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식물/몽골 식물482 설령쥐오줌풀(마타리과 쥐오줌풀속) 2015. 7. 27. 몽골 흡수굴.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는 설령쥐오줌풀이 아닐까 하는데....전초에 잔털이 있다고 한다 잎이 우상으로 완전하게 갈라져 있고, 잎자루 기부와 엽축, 잎 가장자리에 잔털이 많이 보인다. 설령쥐오줌풀은 쥐오줌풀에 비하여 털이 많고 화경과 소화경, 엽병에 선모가.. 2016. 1. 31.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2 2015. 7. 27. 몽골 흡스굴. 화서가 마치 노랑투구꽃과 비슷한 녀석이다. 노랑투구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26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46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02 https://qweenbee.tistory.com/8899995 https://qweenbee.tistory.com/8901322 https:/.. 2016. 1. 30. 미나리아재비과 초오속 1 2015. 7. 27. 몽골 흡수굴. 가늘고 깊게 세열한 잎의 모습이 각시투구꽃과 거의 흡사하다. 노랑투구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26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46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02 https://qweenbee.tistory.com/8899995 https://qweenbee.tistory.com/89013.. 2016. 1. 30. 제비고깔(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Delphinium grandiflorum L. 2015. 7. 30. 몽골 테를지. 비슷한 초오속이 몇 종 되었지만 흡수굴 숲 속에서 만났던 잎이 이렇게 코스모스처럼 가는 선형으로 세열하는 녀석이 제비고깔이 아닐까 한다 노랑투구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4 https://qweenbee.tistory.com//8890525 https://qweenbee.tistory.com//8890626 https://qweenbee.tistory.com//8888904 https://qweenbee.tistory.com//8894387 https://qweenbee.tistory.com/8896462 https://qweenbee.tistory.com/8896702 https://qweenbee.tistory.com/.. 2016. 1. 30.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Delphinium iliense Huth 2015. 7. 27. 몽골 흡수굴. 꽃 모양은 역시 제비고깔의과 흡사한데 줄기 잎이 없고 아래쪽에 커다란 근생엽 2~3장이 있다. 같은 모델 저녁 시간 비오는 숲에서 큰제비고깔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779https://qweenbee.tistory.com/8890781 https://qweenbee.tistory.com/8896405 https://qweenbee.tistory.com/8901402 https://qweenbee.tistory.com/8903033 https://qweenbee.tistory.com/8903116 https://qwe.. 2016. 1. 30. 몽골식물 - 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Delphinium triste Fisch. ex DC. 2015. 7. 27. 몽골 흡수굴. 꽃색이 검어서 사그러지고 있는 중인 줄 알았더니 원래 색이 검은색이었다.이우철 도감의 표본 사진과 도감 상 내용으로 봐서는 이 녀석이 제비고깔에 가장 근접하는 것 같다. 까 큰제비고깔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779https://qweenbee.tistory.com/8890781 https://qweenbee.tistory.com/8896405 https://qweenbee.tistory.com/8901402 https://qweenbee.tistory.com/8903033 https://qweenbee.tistory.com/.. 2016. 1. 30. 제비고깔(미나리아재비과 제비고깔속) Delphinium grandiflorum L. 2015. 7. 28. 몽골 흡수굴. 꽃 모양은 비슷한데 잎 모양이 다양한 제비고깔류가 몇 종 된다.그 중에 이 녀석은 잎이 선형으로 세열하는 모양이다.이우철 도감에는 가지제비고깔의 잎 모양과 비슷한데 다들 이 녀석을 제비고깔이라고 하니. 2015. 7. 26. 몽골 울란바토르. 큰제비고깔 : https://qweenbee.tistory.com/88884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779https://qweenbee.tistory.com/8890781 https://qweenbee.tistory.com/8896405 https://qweenbee.tistory.com/8901402 https://qweenbee.tistory.com/890303.. 2016. 1. 30. 몽골식물 -긴꽃자루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Pedicularis longiflora Rudolph 2015. 7. 27. 몽골 흡수굴. 초록의 호수변 초지에 점점이 놓여 있던 노란 꽃무더기가 어찌나 신기하던지현삼과 로 보이긴 하는데 전혀 예상하지 못할 꽃 모양과 잎의 비 매칭에 다들 한 마디씩 나름대로 즉석에서 이름을 불러주었던 녀석이다. 큐와 최혁재교수의 몽골식물도감에서 찾은 학명이 Pedicularis longiflora Rudolph 이다. 김찬수박사의 "알타이식물 탐사기" 에는 '긴꽃자루송이풀' 로 명명하여 올려져 있어서 국명은 그에 따라 정리한다.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에서 서부 시베리아, 중국, 몽골이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 2016. 1. 30. 현삼과 송이풀속 2 2015. 7. 27. 몽골 흡수굴. 또 다른 송이풀 속 녀석이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큰송.. 2016. 1. 30. 몽골식물 -현삼과 송이풀속 1 Pedicularis fetisowii Regel 2015. 7. 27. 몽골 흡수굴. 백두산에서 만났던 구름송이풀과 거의 흡사한데.....나중에 몽골식물도감 p536에 실린 학명을 찾았다.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 2016. 1. 30. 송이풀(현삼과 송이풀속) 2015. 7. 27. 몽골 흡수굴. 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699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5 https://qweenbee.tistory.com/8903188 https://qweenbee.tistory.com/8896828 https://qweenbee.tistory.com/8906008 https://qweenbee.tistory.com/8908501 송이풀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899147 큰송이풀 : https://qweenbee.tistory.com/8904215 https://qweenbee.tistory.com/8910642(열매) 대송이풀 : https://qwe.. 2016. 1. 29. 몽골식물 -열당과 Odontites vulgaris Moench 2015. 7. 28. 몽골. 물 가 초지에서 만났던 녀석인데 절국대랑 참 비슷하게 생겼다.학명을 찾으니 Odontites vulgaris, 현삼과가 아닌 열당과이다. 반기생 습지식물이다. 출처 : flora of china 중국식물지 이미지 펌 9~12번 Odontites vulgaris : https://qweenbee.tistory.com/8898780 https://qweenbee.tistory.com/8911696 2016. 1. 29.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