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0. 16. 제주
생태숲은 다양한 제주의 식물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어서 하루 종일 다녀도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이 녀석은 화경 화축 꽃받침, 줄기, 잎자루, 잎 앞 뒷면에 털이 대단한 녀석이다.
육지의 산박하와는 좀 다른 면이 있어서 털산박하로 보았다.
잎 앞뒷면의 털이 빡빡하고 줄기에도 아래를 향한 누운 털이 많다.
우히히~~!! 드뎌 양하 꽃을 보았다. 생태숲 안 쪽에 양하가 밭을 이루고 있다.
양하 꽃이 보고자버서 제주에 올 때마다 꽃동무를 닥달하곤 했었는데 오늘 작정을 하고 양하밭을 샅샅이 뒤졌다.
줄기가 이리 저리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니 벌써 꽃대가 오를 때 다 따 버린 것 같아서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그래도 혹시나 뒤늦게 올라온 녀석이 있지 않을까 하여 간절하게 찾았더니 테크 주변에 두 송이가 보인다.
전초의 모습은 생강과 거의 같은 모양이다.
지난 여름 산 아래 숲에서 보고 이름 찾지 못하여 한동안 헤매었던 긴화살여뀌다.
생태숲 바닥을 완전히 자리를 깔고 있다.
잎이 미꾸리낚시처럼 화살모양을 하고 있고 짧은 엽병이 있어서 처음에는 미꾸리낚시네 식구들인가 했었었다.
화경에 선모가 있고 꽃은 1~3개 정도로 달린다. 가지 끝이 비스듬히 서며 일부분에 털같은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왕쥐똥나무다. 수형이 크고 꽃과 열매도 쥐똥나무에 비길 바가 안될 정도로 매우 크다.
산책 테크를 버리고 작은 오솔길로 들어 섰다. 특이한 향을 발산하는 상산나무가 4개의 자방을 여물리고 있다.
숲에 가면 가장 흔하게 만나는 나무이다. 암수딴그루인데 숲 밖에서는 수그루만 보이더니 숲 안에는 암그루가 지천이다.
6월에 담았던 상산나무 암꽃과 수꽃이다.
숲 바닥에 한라참나물이 깔끔한 열매를 달고 있다.
생태숲에서는 추분취도를 처음 만난다. 9월 초에 꽃이 피었는데 이미 열매를 맺고 있었다.
9월에 담은 추분취 꽃이다.
바위 아래 십자고사리도 아직 싱싱하다.
바위수국은 그 수려한 꽃다발을 누구에게 다 보내주고 푸른 이파리만 살랑살랑 흔들고 있다.
등수국에 비하여 잎의 거치가 크고 바깥 쪽 중성화는 1개의 꽃받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6월에 담은 바위수국 꽃이다. 바위수국의 중성화 꽃잎 같은 꽃받침잎이 1 장인데 비하여
등수국은 3-4개의 꽃받침잎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이기 뭐이가? 오예 ~! 단풍박쥐나무다~!
육지에서 여기 저기 서식을 하는 모양인데 제주에서 이렇게 우연하게 만나다니.
처음에는 음나무인가 싶어서 그냥 지나칠려다가 아무래도 다른 모습인 것 같아서 다가갔더니 여기서 단풍박쥐나무를 만나네.
근데 이 녀석을 가새잎처럼 갈라져 있어서 가새박쥐나무라 생각을 했었다. 확인차 이름을 검색했더니 단풍박쥐나무란다.
단풍보다는 가새박쥐나무가 더 어울리는데....
아마 꽃동무도 숲 안에 있는 단풍박쥐나무의 존재는 모르고 있는 것 같다. 꽃이 필 때 살펴보라고 일러줘야겠다.
뿌리에서 닭오줌냄새가 난다는 계요등 열매도 가을 햇살에 반짝거린다.
좀 더 안쪽으로 들어 가려는데 행사를 마친 꽃동무가 생태숲 입구에 도착했다는 전갈이 온다.
아하~! 새비나무 열매를 찾아야 하는데 시간을 너무 지체하였나 보다.
부리나케 되돌아 나오니 꽃동무가 작은 꽃 앞에 업드려 있다. 피막이 사이에 늦둥이 좀개불알풀이 아직도 꽃을 피우고 있다.
생태숲 주차장 옆 샘터에 노란 털머위가 한창 곱다.
육박나무 꽃이 피었다는 곶자왈로 출발해야 한다. 동백나무겨우살이까지 봐야하기 때문에 서둘러 생태숲을 빠져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