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야생초9293 대청지치(지치과 대청지치속)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 2025. 5. 15. 섬 조사 사흘 째.한낮이 되어도 안개가 걷히지 않는다.인천에서 8시 30분에 출항해야 할 배가 출항을 하지 못하고 대기하다가12시 경에 출발하여 3시가 넘은 시각에 도착을 하였다. 안개 속에서도 조사는 진행이 되었다.둘 째 날 마을 구석에서 어렵게 찾아내었던 대청지치를사흘 째 날 도로변과 경작지 주변 여러 곳에서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서 너무 반가워서 감탄사거 절로 나왔다.대청도에서도 이런 군락은 본 적이 없었는데 소청도의 대청지치 분포는 대단하였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 2025. 5. 19. 반디지치(지치과 지치속) Lithospermum zollingeri A.DC. 2025. 5. 서해섬. 이 섬의 식물상 조사 목록에는 반디지치가 없었다. 그런데 이 시기 숲 바닥에는 반디지치가 여기 저기 파랗게 별을 깔아 놓고 있었는데10년 가까이 식물분포를 조사 했다면서 어찌 발견을 못했을까? 아마도 개화시에 조사하지 않아서 꽃이 진 후 길게 포복하는 덩굴을 못 알아본 게 아닌가 싶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om/8888061 https://qweenbee.tistory.com/8888243https://qweenbee.tistory.com/8907245지치 열매 : https://qweenbee.tist.. 2025. 5. 18. 대청지치(지치과 대청지치속)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 2025. 5. 13. 경기. 중국 중부 및 남동부에서 한국까지 분포하고 있으며우리나라 에서는 대청도와 소청도에서 만날 수 있는 분포가 제한적인 녀석이다. 소청도 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이틀 째 소청도를 조사하는 중에 겨우 찾아낸 녀석이다.오래 전에는 마을 텃밭 가장자리 등에서 보았다는데 다 사라져 버렸고 올해 보았다는 정보를 대충 설명듣고서 눈치 껏 뒤져서 결국 찾아내었다. 기를 쓰고 찾아낸 이유는 이 녀석이 우선 확보 종으로 보너스 점수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ㅎㅎ 반갑다 아그야~!!너 참 오랜만에 본다. 지치 : https://qweenbee.tistory.com/8890042 https://qweenbee.tistory.com/8888142https://qweenbee.tistory.c.. 2025. 5. 16. 갈퀴지치(지치과 갈퀴지치속) Asperugo procumbens L. 2025. 5. 13. 12시 30분 출항하는 배를 타려고 인천으로 향하는 모바일 배표를 확인하던 동행 연구원이 배표가 환불되었다고 당황해 한다모바일 배표를 전날 확인하였는데 무슨 일인가 싶어서 갓길에 차를 세우고 확인하니 내 표도 환불이다. 헐!!5일간 소청도 식물상 조사로 출장인데 이 무슨 황당한 일인가 싶어서 폰을 뒤지니까 기상 악화로 출항이 통제되었다는 메세지가 6시 30분 경에 와 있다.안동에서 5시 40분에 출발하여 운전 중이라 메세지를 미처 확인을 못 했던 것이다.결국 인천에서 하루를 숙박하고 내일 아침 9시 배로 소청도로 들어간다.표본 건조에 필요한 골판지와 신문지를 허리 높이 만큼 야책으로 묶어서 실은 손수레를 함께 동행하는 연구원이 끌고 다니느라 고생이다 어쨌든 계획보다 하루 늦게 .. 2025. 5. 16. 보현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 bohyeonsanensis M.Kim & H.Jo 2025. 5. 6. 경북. 간신히 찾았다.!!2시간을 뒤졌다. 부슬거리는 비를 맞으면서. 보현산에서 발견이 되어 이름을 얻은 보현개별꽃은 태백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교잡종이라 결실은 안된다. 아직 늦둥이 태백개별꽃이 꽃을 피우는 게 있긴 하지만4월 24일에 한창 꽃을 피우던 태백 개별꽃은 이미 대부분 열매를 달고 고개를 땅에 박을 듯이 축 늘어져 있다.그 때 마악 피기 시작하던 덩굴개별꽃은 지금 한창 꽃을 피우고 있어서 태백과 덩굴의 개화 절정 시기가 약간 차이가 있다. 테크 주변을 뒤지면서 일단 태백 비슷한 녀석의 꽃잎이 5~6장이 나타나면꽃자루와 꽃받침의 털을 확인하는데 털이 전혀 보이지 않거나 계속 덩굴개별꽃과 같은 털만 보였다.꽃이 진 녀석 중에서도 꽃받침이 5개로 보이는 녀석을 만져 보면 도돌.. 2025. 5. 9. 태백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longipedicellata S.Lee, K.I.Heo & S.C.Kim 2025. 4. 26. 강원도. 태백에서 만난 태백개별꽃. 큰개별꽃에 비하여 꽃자루가 2배 정도 길고 꽃받침과 꽃자루에 털이 없다.열매 결실기에 꽃자루가 아래로 늘어져서 땅에 쳐박는 특징이 있다. 경북의 산에서도 보이는 대부분이 큰개별꽃이 아니라 태백개별꽃이다. 꽃받침과 꽃자루에 털이 없다. 결실기에는 꽃자루가 이렇게 길어져서 아래로 늘어진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00 http.. 2025. 5. 9. 덩굴개별꽃(석죽과 개별꽃속)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ex Pax & Hoffm. 