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3. 24. 강원도.
이 작은 녀석을 두어 해 보질 못했다.
가까운 백두대간 고개마루에 아주 이쁜 녀석들이 있었는데
이태 전 누군가의 손에 납치되어 버리고 난 후 더 이상 만날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해서 강원도까지 이 녀석을 보러 먼 길 나섰다.
은근히 설중을 기대했지만 양지쪽 남사면에 자리 잡은 곳이라 기대는 꿈으로만...
꽃의 크기가 100원짜리 동전만하여 복수초 중에서 귀여움을 아주 잘 보여주는 녀석은 검은 부엽토 위에 별처럼 노랗게 피어 있었다.
손동찬 고성철은 2011년 "복수초 종내분류군에 대한 분류"에서 애기복수초(Adonis amurensis subsp. nanus Y.N.Lee)는
복수초의 고산형으로 복수초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녀석을 이식 재배한 결과 꽃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관찰된다는 것이다
논문이 발표 되었으니 당연히 통합되었다 생각하는데 아직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애기란 이름을 달고 종명이 살아 있다.
복수초는 북한 전역과 남한의 경기 북부, 백두대간을 따라 경북 보현산, 전라도 적성산에 분포 한다고 한다
그러면 아래 쪽 울산이나 대구 근교의 골짜기에서 본 복수초는 모두 개복수초로 봐야 할 것 같다. 기존 자료를 모두 수정하여 정리해야 겠다.
이제는 사라졌지만 이 자그마한 녀석은 경북의 백두대간 줄기 높은 고개 마루에도 살고 있었다.
<손동찬 고성철의 "개복수초의 분류학적 재고"(식물분류학회지 2012. 42호 4권)> 종 검색표
1. 줄기는 불분지하고,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악편은 좌우대칭형으로 평균 8매로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없다.----------------------------------------------------A. amurensis 복수초
1. 줄기는 분지하고 꽃과 잎이 함께 발달하고, 악편은 방사상칭형으로 평균 5매이고 인엽에서 액생하는 잎에는 탁엽이 있다. 2. 잎 이면과 엽병은 무모이고 악편의 길이는 화피편 길이보다 짧다 3. 분지된 줄기에는 잎이 없고 엽선은 예두이다.----------------------------------------------A. pseudoamurensis 개복수초 3. 분지된 줄기에는 인엽이 있고 엽선은 점첨두이다.------------------------------------------A. multiflora 세복수초 2. 잎 이면과 엽병은 유모이고 악편의 길이는 화피편의 길이와 거의 같다---------------------------A. ramosa(가지복수초) ※ 가지복수초로 알려졌던 A. ramosa는 일본의 가지복수초와 형질이 다른 것으로 개복수초의 오동정으로 본다 |
세복수초와 개복수초는 꽃과 잎이 함께 피지만 복수초는 꽃이 먼저 핀다.
꽃은 동전이나 엄지손톱보다 조금 클 정도로 작고
꽃받침은 7~8개 정도로 많으며 꽃잎 길이와 거의 같다
잎은 개복수초와 달리 탁엽이 없고
일찍 개화를 한 녀석은 잎이 파랗게 자라고 있었다.
이 녀석은 꽃받침이 7개이다. 줄기 끝 화경에 털이 있다.
복수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7639 http://blog.daum.net/qweenbee/8893246
http://blog.daum.net/qweenbee/8893439
개복수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60 http://blog.daum.net/qweenbee/8889459
http://blog.daum.net/qweenbee/8893228 http://blog.daum.net/qweenbee/8893247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0 http://blog.daum.net/qweenbee/8891301
개복수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322
세복수초 : http://blog.daum.net/qweenbee/8889472 http://blog.daum.net/qweenbee/8889474
http://blog.daum.net/qweenbee/8887417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6
http://blog.daum.net/qweenbee/8893137
세복수초 열매 : http://blog.daum.net/qweenbee/8893438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도바람꽃(미나리아재비과) (0) | 2013.03.26 |
---|---|
개복수초(미나리아재비과) (0) | 2013.03.25 |
산괭이눈(범의귀과) (0) | 2013.03.22 |
선괭이눈(범의귀과) (0) | 2013.03.22 |
사철쑥(국화과) (0) | 201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