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야생초9297 방울비짜루(백합과 비짜루속) Asparagus oligoclonos Maxim. 2025. 5. 23. 강원도.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e.tistory.com/89011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4 천문동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693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5https://qweenbee.t.. 2025. 5. 31. 비짜루(백합과 비짜루속)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2025. 5. 23. 강원도. 오랜만에 비짜루 녀석 꽃 핀 걸 만났다.꽃자루가 거의 안 보일 정도로 잎겨드랑이에 바투 붙어 있다. 비짜루속 중에서 꽃자루가 가장 짧은 녀석으로 어두운 숲을 좋아한다. 천문동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2076 https://qweenbee.tistory.com/8896023https://qweenbee.tistory.com/8896873 https://qweenbee.tistory.com/8897760https://qweenbee.tistory.com/8901126 https://qweenbee.tistory.com/890537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54 천문동 열매 :.. 2025. 5. 31. 꽃꿩의다리(미나리아재비과 꿩의다리속) Thalictrum petaloideum L. 2025. 5. 21. 충북. 꽃꿩의다리 꽃밭이 울타리 공사로 아래쪽이 다 망가졌다.예전 철망을 기어 올라 풍성하게 꽃을 피워주던 종덩굴도 다 사라져 버렸다. ㅠㅠ 꿩의다리속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꽃을 피우는 녀석이다.소엽이 동글동글한 느낌을 주며 백색 꽃차례가 풍성하다. 종덩굴 잎에 기댄 꽃꿩 꿩의다리 : https://qweenbee.tistory.com/8893932 https://qweenbee.tistory.com/8886082https://qweenbee.tistory.com/8896031 https://qweenbee.tistory.com/8904774 https://qweenbee.tistory.com/8907612꿩의다리 열매 : https://qweenbee.tisto.. 2025. 5. 29. 두메애기풀(원지과 원지속) Polygala sibirica L. 2025. 5. 23. 강원도. 오랜만에 녀석을 들여다 본다.러시아, 몽골, 중국 및 유럽에 분포하며, 우리 나라 강원도 석회암 지역에서 볼 수 있는 녀석이다.애기풀보다 잎이 더 길다.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 2025. 5. 28. 별 모양 덩굴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ex Pax & Hoffm. 2025. 4. 25. 경북. 계곡부에서 별 모양의 꽃을 피우는 덩굴개별꽃으로석죽과 개별꽃속 박사학위 논문에 덩굴개별꽃 변종으로 보고 별개별꽃으로 신칭하여 실려 있던 녀석이다. 헌데 이 녀석은 덩굴개별꽃의 변이 폭 범주로 보는 견해가 있어서 더 이상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 곳은 이 (별)개별꽃을 세번 째로 찾은 장소로 계곡부의 덩굴개별꽃 사이에서 더러 이런 모습이 발견된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 2025. 5. 27. 겹꽃 태백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longipedicellata S.Lee, K.I.Heo & S.C.Kim 2025. 5. 5. 경북. 형질이 고착되어 있는 태백개별꽃 겹꽃이다. 겹꽃 벚나무, 만첩풀또기, 만첩빈도리 등, 꽃잎이 겹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이는 수술이 꽃잎으로 변한 경우로 열매를 달지 못한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s://qweenbee.tistory.com/8895605 https://qweenbee.tistory.com/8897581 https.. 2025. 5. 27. 퉁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Polygonatum inflatum Kom. 2025. 5. 21. 경북. 실처럼 길다란 꽃차례자루가 특징이다.작고 좁은 피침형의 포를 가지고 있다. 왕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7https://qweenbee.tistory.com/8899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8052https://qweenbee.tistory.com/890805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3왕둥굴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86 종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04 https://qw.. 2025. 5. 27. 용둥굴레(백합과 둥굴레속)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2025. 5. 21. 경북 이웃 산. 큰 난형의 넓은 포가 특징인 둥굴레속 녀석이다. 왕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0 https://qweenbee.tistory.com/8897507https://qweenbee.tistory.com/8899250 https://qweenbee.tistory.com/8908052https://qweenbee.tistory.com/8908053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3왕둥굴레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2486 종둥굴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04 https://qweenbee.tis.. 2025. 5. 27. 갯완두(콩과 연리초속) Lathyrus japonicus Willd. 2025. 5. 19. 동해안. 오랜만에 이 녀석에게도 잠시 시선 머문다. 2025. 5. 10. 제주. 산새콩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15 https://qweenbee.tistory.com/8891746https://qweenbee.tistory.com/8891747 https://qweenbee.tistory.com/8895660https://qweenbee.tistory.com/8891938 https://qweenbee.tistory.com/88993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661산새콩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336 https://qweenbee.ti.. 2025. 5. 25. 다북개미자리(석죽과 개미자리속) Scleranthus annuus L. 2025. 5. 19. 강원도. 동해안을 달리다가 아무데나 모래밭을 들어서면이렇게 덤으로 이런 녀석들도 만난다. 2025. 5. 25. 떡갈나무(참나무과 참나무속) Quercus dentata Thunb. 2025. 4. 25. 앞산. 떡갈나무 암꽃을 제대로 담은 적이 없어서 마침 개화한 녀석을 부여잡고 눈씨름을 했다.수꽃은 주렴처럼 아래로 줄줄이 늘어져 있다. 암꽃이다 꽃자루를 세우는 경우도 있는데 암꽃이 끝에, 아래는 수꽃이 함께 핀다 상수리나무 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7413 https://qweenbee.tistory.com/8907016 https://qweenbee.tistory.com/8912024상수리나무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86360 https://qweenbee.tistory.com/8904533상수리나무 동아 : https://qweenbee.tistory.co.. 2025. 5. 24. 제비붓꽃(붓꽃과 붓꽃속) Iris laevigata Fisch. 2025. 5. 19. 강원도. 4~5일 전부터 피기 시작한 모양이다.붓꽃은 개화 기간이 길지 않아서 일주일만 늦어도 끝물이라 개화 정보를 빨리 알아야 한다.4월 하순에 성급하게 올라왓다가 꽝 치고 발길 돌렸더랬는데소청도에서 돌아오자 말자 부랴부랴 올라 왔더니 그런대로 녀석을 담을 수 있었다. 꽃창포는 꽃줄기가 갈라지고 외화피에 노란색무늬가 있는데이 녀석은 꽃줄기가 갈라지지 않고 외화피 안쪽에 흰색을 띠는 점이 다르다.여름에 피고 잎이 좁은 붓꽃에 비하여 잎이 넓고 봄에 피는 점도 차이가 있다. 난장이붓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932 https://qweenbee.tistory.com/8903955https://qweenbee.tistory.com/8904.. 2025. 5. 23. 이전 1 2 3 4 5 6 ··· 7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