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들꽃자료실18957

개보리뺑이 새싹 Lapsanastrum apogonoides (Maxim.) J.H.Pak & K.Bremer 2024. 2. 15. 제주.  뽀리뱅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375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1     https://qweenbee.tistory.com/8897352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0     https://qweenbee.tistory.com/8900800    https://qweenbee.tistory.com/8900401     https://qweenbee.tistory.com/8902621뽀리뱅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6056뽀리뱅이 신초 :  ht.. 2024. 2. 21.
왜란(백합과 소엽맥문동속) Ophiopogon japonicus 'nana' 2024. 2. 14. 제주. 둘레길 초입 조경원 식물을 가꾸는 곳에서 파란 열매를 발견하였다. 일본 원산의 원예종이다. 조경용 지피식물로 많이 심는데 마치 소엽맥문동 열매 같은 파란 열매는 처음 본다. 소엽맥문동속 : 실맥문동, 소엽맥문동, 왜란, 맥문아재비 -푸른색 열매를 맺는다 맥문동속 : 맥문동, 개맥문동, 좀맥문동 -검은색 열매를 맺는다 소엽맥문동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363 https://qweenbee.tistory.com/8889353 https://qweenbee.tistory.com/8894903 https://qweenbee.tistory.com/8898669 https:/.. 2024. 2. 19.
늪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aricetorum = Ranunculus hispidus var. caricetorum (Greene) 2012. 6. 4. 수목원. 오래 전 식물원 연못 주변 바닥에서 만났던 종이다.  줄기가 바닥에 포복하며 옆으로 벋어 나가고 있었다.눈미나리아재비란 이름표를 기억하고 담아 와서 이름을 찾아보니 그런 국명이 없고 기는미나리아재비란 녀석이 있다기는미나리아재비는 줄기에 털이 있다는데 이 녀석은 줄기에 털이 안 보여서 긴가민가 하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3출엽이며 소엽은 엽병이 있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4-8cm로서 2-3개가 완전히 갈라지고 있다. 열편은 끝이 뾰족하고 2-3개로 중렬하며 결각상의 톱니가 보인다. 잎자루에는 털이 안 보였다학명을 확인하지 못하고 그냥 기는미나리아재비일까 하고 올려 두었더랬다. 기는미나리아재비와는 다른 종인 것 같은데..........북아메리카에 자생하는 늪미나리아재.. 2024. 1. 22.
소엽맥문동(백합과 맥문아재비속) Ophiopogon japonicus (Thunb.) Ker Gawl. 2023. 11. 28. 남도. 푸른 보석이 둥지 속에 소복하다. 무덤 주변이라 잎이 예취기에 잘려서 좀 아쉽긴하다. 연분홍빛을 띤 흰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 10여 송이가 총상꽃차례로 늘어서며 길이 4~5mm다. 맥문아재비와 비교해서 잎이 소형이고, 꽃차례가 달리는 줄기가 꽃차례의 1/3 정도로 짧아서 꽃차례 전체에 꽃이 퍼져서 달리는 것처럼 보이는 점과 뿌리가 덩이뿌리로 굵어지는 점이 다르다. 소엽맥문동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43 https://qweenbee.tistory.com/8891363 https://qweenbee.tistory.com/8889353 https://qweenbee.tistory.com/8894903 https://qweenb.. 2024. 1. 9.
산물머위(국화과 물머위속) 새싹 2018. 9. 16. 제주. 2017. 9. 2. 제주. 털머위 : https://qweenbee.tistory.com/8891115   https://qweenbee.tistory.com/8891012https://qweenbee.tistory.com/8889205    https://qweenbee.tistory.com/8898362https://qweenbee.tistory.com/8898436    https://qweenbee.tistory.com/8900339https://qweenbee.tistory.com/8904663     https://qweenbee.tistory.com/8909691 털머위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947  https:/.. 2024. 1. 9.
검양옻나무/산검양옻나무 동아 비교 2023. 11. 28.  검양옻나무 동아 표면에 털이 없다(잎, 잔가지, 열매자루에 모두 털이 없다)산검양옻나무 동아 표면에 갈색 털이 덮혀 있다.(잎양면, 잔가지, 열매자루, 화죽에 갈색털이 많다) 산검양옻나무동아 인편에 털이 없다   산검양옻나무 인편이 없이 나출되어 있으며 표면에 긴 갈색털이 덮여 있다.열매자루와 축, 어린 가지 표면에도 털이 있다.(2021. 10. 24. ) (2022. 11. 15.) (2023. 11. 28.) 검양옻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0검양옻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97  https://qween.. 2024. 1. 9.