2025. 4. 28. 5. 7. 청량과 명봉에서 보현이와 비교를 위하여 다른 곳에서 덩굴개별꽃도 촬영 끝이 둔한 5장의 꽃잎이 보현개별꽃과 덩굴개별꽃의 꽃잎 모양의 닮은 점(태백이도 꽃잎이 둔한 경우도 나타난다) 덩굴개별꽃의 꽃받침과 꽃자루의 백색털이 아주 풍성하다. 덩굴개별꽃은 줄기 아래쪽에서 가지를 많이 만든다.보현개별꽃도 자라면서 가지가 많이 발달한다. 숲개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89795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0https://qweenbee.tistory.com/889173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00https://qweenbee.tistory.com/88936.. 2025. 5. 9. 벋음씀바귀(국화과 선씀바귀속) Ixeris japonica (Burm.f.) Nakai 2025. 5. 5. 강원도. 4일간의 연휴에다가 어린이날과 초파일이 낀 연휴라 도로가 복잡하다.습지에 가까워지는데 깜짝 놀랐다. 습지 주변의 밭에 유채를 잔뜩 심어놓아서 완전 관광지를 만들어 놓았다.그 유채밭 둘레에 산책로를 만들어 놓아서 사람들이 얼마나 몰렸는지.....임시 주차장에 차량이 꽉 차고 도로까지 점령하고 있다. 이런 젠장이다.이 시기가 지나면 사람들이 덜 몰리겠지?보려던 녀석은 꽃대도 안 올리고 있어서 벋음씀바귀만 딜따 보았다. 고들빼기 : https://qweenbee.tistory.com/8889983 https://qweenbee.tistory.com/8888076https://qweenbee.tistory.com/8899366 https://qweenbee.tist.. 2025. 5. 8. 애기봄맞이(앵초과 봄맞이꽃속) Androsace filiformis Retz. 2025. 4. 30. 경남. 이 쪼꼬미를 국내에서는 오랜만에 만난다. 고향 집 둘레가 논이라 논둑에는 오만 봄풀들이 지천으로 자랐는데그 중에도 애기봄맞이가 우산처럼 꽃차례를 펼치고 쌀알보다 작은 꽃잎 피우는 모습은 흔하게 만나던 모습이었다. 해서 봄날 눈둑옆에 업드려서 욘석을 촬영하곤 했었는데 지금은 흔적도 없다.잡초를 제거한다고 뿌려대는 제초제 때문에. 그 오래 전 만남의 녀석을 경남의 습지 식물상을 조사하는 중에 만났으니 어찌 반갑지 않으리... 중국과 몽골 쪽에는 애기봄맞이와 비슷한 명천봄맞이라는 녀석이 있다잎자루가 없고 톱니가 크며 꽃받침에 능각이 있는 점이 애기와 구분이 된다. 열매다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ttps://qweenb.. 2025. 5. 7. 봄맞이(앵초과 봄맞이꽃속) 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2025. 4. 동네 갯봄맞이 :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6 https://qweenbee.tistory.com/8891785https://qweenbee.tistory.com/8890057 https://qweenbee.tistory.com/8890058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5 https://qweenbee.tistory.com/8893686https://qweenbee.tistory.com/889570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10https://qweenbee.tistory.com/8903879 https://qweenbee.tistory.com/8904229h.. 2025. 5. 7. 애기풀 흰둥이(원지과 원지속) Polygala japonica Houtt. 2025. 5. 3. 동네. 뒷산 자락의 애기풀 녀석은 벌써 열매를 달고 있다.출장에 탐사에 싸돌아 댕기다가 이 녀석 개화기를 놓쳐 버렸다. ㅠㅠ 원지 : https://qweenbee.tistory.com/8888131 https://qweenbee.tistory.com/8888104https://qweenbee.tistory.com/8888103 https://qweenbee.tistory.com/8890024https://qweenbee.tistory.com/8890190 https://qweenbee.tistory.com/8891797https://qweenbee.tistory.com/8893755 https://qweenbee.tistory.com/8906459https:.. 2025. 5. 6.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Besser 2025. 4. 26. 강원도. 둥근털제비꽃 : https://qweenbee.tistory.com/8895355 https://qweenbee.tistory.com/8895356 https://qweenbee.tistory.com/8897207 https://qweenbee.tistory.com/8899044 https://qweenbee.tistory.com/8899068 https://qweenbee.tistory.com/8900690 https://qweenbee.tistory.com/8900691 https://qweenbee.tistory.com/8903588 https://qweenbee.tisto.. 2025. 5. 6. 이전 1 2 3 4 5 6 7 ··· 7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