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2. 26. 제주.
일주일 전까지만 해도 겨우 한 두송이 필까 말까 한다고 해서 이 곳에 들르지 않을까 했다.
이미 세복수초는 많이 봐 왔기에 그렇기도 하고.
헌데 며칠 날씨가 너무 따뜻하였는데다가 시간적인 여유도 있고
이 시기에 세복수초와 백서향 아니고는 딱히 볼 수 있는 녀석들이 없는지라 그래도 혹시나 하고 들렀다.
한참을 걸어 들어와서 개울에 도착하니 역시 예상대로 황금잔을 노랗게 펼치고 있는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 곳에는 이미 몇 분이 먼저 도착하여 열심히 사진을 담고 있었다,
이 녀석은 개복수초와 달리 잎과 꽃이 함께 나타나며 잎이 가늘게 갈라져서 세복수초라 한다.
<손동찬 고성철의 "개복수초의 분류학적 재고"(식물분류학회지 2012. 42호 4권)> 종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로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A. amurensis 복수초
1. 줄기는 분지하고 꽃과 잎이 함께 발달하고, 악편은 방사상칭형으로 평균 5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있다. 2. 잎 이면과 엽병은 무모이고 악편의 길이는 화피편 길이보다 짧다 3. 분지된 줄기에는 잎이 없고 엽선은 예두이다.----------------------------------------------A. pseudoamurensis 개복수초 3.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있고 엽선은 점첨두이다.------------------------------------------A. multiflora 세복수초 2. 잎 이면과 엽병은 유모이고 악편의 길이는 화피편의 길이와 거의 같다---------------------------A. ramosa(가지복수초) ※ 가지복수초로 알려졌던 A. ramosa는 일본의 가지복수초와 형질이 다른 것으로 개복수초의 오동정으로 본다 |
제주도에만 자생한다던 세복수초가 부산 주변의 산골짜기에도 나타났다고 하는데 누군가 옯겨 심은 게 아닐까 했더니 자생이라고 한다.
복수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39 http://blog.daum.net/qweenbee/8893246
http://blog.daum.net/qweenbee/8893439 http://blog.daum.net/qweenbee/8895593
http://blog.daum.net/qweenbee/8897210 http://blog.daum.net/qweenbee/8897229
http://blog.daum.net/qweenbee/8895233 http://blog.daum.net/qweenbee/8900786
복수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5594
복수초 새싹 : http://blog.daum.net/qweenbee/8897837
개복수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60 http://blog.daum.net/qweenbee/8889459
http://blog.daum.net/qweenbee/8893228 http://blog.daum.net/qweenbee/8893247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0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1
http://blog.daum.net/qweenbee/8897213 http://blog.daum.net/qweenbee/8898927
http://blog.daum.net/qweenbee/8902031
개복수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322
세복수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72 http://blog.daum.net/qweenbee/8889474
http://blog.daum.net/qweenbee/8887417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6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7 http://blog.daum.net/qweenbee/8897166
http://blog.daum.net/qweenbee/8897167 http://blog.daum.net/qweenbee/8895454
http://blog.daum.net/qweenbee/8902030
세복수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438
'지역별식물 > 제주도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산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0) | 2018.03.06 |
---|---|
동백나무겨우살이(겨우살이과) (0) | 2018.03.05 |
애기석잠풀(꿀풀과 석잠풀속) (0) | 2018.03.03 |
둥근빗살괴불주머니(현호색과 현호색속) (0) | 2018.03.03 |
유럽단추쑥(국화과 유럽단추쑥속) (0) | 2018.03.03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