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62 수정목(꼭두서니과 호자나무속) Damnacanthus major Siebold & Zucc. 2024. 2. 16. 제주. 수정목도 호자나무와 함께 어울려서 숲을 이루고 있지만 열매 결실이 조금 늦고 결실율도 떨어지고 있다.호자나부 보다 가시가 짧고 잎이 더 크다. 호자덩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55 https://qweenbee.tistory.com/8896096 https://qweenbee.tistory.com/8907528 호자덩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751 https://qweenbee.tistory.com/8892706https://qweenbee.tistory.com/8894957 https://qweenbee.tistory.com/8894958 h.. 2024. 2. 22. 호자나무(꼭두서니과 호자나무속) Damnacanthus indicus C.F.Gaertn. 2024. 2. 14. 제주. 구실잣밤나무 숲 아래 왜성관목 호자나무가 붉은 열매를 달고 밭을 이루고 있다.길다란 가시로 발톱 세우고 금방이라도 달려들 기세다. 호자덩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55 https://qweenbee.tistory.com/8896096 https://qweenbee.tistory.com/8907528 호자덩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751 https://qweenbee.tistory.com/8892706https://qweenbee.tistory.com/8894957 https://qweenbee.tistory.com/8894958 https://q.. 2024. 2. 22. 들개미자리(석죽과 들개미자리속) Spergula arvensis L. 2024. 2. 15. 제주. 개미자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89379 https://qweenbee.tistory.com/8890119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8 https://qweenbee.tistory.com/8905473https://qweenbee.tistory.com/8886917 https://qweenbee.tistory.com/8895814https://qweenbee.tistory.com/8896178 https://qweenbee.tistory.com/8896370 https://qweenbee.tistory.com/8899291 https://qween.. 2024. 2. 22. 개보리뺑이(국화과 개보리뺑이속) Lapsanastrum apogonoides (Maxim.) J.H.Pak & K.Bremer 2023. 2. 15. 제주. 늘 오전 시간에 찾아가서 꽃이 덜 핀 상태를 아쉽게 찍어 온 것 같은데숙소로 돌아오는 오후 시간이라 활짝 핀 꽃을 오랜만에 만날 수 있었다. 시기가 적절해서인지 개화도 많고 줄기도 덜 자라서 전초 담기에는 딱 적기였다. 뽀리뱅이 긴꽃뽀리뱅이개보리뺑이그늘보리뺑이화서산방상 원추화서 원추화서 3-4개의 두상화엉성한 산방상,두화 2개 또는 엉성한 산방상총포좁은 원주형, 내포편 8개4열 배열외포편 가장자리에 털내포편 5개내포편 8개설상화두상화 지름 7~8mm 두상화 지름 15mm 5-20개의 소화 6~9개18~20개수과갈색, 1.5~2mm, 능선11~13개, 3mm의 관모 있음갈색 방추형,무모 긴타원형 3~4.5mm, 능선3개, 2~4개의 뿔같은 돌기, 관모 없음 편평한 타원형 2~.. 2024. 2. 21. 몽골식물 - 가는용머리(꿀풀과 용머리속) Dracocephalum fragile Turce. 2023. 6. 28. 흡수굴. 하루 전 흡수굴로 오던 길에 마른 하천 자갈밭에서 만났던 가는용머리 녀석을또 그런 물 없는 하천 환경 자갈밭에서 또 만났다. 몽골도감에서 찾은 Dracocephalum fragile Turce.(467p)이다. 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식물 탐사기(158p)에서 가는용머리라 명명하였다. 원산지는 시베리아에서 몽골까지로 다년생이다. 흰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15 벌깨덩굴 : https://qweenbee.tistory.com/8887875 https://qweenbee.tistory.com/8899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5948 .. 2024. 2. 20. 몽골식물 -금매화속 Trollius asiaticus L. 2023. 6. 28. 흡수굴. 다들 금매화라 부르기에 그냥 금매화 종류겠거니 했는데벡두산에서 만나는 금매화속 녀석은 아니었다.