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4762 몽골식물 - 취나물속 Saussurea 2023. 6. 28. 흡수굴. 눈에 익은 듯한 국화과 취나물속 녀석이 나타났다. 잎 기부가 줄기를 감싸면서 줄기 아래로 날개처럼 흘러내리는 특징이 보인다. 백두산 언저리 숲에서 만났던 산골취와 아주 흡사하다. 2024. 3. 5. 몽골식물- 산호란 Corallorhiza trifida Châtel. 2023. 6. 28. 흡수굴. 난초쪽은 젬병인지라 꽃동무의 도움으로 산호란속이란 걸 알았다. 제비난초와 함께 이탄층 이끼 위에서 살고 있던 산호란속 녀석이다. 몽골도감에 산호란 Corallorhiza trifida Châtel.이 실려 있엇다. 2024. 3. 5. 몽골식물- 제비난초속 Platanthera oligantha Turcz. 2023. 6. 28. 흡수굴. 키가 7~8cm 정도로 작은 소형으로 습지 숲속 이탄층 꿀렁거리는 이끼에서 살고 있던 제비난초속 녀석이다. 학명은 못 찾겠다. 몽골도감에서 Platanthera oligantha 로 학명을 찾았다. 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358 구름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87 https://qweenbee.tistory.com/8898020 산제비란 : https://qweenbee.tistory.com/8892287 https://qweenbee.tistory.com/8886277 https://qweenbee.tistory.. 2024. 3. 5. 길마가지나무(인동과 인동속) Lonicera harae Makino 2024. 2. 17. 제주. 곶자왈 숲 제주백서향의 향기가 시샘이 나는 듯 길마가지가 향을 흘리기 시작한다. 올괴불나무 처럼 잎도 나기 전에 꽃부터 피우는 성질 급한 녀석이다. 괴불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56 https://qweenbee.tistory.com/889306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6 https://qweenbee.tistory.com/890478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96 https://qweenbee.tistory.com/8908297 괴불나무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9162 https://qweenbee.tist.. 2024. 3. 4. 제주백서향(팥꽃나무과 백서향속) Daphne jejudoensis M.Kim 2024. 2. 16. 제주. 숲속의 백서향은 폰으로 찍는게 더 풍성하다. 팥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6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050 https://qweenbee.tistory.com/8895402 https://qweenbee.tistory.com/8907020 삼지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27 https://qweenbee.tistory.com/8889327 https:.. 2024. 3. 3. 제주백서향(팥꽃나무과 백서향속) Daphne jejudoensis M.Kim 2024. 2. 18. 제주. 제주백서향의 향기가 곶자왈 숲을 휘감고 있어서 연신 코를 벌름거리게 한다. 지금쯤 아마도 절정으로 활짝 피어 났지 싶다. 팥꽃나무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05 https://qweenbee.tistory.com/8896767 https://qweenbee.tistory.com/8898934 https://qweenbee.tistory.com/89009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050 https://qweenbee.tistory.com/8895402 https://qweenbee.tistory.com/8907020 삼지닥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027 .. 2024. 3. 3. 산호수(자금우과 자금우속) Ardisia pusilla A.DC. 2024. 2. 16. 제주. 큰 하천 계곡 탐사 중에 만난 산호수. 음습한 숲 그늘이나 하천 계곡부에는 쉽게 만날 수 있다. 돌려나는 타원형잎 잎양면과 잎자루, 줄기에 환갈색 털이 매우 많다. 2024. 3. 2. 둥근빗살괴불주머니(양귀비과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 Fumaria officinalis L. 2024. 2. 16. 제주. 무 밭에 함께 어울려 살던 녀석이 그 기세가 많이 꺾여서 그림다운 풍경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햇살이라도 비춰주었으면 좀 나을 법도 한데....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 선괴불주머니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00167 선괴불주머니 신초: https://qweenbee.tistory.com/8891595 h.. 2024. 3. 1. 애기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Stachys agraria Schltdl. & Cham. 2024. 2. 16. 제주. 매년 기세가 더 등등해 지는 게 머잖아서 주변의 경작지와 노지를 점령해 버릴 것 같다. 석잠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259 https://qweenbee.tistory.com/8886579 https://qweenbee.tistory.com/8899501 https://qweenbee.tistory.com/8900407 https://qweenbee.tistory.com/8902893 https://qweenbee.tistory.com/8904910 https://qweenbee.tistory.com/8909212 석잠풀속 : https://qweenbee.tistory.com/8902777 털석잠풀(중국) : https://qwee.. 2024. 3. 1. 자주괴불주머니 신초(양귀비과 현호색속) Corydalis incisa (Thunb.) Pers. 2024. 2. 14. 제주. 눈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910589 선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506 https://qweenbee.tistory.com/8886648 https://qweenbee.tistory.com/8899816 선괴불주머니 열매: https://qweenbee.tistory.com/8894728 https://qweenbee.tistory.com/8900167 선괴불주머니 신초: https://qweenbee.tistory.com/8891595 https://qweenbee.tistory.com/8903616 가는괴불주머니 :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 2024. 3. 1. 산유자나무(이나무과 산유자나무속) Xylosma japonica (Thunb.) A.Gray ex H.Ohashi 2024. 2. 15. 제주. 제주도와 남해 섬지역에 산자락에 자생하는 암수딴그루 상록이다. 성목의 잔가지 잎과 유목의 잎은 형태가 약간 차이가 있는데 유목의 잎은 끝이 뾰족한 광난형으로 사스레피나무 잎과 비슷하다. 유목과 맹아지 가지와 장령목 원 기둥에 큰 가시가 엉겨 있는데 매우 날카로워서 찔리면 통증이 대단하다. 장령목 위쪽 잔가지에는 가시가 없고 엽형도 차이가 있어서 잔가지만 보면 산유자나무인지 알아채기 쉽지 않다 이름만 산유자나무일 뿐 유자나무와는 전혀 다른 녀석으로 열매는 팥알보다 작고 둥글며 까맣게 익는다. 어린 유목이다 금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950 하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172 귤 : https://.. 2024. 2. 29. 용설란(아스파라거스과 용설란속) Agave americana L. 2024. 2. 15. 제주. 세상에나 !! 용설란 꽃대가 거의 7m가 넘을 정도이다.건물 3층 높이에 육박하고 있다 옆에 있는 하귤 나무가 난쟁이처럼 보인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다육식물이며 한국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기른다. 잎이 용의 혀같이 생겼다고 용설란이라고 한다. 2024. 2. 2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