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6. 22. 강원도.
이 녀석 작년에 태기산 자락에서 담아 와서 이름 찾느라고 한참 끙끙 거렸었다.
결국 왜방풍으로 결론을 내렸는데 올해 왜방풍이란 이름으로 자료가 몇 군데 뜨고 있다.
이 녀석은 지하경은 짧게 옆으로 자라고 포복지가 뻗어 번식하여 군집을 이룬다.
역시 이 곳도 왜방풍이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왜방풍은 총포도 소총포도 없고, 잎은 2~3회 3출 복엽이고,
앞·뒷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깊은 톱니가 있거나 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10-20cm이고 밑은 엽초로 되어 줄기를 싼다.
소산경이 8~12개이고 분과 열매는 장타원형으로 줄기 속이 비고 전주에 털이 없다.
왜우산풀 : https://qweenbee.tistory.com/8890793 https://qweenbee.tistory.com/8891939
https://qweenbee.tistory.com/8904256 https://qweenbee.tistory.com/8908032
왜우산풀 열매 : https://qweenbee.tistory.com/8899696 https://qweenbee.tistory.com/8901299
https://qweenbee.tistory.com/8906073
왜방풍 : https://qweenbee.tistory.com/8891948 https://qweenbee.tistory.com/8893961
https://qweenbee.tistory.com/8894064 https://qweenbee.tistory.com/8895990
https://qweenbee.tistory.com/8901163 https://qweenbee.tistory.com/8901977
https://qweenbee.tistory.com/8902809 https://qweenbee.tistory.com/8907931
왜방풍 신초 : 잎: https://qweenbee.tistory.com/8898431
갯방풍 : https://qweenbee.tistory.com/8892160 https://qweenbee.tistory.com/8889911
https://qweenbee.tistory.com/8887977 https://qweenbee.tistory.com/8906519
https://qweenbee.tistory.com/8906521
갯방풍 신초 : https://qweenbee.tistory.com/8893854 https://qweenbee.tistory.com/8902561
방풍 : https://qweenbee.tistory.com/8901249 https://qweenbee.tistory.com/8904567 (중국)
https://qweenbee.tistory.com/8909862(몽골) https://qweenbee.tistory.com/8910563
방풍 새싹 : https://qweenbee.tistory.com/8903966
산형과 녀석 : https://qweenbee.tistory.com/8896472 https://qweenbee.tistory.com/8892556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향풀(협죽도과) (0) | 2013.07.01 |
---|---|
여우꼬리풀(백합과 쥐꼬리풀속) (0) | 2013.07.01 |
광릉갈퀴(콩과 나비나물속) (0) | 2013.06.30 |
조름나물 열매 (0) | 2013.06.28 |
개꽃(국화과 개꽃속) (0) | 201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