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꽃자료실/사초과435 큰천일사초 해부 2022. 5. 8. 강원도, 동해안 석호 주변에서 만난 녀석이다.' 웅인편 흑갈색, 둔두-예두, 잎의 너비 5~10mm, 자소수 2~4개 길이 3~6cm, 자인편 담갈색 중륵 녹색, 둔두 톱니가 있는 짧은 까락이 있다. 천일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67 큰천일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3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94 2022. 5. 14. 큰천일사초(사초과 사초속) 2022. 5. 8. 강원도 석호. 동해안 강가나 석호 주변 모래땅에서 자라는 녀석이다. 잎의 너비 5~10mm, 자소수 2~4개 길이 3~6cm, 웅인편 흑갈색, 둔두-예두, 자인편 담갈색 중륵 녹색, 둔두 톱니가 있는 짧은 까락이 있다. 2022. 5. 14. 실피사초 2022. 5. 8. 정선. 백두대간 높은 숲 등산로변에서 만난 녀석이다. 중북부 지방 높은 산지 활엽수림 풀밭에서 자란다고 한다. 피사초와 백두피사초는 북부지역에서 자란다고 하니 아마도 이 녀석이 실피사초일 듯. 소수는 보통 2개이나 드물게 3개인 경우도 있다. 자인편은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 녹색의 3맥이 있다. 중륵은 긴까락으로 이어지고 끝은 둔하거나 자른 모양이다. 2022. 5. 9. 싸라기사초(사초과) 2022. 5. 8. 정선. 중북부지방 석회암 지역에서 자라는 녀석이다. 잎은 줄기와 거의 길이가 같고 폭이 0.5~1mm로 아주 가늘다. 소수는 2~3개로 약간 떨어져 잘리고 2-3개의 싸리기처럼 아주 작은 과낭이 달린다. 과낭은 누른빛에서 익으면 암갈색이 된다. 잎의 형태는 실사초와 비슷하나 중부 이북에 자라고 실사초에 비하여 측생소수에 아주 적은 꽃이 달린다. 2022. 5. 8. 부산사초(사초속 검정사초절) 2022. 4. 24. 볕이 잘 드는 산사면 숲아래를 그득하게 채우고 있는 녀석. 전국적으로 자라며 무리를 이룬다. 자소수가 웅소수에 거의 붙어 있고 자소수에 털이 없다. 꼬랑사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93224 http://blog.daum.net/qweenbee/8891472 http://blog.daum.net/qweenbee/8891578 http://blog.daum.net/qweenbee/8887691 http://blog.daum.net/qweenbee/8897208 http://blog.daum.net/qweenbee/8897367 https://blog.daum.net/qweenbee/8900679 https://blog.daum.net/qweenb.. 2022. 5. 8. 청사초 2022. 5. 1. 대구. 자소수와 웅소수가 화경 끝에 모여 밀집한다. 아무데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이다. 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1 가지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0 실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41 갯바위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9 2022. 5. 8. 실청사초=>가지청사초 2022. 5. 1. 건조한 남사면 숲 아래에서 살고 있었다 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1 가지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0 실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41 갯바위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9 2022. 5. 8. 성긴그늘사초 Carex lanceolata Boott var laxa Ohwi 2022. 5. 1. 완벽한 성긴 그늘사초다.꽃이 1~3(4)개로 그늘사초에 비하여 성글게 달리고 화축이 지그재그로 꺾이는 특징이 있다. 그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23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6 https://qweenbee.tistory.com/888763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7 https://qweenbee.tistory.com/8897239 https://qweenbee.tistory.com/8908729(과낭)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1 .. 2022. 5. 8. 녹빛사초 Carex quadriflora (Kük.) Ohwi 2022. 4. 28. 청량산. 그래도 사초 중에 쉽게 이름 불러줄 수 있는 녀석이다. 2022. 5. 2. 실사초 Carex fernaldiana H.Lév. & Vaniot 2022. 4. 청량산. 2022. 5. 2. 실청사초 Carex sabynensis Less. ex Kunth 2022. 4. 20. 백두대간수목원 숲. 소수는 2~3개로 상부에 모여 달린다. 잎은 줄기와 길이가 같거나 짧다. 엽초는 갈색또는 짙은 갈색으로 뚜렷하게 섬유 모양으로 갈라진다. 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1 가지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70 실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741 갯바위청사초 : https://blog.daum.net/qweenbee/8908829 2022. 5. 2. 그늘사초 Carex lanceolata Boott 2022. 4. 12. 경북. 소수의 과낭이 4개 정도라 그늘사초로 보기에도 참 애매한 녀석이다. 그늘사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89623 https://qweenbee.tistory.com/8891676 https://qweenbee.tistory.com/8887634 https://qweenbee.tistory.com/8893207 https://qweenbee.tistory.com/8897239 https://qweenbee.tistory.com/8908729(과낭) https://qweenbee.tistory.com/8908731 https://qweenbee.tistory.. 2022. 4. 2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