식물4762

몽골식물 - 관모개미자리(석죽과 관모개미자리속) Eremogone capillaris (Poir.) Fenzl 2023. 6. 26. 몽골 2일차. 건초한 초지에 흔하게 보이는 이 석죽과 녀석은 벼룩이울타리가 아니다.뿌리 부분은 목질화 되어 있다. 관모개미자리로 보고 있는데 같은 지역에 변종인  Eremogone capillaris var. capillaris가 함께 분포하고 있어서...표본을 보면 변종일 수도 있음을 배제하지 못한다두 종 모두 원산지는 몽골, 북중국, 북한, S. 시베리아에서 북한, 아북극 아메리카까지다. 개미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8    https://qweenbee.tistory.co.. 2024. 2. 13.
북해도식물 - 노랑토끼풀 Trifolium campestre Schreb. 2023. 7. 9. 소운쿄 온천지대 숙소 주변. 원산지는 마카로네시아, 유럽, 이란, N. & NE. 열대 아프리카, 짐바브웨이다.이 녀석은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에서도 외래식물이다.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qweenbee.tistory.com/8893803 https://qweenbee.tistory.com/8895420  https://qweenbee.tistory.com/8910296 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9431    https://qwe.. 2024. 2. 12.
몽골식물 - 토끼풀속 Trifolium eximium Stephan ex DC. 2023. 6. 27.  사흘 째 흡수골로 이동하는 길.  흡수굴로 가는 길 하천가에 잠시 차를 세웠다. 다들 바쁠 걸음으로 자갈 밭을 누빈다.자갈이 많은 하천이라서 초지와는 또 다른 식물들이 나타난다. 자갈 틈 달구지풀 같은 커다란 콩과 꽃을 달고 있는 녀석, 3출엽을 가진 토끼풀속이다. 은은한 연붉은색의 꽃이 너무 이쁘다. 대장이 출발 시간을 재촉하여서 차분하게 들여다 볼 시간이 없다. 원산지는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극동 및 신장까지로 몽골에도 넓게 분포하고 있다.  애기노랑토끼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025  https://qweenbee.tistory.com/8891230https://qweenbee.tistory.com/8893411     https://.. 2024. 2. 12.
몽골식물 - 가는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fragile Turce. 2023. 6. 27. 흡수굴 가는 길 몽골의 식물은 생소한 녀석들이 많아서 정체를 밝히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어느 속 정도만이라도 짐작할 수 있는 녀석들은 그나마 이름찾기가 어렵지는 않다. 꽃의 모습으로 봐서 용머리속으로 보여서 확인하니 Dracocephalum fragile Turce.(몽골도감 467p)이다. 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식물 탐사기(158p)에서 가는용머리라 명명하였다 원산지는 시베리아에서 몽골까지로 다년생이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 2024. 2. 12.
몽골식물 - 냄새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foetidum Bunge 2023. 6. 26. 몽골. 몽골식물도감의 Dracocephalum moldavicum (469p) 이거나 김찬수 저 알타이식물 탐사기에 Dracocephalum foetidum(157P)로 보인다. 두 학명으로 이미지를 검색해 보니 Dracocephalum foetidum가 맞다. 김찬수박사가 냄새용머리라 명명해 두었다. 종소명 'foetidus' 가 '냄새가 나는' 또는 '악취가 나는' 이란 뜻을 가지고 있어서 그리 명명하였다고 한다. 원산지는 SW. 시베리아에서 NW. 몽골이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 2024. 2. 12.
몽골식물 - 꿀풀과 개박하속 Nepeta lophanthus = Lophanthus chinensis Benth. 2023. 6. 26-27. 몽골. 찾은 학명은 Lophanthus chinensis Benth. 이다. 큐에서는 Nepeta lophanthus (L.) Fisch. ex Loew의 동의어로 정리해 두고 있다. 원산지는 남부 시베리아에서 북부 중국이다. 파리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64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51 https://qweenbee.tistory.com/8898269 https://qweenbee.tistory.com/8898812 https://qweenbee.tistory.com/8905809 파리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900546 파리풀 새싹 : https://q.. 2024. 2. 12.