검양옻나무(옻나무과 옻나무속) 열매 Toxicodendron succedaneum (L.) Kuntze 2023. 11. 28. 남도. 늦은 가을 남도의 섬에는 검양옻나무가 붉게 단풍이 들어서 곱다.남부지역에 흔한 옻나무속 산검양옻나무는 동아와 잎양면에 갈색 털이 많지만드물게 보이는 검양옻나무는 열매와 동아에 털이 없다.잎은 어긋나며 깃꼴겹잎으로 길이 30cm이다. 작은잎은 7~15장이며 피침상 장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7~10cm이다. 검양옻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801     https://qweenbee.tistory.com/8907910검양옻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4597  https://qweenbee.tistory.com/8894600https://qweenbee.tistory.com/88.. 2024. 1. 8.
섬다래(다래과 다래속) Actinidia ruf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2023. 11. 28. 남도. 오랜만에 멀리 섬으로 가을탐사를 다녀왔다. 섬다래 잎이 아직 옅은 연두빛으로 무성하여 열매가 잘 드러나지 않아서 아쉬웠지만 하늘을 쳐다 보느라고 목이 좀 빠졌다. 제주도와 호남의 섬지역에 분포한다. 다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7 https://qweenbee.tistory.com/8885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1 https://qweenbee.tistory.com/88939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4 https://qweenbee.tistory.com/8899576 https://qweenbee.tistory.com/8909797 htt.. 2024. 1. 6.
다래(다래과 다래속)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2023. 6. 1. 경북. 잘 익은 열매는 정말 상큼한 맛을 전해준다 검은색 꽃밥도 매력이 있다. 2023. 9. 6. 다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7 https://qweenbee.tistory.com/8885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1 https://qweenbee.tistory.com/88939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4 https://qweenbee.tistory.com/8899576 https://qweenbee.tistory.com/8909797 https://qweenbee.tistory.com/8910665 다래 열매 : https://qweenbee.ti.. 2024. 1. 6.
개다래(다래과 다래나무속) Actinidia kolomikta (Maxim. & Rupr.) Maxim. 2023. 6. 23. 경북. 다래에 비하여 꽃밥이 노란색을 띤다. 독특한 모양의 열매는 그 이름 대로 먹을 수는 없다.(2023. 9. 6. ) 다래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8237 https://qweenbee.tistory.com/8885981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1 https://qweenbee.tistory.com/8893920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4 https://qweenbee.tistory.com/8899576 https://qweenbee.tistory.com/8909797 https://qweenbee.tistory.com/8910665 다래 열매 : https.. 2024. 1. 5.
백두산식물 - 좀꿩의밥(골풀과 꿩의밥속) Luzula arcuata (Wahlenb.) Sw. subsp. unalaschkensis (Buchenau) Hultén 2023. 9. 8. 북백두. 백두산 천지에 오르면서 천지는 뒷전이고 다 말라빠진 이 녀석 담는다고 퍼질러 앉아서 카메라 들이대고 있으니 중국 관광객들이 뭔가 대단한 거 찍는 줄 알고 모두 한 번씩 들여다 보고 지나간다. 국내에서는 거의 만나볼 수 없는 녀석이라 백두산에서 반갑게 만난다. 한반도생물다양성 포털에는 이 녀석 학명을 Luzula wahlenbergii Rupr. 로 기재하고 있다. 꽃줄기는 길이 15~20cm, 여러 개가 직립하고 잎 너비가 더 가늘고 꽃차례 단위당 꽃이 2~3개 달린다. 꿩의밥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3414 https://qweenbee.tistory.com/8895395 https://qweenbee.tistory.com/8900.. 2023. 12. 20.
선이질풀(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Geranium krameri Franch. & Sav. 2023. 10. 경북. 참 오랜만에 만난 녀석이다.  가까운 낮은 산지에 이 녀석을 만날 수 있어서 반갑다.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60~90cm, 가지를 치고 전체에 아래로 향하는 털이 있다. 뿌리잎은 둥글고 길이 7~10cm, 5~7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잎자루는 길이 30cm쯤이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갈래잎은 난형,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 뒷면 맥에 긴 털이 있다. 턱잎은 난형, 끝은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핀다. 꽃받침잎은 난형, 끝은 뾰족하고 겉에 5~7개의 줄이 있다. 꽃잎은 길이 1.2~1.5cm, 밑부분은 쐐기 모양, 짙은 자주색 줄과 흰색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 5개로 갈.. 2023.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