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사초과435 실청사초(사초과) 2022. 5. 20. 경북. 군 부대 시설에서는 계속 방송이 흘러 나온다. 민간인은 부대 시설에 접근하거나 사진 촬영을 하지 마라고 정상부의 군 시설을 오른 쪽으로 끼고 남사면 등산로를 따라 하산하는데 실청사초가 즐비하다. 사초공부가 쉽지 않다. 아직도 청사초, 실청사초, 가지청사초에서 한 발짝도 더 못나가고 있다. ㅋ. 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1 가지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0 실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41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59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15 .. 2022. 5. 23. 실사초(사초과) 2022. 5. 20. 경북. 정상 북사면을 옆으로 이동하는 등산로, 실사초가 계속 나타난다. 실처럼 가는 여리여리한 잎과 줄기가 보호본능을 불러 오게 한다. 2022. 5. 23. 한라사초(사초과) Carex erythrobasis H.Lév. & Vaniot 2022. 5. 20. 경북. 등산로를 따라 탐사하는데 이 녀석을 보고 녹빛사초인가? 했더니 꽃차례 모습이 다르다.줄기 아래 엽초의 색이 자색기운이 강한 한라사초였다.매년 한번 씩은 마주치는데도 아직도 제대로 못 알아 봐주는 녀석이다. 한라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1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5739https://qweenbee.tistory.com/8899157 https://qweenbee.tistory.com/8899158https://qweenbee.tistory.com/8899233 https://qweenbee.tistory.com/8902543 https://qweenbee.tistory.com/89073.. 2022. 5. 23. 이삭사초(사초속 왕비늘사초절) 2022. 5. 13. 동네. 이삭사초 : 정소수가 자웅성이다.참삿갓사초 : 정소수가 웅자성, 또는 웅성이다 이삭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9 https://qweenbee.tistory.com/8887995 https://qweenbee.tistory.com/8897829 https://qweenbee.tistory.com/8897835 https://qweenbee.tistory.com/8908849 https://qweenbee.tistory.com/8908941 참삿갓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908608 https:/.. 2022. 5. 22. 큰뚝사초(사초과) 2022. 5. 8. 동해안. 석호주변과 배후습지에 아주 흔하게 나타나는 녀석이다. 푸른 초원같이 사초군들이 편평하게 깔린 습지의 모습이 참 편안한 느낌을 준다. 과낭을 세밀하게 확인하지 못해서.........회색사초가 아니겠지? 새방울사초와 함께 어우러져 있다. 2022. 5. 21. 산양지사초(사초과)=>부산사초 2022. 5. 18. 경북. 조사해야 할 목록 중에 사초과 분류군이 꽤 많다. 그 중에 산양지사초도 있었는데 부산사초랑 거의 흡사하지만 전초에 털이 없고 건조한 곳에 자란다는 조언이 있었다. 사초도감을 확인해 보니 자소수가 두상에 가까울 정도로 짧게 뭉쳐 있고 부산사초보다 빳빳하게 선다고 한다. 더 기쁜 소득은 세말화를 그린 표본의 채집지가 바로 내가 사는 동네 근처였다는 것이다. 동리까지 나와 있어서 지도를 확인해 보니 습지 식물이 좀 있어서 내가 몇 번 가 본 바로 그 동네다. 장소를 확인하고 바로 이튿날 출발. 동네 북편 산소 주변과 저수지 주변 탐사는 고사리 종류만 좀 있고 산소 주변은 깨끗하게 벌초를 해서 실패 . 동네 남쪽 작은 물통이가 있는 산쪽으로 가서 농로를 따라 주변 산소를 뒤지는데 .. 2022. 5. 21. 진퍼리사초 2022. 5. 15. 석호나 습지에 자라는 녀석이다 2022. 5. 19. 새방울사초(사초과) 2022. 5. 새방울사초 국내 최대 군락지였다. 별 생각 없이 들렀던 습지가. 솔숲으로 둘러 싸인 격리된 습지라서 갈대도 들어올 걱정이 없으니 습지가 진퍼리사초, 큰뚝사초, 새방울사초로 완전 초원을 이루고 있어서 깜짝 놀랐다. 2022. 5. 19. 융단사초(사초과) 2022. 5. 4. 평창. 하천수변 습한 곳에 무리를 이루어 있던 녀석이다 곱슬사초에 비해 과포에 털이 밀생하고 자인편의 끝은 길이 1.2~2.2mm의 까락이 되므로 쉽게 구분된다. 결실기에 다시 찾아서 과포를 확인해 봐야겠다. 융단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6536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40 https://blog.daum.net/qweenbee/8909001 곱슬사초 : 2022. 5. 19. 한석사초 ??=>타래사초 개화기 2022. 5. 8. 아직 이름을 찾아주지 못하였다. 이 녀석도 자웅성소수로 한석사초 비슷하지만 도감의 한석사초보다는 화서가 더 길다. 세밀화 도감을 찾아봐도 그림이 맞는 게 없다. 개화 초기의 타래사초란 조언이 있었다. 매번 결실기의 타래사초마 봐왔으니 개화 초기 모습이라 어리둥절했던 거다. 타래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5693 http://blog.daum.net/qweenbee/8888321 http://blog.daum.net/qweenbee/8897762 https://blog.daum.net/qweenbee/8907255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39(개화초기) 2022. 5. 19. 큰뚝사초(사초과) 2022. 5. 8. 동해안 석호. 흡사한 회색사초일지도 모르지만 아직 과낭을 확인할 수 없으니 해안 습지나 석호에 흔하게 보이는 큰뚝사초라 정리해 둔다. 2022. 5. 17. 갯바위청사초(사초과) 2022. 5. 6. 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1 가지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0 실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41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59 https://blog.daum.net/qweenbee/8908915 부리실청사초 : 갯바위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9 2022. 5. 16.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