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4. 16. 의성.
이 곳 절벽에는 야생의 개나리 종류가 산다.
이 녀석을 두고 산개나리 라고들 하지만 산개나리는 골속이 흰색으로 꽉 차있다고 하니
줄기의 속심을 확인해 봐야겠다.
S 박사님 개나리와 산개나리에 대한 기고문 중의 일부 발췌한 내용이다.
산개나리는 대체로 줄기가 곧게 서고 무릎 높이 정도 자란다. 잎뒷면 잎줄은 털이 있고, 가지의 속심은 흰빛이며 꽉 차있다. 꽃받침조각 길이는 꽃갓통부와 비슷하다. 꽃갓은 다소 짧고 꽃갓조각이 가늘며 빛깔이 연한 노란빛이다. 개나리는 줄기가 늘어지고 높이 자란다. 잎뒷면은 털이 없고, 가지의 속심은 계단모양으로 군데군데에 비어 있다. 꽃받침조각 길이는 꽃갓통부의 1/2 이상이고 통부보다는 짧다. 꽃갓은 약간 길고 빛깔이 짙은 노란빛이다. |
아래의 식물분류학회지에 최근 연구 보고된 개나리속 보고서에 의하면
개나리속의 구분에 화통 나비와 악편의 길이 차이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개나리와 산개나리는 잎의 이면 맥상의 털의 유무와 화판의 크기와 형태의 차이에서 크게 구분이 된다고 하였다
한국산 개나리족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2004.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4권 3호.김동갑,김주환)
기존Lee. S.T (1984)에 검토된 한국산 개나리속의 계통학적 연구에서 화판통 나비와 악편의 길이 등에 차이에 의해 개나리속이 개나리, 의성개나리, 만리화-장수만리화-산개나리 집단으로 구분된다고 한 것에 대하여 다른 견해를 밝혔다. 김동갑, 김주환은 화판통 나비 차이와 악편의 길이 차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으며 한국산 개나리속은 엽연부에 다수의 결각이 있고 소화경에 털이 존재하며 잎이 장 타원형인 개나리, 의성개나리,산개나리 집단과 엽연부 중앙 이상에 소수의 결각이 있고 소화경에 털이 없으며 잎이 난형인 만리화, 장수만리화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 보고서에는 Lee. S.T (1984)의 견해에 따라 장수만리화를 만리화는 잎 이면의 털의 존재 유무에 따라 구분이 되기도 하지만 소지의 직생, 소지 기부의 강모 유무가 연속적인 변이가 관찰되는 바 식별형질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였으며 만리화 자생지는 설악산 이외에는 확인이 어려워서 만리화와 장수만리화에 대한 구분은 언급을 유보하였다. 개나리와 산개나리는 잎의 이면 맥상의 털의 유무와 화판의 크기와 형태의 차이에서 크게 구분이 된다고 하였다 |
그러면 아래 녀석은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할까?
이 녀석 잎 이면의 털을 관찰한 게 없으니 올해 잎이 날 때 잊어버리지 말고 관찰해 봐야겠다.
(산개나리로 확인이 되었다.)
미선나무 꽃 : http://blog.daum.net/qweenbee/8889615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7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7 http://blog.daum.net/qweenbee/8895385
http://blog.daum.net/qweenbee/8903704 http://blog.daum.net/qweenbee/8904953
http://blog.daum.net/qweenbee/8904991 http://blog.daum.net/qweenbee/8905059
미선나무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89283 http://blog.daum.net/qweenbee/8889132
분홍미선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895295 http://blog.daum.net/qweenbee/8897223
향선나무 : http://blog.daum.net/qweenbee/8900565 http://blog.daum.net/qweenbee/8901119
영춘화 : http://blog.daum.net/qweenbee/8889599 http://blog.daum.net/qweenbee/8889599
http://blog.daum.net/qweenbee/8897206
기르는 개나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87278
개나리속 동아 : http://blog.daum.net/qweenbee/8895177
개나리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7187
의성개나리: https://blog.daum.net/qweenbee/8893711 (?)
산개나리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52 http://blog.daum.net/qweenbee/8889617
http://blog.daum.net/qweenbee/8893379 http://blog.daum.net/qweenbee/8893710
http://blog.daum.net/qweenbee/8889755 https://blog.daum.net/qweenbee/8903705
http://blog.daum.net/qweenbee/8905058 http://blog.daum.net/qweenbee/8905194
https://blog.daum.net/qweenbee/8908098
만리화 : http://blog.daum.net/qweenbee/8892050 (열매) http://blog.daum.net/qweenbee/8895326
http://blog.daum.net/qweenbee/8897222 https://blog.daum.net/qweenbee/8908101
http://blog.daum.net/qweenbee/8887676 (꽃) http://blog.daum.net/qweenbee/8891950
http://blog.daum.net/qweenbee/8893709 https://qweenbee.tistory.com/8908163 (꽃)
장수만리화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70 https://blog.daum.net/qweenbee/8887150
https://qweenbee.tistory.com/8908162 (꽃)
'들꽃자료실 > 수목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나리속(물푸레나무과) 의성개나리? (0) | 2013.05.27 |
---|---|
산개나리(물푸레나무과)? (0) | 2013.05.27 |
만리화(물푸레나무과 개나리속) (0) | 2013.05.27 |
개박달나무(자작나무과) (0) | 2013.05.27 |
개야광나무(장미과 개야광나무속) (0) | 201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