몽골식물 - 꿀풀과 익모초속 Leonurus deminutus V.I.Krecz. 2023. 6. 26. 몽골. 익모초를 매우 닮은 이 녀석은 익모초로 속을 뻔 했다.원산지는 시베리아에서 내몽골까지이다. 극동 러시아까지 유입되어 있다.  속단 : https://qweenbee.tistory.com/8886073      https://qweenbee.tistory.com/8886432https://qweenbee.tistory.com/8888700     https://qweenbee.tistory.com/8892399https://qweenbee.tistory.com/8894193      https://qweenbee.tistory.com/8896406https://qweenbee.tistory.com/8904906속단열매 :속단 신초 : https://qweenbee.tistor.. 2024. 2. 12.
몽골좁은잎해란초 Cymbaria daurica L. 2023. 6. 26. 몽골. 전초에 분백색이 강하고 선상 피침형의 잎에 비하여 몸집보다 더 큰 노란색 꽃을 피우는 모습이 꽤 어색한 녀석이다.원산지는 카자흐스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 중국 북부까지이다.   해란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69    https://qweenbee.tistory.com/8890590https://qweenbee.tistory.com/8889168    https://qweenbee.tistory.com/8892158https://qweenbee.tistory.com/8906004해란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23해란초 종자 : https://qweenbee.tistory.com/88984.. 2024. 2. 12.
몽골식물 - 개자리속 Medicago falcata L. 2023. 6. 26. 몽골. 자주개자리와 전체적인 느낌은 비슷한데 꽃색이 다르고 엽형도 더 작고 쪼박쪼박한 형태이다. 자세히 보면 차이가 있다. 이 노란색 꽃을 피우는 개지리 녀석을 노랑개자리라 부를 수 없는 게 노랑개자리는 이미 유입되어 있는 또 다른 녀석이 있기 때문이다. 원산지는 유럽에서 몽골과 인도 아대륙까지이다. 러시아와 일본에는 유입되어 있다. 개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77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285 https://qweenbee.tistory.com/8895419 https://qweenbee.tistory.com/8897526 https://qweenbee.tistory.com/8902415 https:.. 2024. 2. 11.
몽골식물 - 양귀비과 하이페쿰 에렉툼 Hypecoum erectum L. 2023. 6. 26. 몽골. 가오리 모양의 꽃봉오리 하나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생소한 잎을 가진 녀석이 양귀비과일 거라고는 상상도 안 되었다.몽골식물도감 몇 권이 아니었더라면 학명을 찾기가 요원했을 것이다. 분홍색 꽃을 피우는 녀석으로  Hypecoum lactiflorum  이 있다.  시베리아에서 몽골, 중국 북부 및 중부에 분포하는 일년초이다.출처  Hypecoum erectum - 표본 이미지 - Plantarium  개양귀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320   https://qweenbee.tistory.com/8896384https://qweenbee.tistory.com/8903854      https://qweenbee.tistory.com/8906.. 2024. 2. 11.
몽골식물 - 대청(배추과 대청속) Isatis tinctoria L. 2023. 7. 2. 몽골. 국내에서는 염색용으로 물을 들이려고 재배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거의 볼 수가 없다.해안사 어느 암자에는 조금씩 재배를 하여 그 종자를 계속 받고 있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베추속 장각과와는 다른 납작한 열매 모양이 아주 특이해서 기억에 남는 녀석을몽골탐사 마지막날 우중에 국립공원을 들어 갔다가 야생으로 자라는 것을 만났다.  무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6456     https://qweenbee.tistory.com/8900830https://qweenbee.tistory.com/8900831    https://qweenbee.tistory.com/8900847https://qweenbee.tistory.com/8902265무 뿌리 .. 2024. 2. 11.
대설산식물 - 구름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oligantha Sam. 2023. 7. 10. 대설산 구로다케. 고산에 자생하는 녀석이니.....백두산에서 만났던 좀꿩의밥, 두메, 구름이 있는데 셋 중에서 화서의 형태가 산형꽃차례라 구름꿩의밥으로 정리한다.  > Luzula oligantha    꽃은 어두운 갈색 또는 짙은 갈색으로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우산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 삼릉상 난형으로 화피보다 길다. 씨는 타원형, 길이 1.0~1.3mm, 폭 0.6mm다. 산새밥에 비해 외화피편과 내화피편의 길이가 거의 같고, 꽃밥이 수술대 길이의 절반 쯤이므로 구분된다. Luzula nipponica    산꿩의밥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높이가 평균 19.5cm 내외로서 작으며, 줄기는 다소 굵고 소화서 축은 평균 1.1cm 내외로서 두상화가 밀집된 형태로 나타.. 2024.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