동부 카자흐스탄에서 시베리아와 중국 북부까지 분포하는 Trollius asiaticus 이다. 애기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4(백두)애기금매화(대설산)https://qweenbee.tistory.com/8910733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4 금매화속(데설산): https://qweenbee.tistory.com/8911625 https://qweenbee.tistory.com/8910786 금매화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42 큰금매화 : .. 2024. 2. 20. 몽골식물 - 북극송이풀 (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oederi Vahl 2023. 6. 28. 흡수굴.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넓게 분포한다.최혁재 교수의 몽골도감 p540에서 학명을 찾았다.김찬수박사는 알타이식물 탐사기에서 이 녀석을 "북극송이풀"이라 명명하였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 2024. 2. 20. 몽골식물 - 꿩의다리속 Thalictrum foetidum L. 2023. 6. 30. 몽골. 흡수굴을 철수하고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던 첫 날 바위 숲을 탐사하던 중에 만났던 꿩의다리속 녀석이다.2022년 테를지국립공원을 탐사하던 중에 만났던 녀석과 같은 녀석으로 보인다. 2023. 7. 2. 몽골. 울란바토르로 돌아오던 중 바위산 정상부에서 만났던 꿩의다리속 녀석도 위의 녀석과 같은 녀석이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 2024. 2. 20. 몽골식물 - 꿩의다리속 Thalictrum alpinum L. 2023. 6. 28. 흡수굴, 수변 초지에서 소엽이 동글동글하고 키가 작은 꿩의다리속 녀석을 만났다.백두산 주변에서도 본 적이 없는 녀석이라 찾아낸 학명은 Thalictrum alpinum 으로원산지는 아북극 및 아고산 북반구이다. 다년생 식물이며 주로 아고산 또는 아북극 생물 군계에서 널리 분포하는 녀석이다.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 2024. 2. 20. 몽골식물 - 북극담자리꽃나무(장미과 담자리꽃나무속) Dryas oxyodonta Juz. 2023. 6. 28. 흡수굴. 다들 백두산에서 본 담자리꽃나무가 있다고 우르르 몰려갔다, 서로 몰릴 때에는 뒤늦게 가는 게 좋겠다 싶어서 다른 녀석들을 찾아서 촬영하다가 늦게서야 가니 두어 무더기 풍성하게 피어 있다.아무래도 백두산 것 하고 다른 녀석일 거라 생각하고 몽골도감을 확인해 보니 역시나 다른 녀석이었다.백두산의 담자리꽃나무는 Dryas octopetala L. var. asiatica (Nakai) Nakai 인데, 이 녀석은 Dryas oxyodonta 이다.헌데 2003년에 출판된 (2003)에 에 '북극담자리꽃나무'로 이미 국명이 명명되어 출판되어 있다. Dryas oxyodonta 의 분포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까지이다. 담자리꽃나무 : https://qweenbee.. 2024. 2. 20. 몽골식물 - 털복주머니란 2023. 6. 28. 흡수굴. 호수변 뒷산을 탐사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털복주머니란 때문이란다. 국내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 귀한 녀석이긴 하지만 내게는 그저 몽골의 많은 식물종 중의 한 녀석일 쁜. 그래도 이쁘긴 이쁘다. 2024. 2. 19. 변산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Eranthis byunsanensis B.-Y.Sun 2024. 2. 17. 제주. 무슨 놈의 봄비가 여름 장맛비처럼 연일 계속되는지. 작정하고 내려왔는데 하루 겨우 햇살 비치고 계속 빗방울이 오락가락한다. 제주도는 남쪽과 북쪽의 날씨가 다르고 서부지역에 비가 와도 동부지역은 밝은 구름이 덮힐 정도로 날씨가 차이가 심하다. 오늘은 종일 비가 예보되어 있지만 오전 시간에는 강수량이 적다기에 일단 절물휴양림 쪽으로 차를 몰았다. 비가 제법 내리는 서귀포 쪽과 달리 성판악을 넘어가니 하늘이 밝다. 둘레길 산책을 하려고 산책로에 들어서는데 여자분이 새끼노루귀 봉오리를 폰카로 담느라 집중하고 있다. 지나쳐가면서 흐린 날씨에 꽃잎을 다물고 있는 세복수초를 들여다 보았더니 그 여자분이 여기 꽃이 많다고 가리킨다. 알려주는 곳으로 시선을 돌리니 와우~! 변산바람꽃이 가득.. 2024. 2. 18.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