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8. 28. 강원도.
이 녀석은 습한 곳에 서식을 한다.
습지나 도랑가에서 주로 만날 수 있는데 높은 곳에 사는 개미취보다 전초가 작고 잎이 좁고 길며 엽연이 매끈하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와 지름이 각 7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2.5~3mm로서
끝이 둔하고 연모가 다소 있으며 내편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자줏빛이 돈다
꽃은 9~10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두화는 지름 16-22mm로서 여러 송이가 느슨한 산방화서를 이루며
밑부분에 포가 달리고 화경은 길이 1-3cm로서 털이 없다.
근생엽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밑부분과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선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반 정도 원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며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고 포상이다.
높이 25-100cm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빛이 돈다.
개미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89118 http://blog.daum.net/qweenbee/8886815
좀개미취 : http://blog.daum.net/qweenbee/8888990 http://blog.daum.net/qweenbee/8890739
'들꽃자료실 > 야생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삼(현삼과) (0) | 2011.09.15 |
---|---|
돌바늘꽃(바늘꽃과) (0) | 2011.09.14 |
개미취(국화과) (0) | 2011.09.14 |
물달개비(물옥잠과 물옥잠속) (0) | 2011.09.14 |
흰꽃나비나물(콩과) (0) | 2011.09.13 |